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 초월주의의 그늘과 그 극복

        박현수(Park Hyun-Soo)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5 No.-

        박재삼은 전후 남한 문학의 중심적 기류로 형성된 초월주의의 영향을 전범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전후시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고찰하여야 할 시인이다. 그는 전후 초월주의의 중요 특성, 즉 전통성, 미학성, 초월성을 창조적으로 계승하여 자신의 시적 자양분으로 삼았다. 박재삼은 초월주의의 강력한 영향권 내에 있었다. 전통성은 그의 시에 나타나는 ‘한’과 연계된 정서의 적극적 표현이나 춘향전이나 흥부전과 같은 고전 작품의 의도적 인유에서 드러난다. 미학성은 생경한 현실 인식을 철저하게 여과시켜 개인적인 정서로 변용시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초월성은 개별적인 존재가 죽음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존재의 탄생과 연계되어 지속성을 지닌다는 생각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박재삼은 초월주의의 영향과 길항하며 자신의 창조적인 공간을 마련하였다. 그의 창조성이 적극적으로 드러나는 지점은 그의 시에 나타나는 두 가지 불투명성이다. 하나는 불투명한 정서이고 다른 하나는 불투명한 구문론이다. 전자에서는 전후의 서정적 동일성에 대한 고민과 그 극복을 확인할 수 있고, 후자에서는 새로운 매체에 안착한 새로운 서정시의 방향에 대한 적극적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Park Jaesam is one of the important poets in postwar Korean poets. He accepted the ideology of postwar transcendentalism, the ideology of Cheongmunhyup(Korean Youth Writer's Association; leaded by Kim Dongli, Jo Yonhyun and Seo Jungju). The ideology has three features; traditionality(the approval of Korean traditional thought and emotion), transcendentality (transcendental identifying self with the universe) and aestheticism(the exclusion of political issues from poems). But Park had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of that ideology and overcame its problems creatively. First, When he accepted traditional elements by the rhetoric of temporality, he controlled a subject matter in his poems by reducing risks of the distortion of emotion to the minimum. Secondly, he wrote new lyric poems by the strategy of opaque, that is, the strategy of intentional ambiguity. Park used intentionally two kinds of ambiguity, one is the ambiguity of emotion(an ambiguous emotion), the other is that of grammar. This ambiguity made his poems new lyric poems, by keeping his poems away from the plain repetition of old lyric poems. Park's lyric poems are not only traditional but also modern. He succeeded to Korean traditional lyric poetry. At the same time, he made an effort to write postwar modern poems.

      • KCI등재

        박재삼 초기시에 나타난 장소성 고찰

        김원경(Kim, wongyeong)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9 No.-

        시의 공간 의식에 대한 고찰은 시인의 내적 정념과 사유구조, 대상을 열린 존재로 인식하고 형상화하는 방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현상학 토대의 인본주의 지리학에서 생활세계는 ‘장소’라는 공간 범주에서 탐색된다. 즉 인간이 기억하는 장소나 경관, 지리적 명칭 등 형식적 개념을 넘어 인간 실존과 열린 존재의 인지적 사고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시인이 시적 피상물을 대상화하는 방식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며, 본 논의는 박재삼 초기시의 장소성을 중심으로 시적 주체가 인지하고 있는 공간의 양태들과 장소정체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박재삼에게 ‘장소성’이란 정신적 원형에 가닿아 있는 근원적 기억의 장소에 가까운 것이기 때문이다. 박재삼 시에서는 각인된 추상공간이 체험공간으로 구체화되는 방식을 통해 새로운 장소성이 탄생한다. 이는 ‘산’, ‘별’, ‘바다’, ‘섬’과 같은 자연물을 사유하는 동안 시간적 거리를 압축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과거의 기억과 죽음에 관한 체험들이 한 공간에서 동시에 병치됨으로써 시적 정서의 이행과 통로, 공간에서의 기억의 틈 등이 유발된다. 때문에 박재삼이 인지하는 장소는 응축된 장소이며 화자로 하여금 장소애와 장소 내상을 동시에 확보시키는 일상의 범상한 틈이라 할 수 있다. 박재삼 시에서 다수 엿보이는 물 이미지에 대한 변주 또한 현상학적 측면에서 고찰이 가능하다. 물의 공간이 고정, 정지되어 있는 것인지 흐름과 근원적 상상력을 담보하는 것인지에 따라 각각의 다른 관념화가 구상되고 있다. 즉 물의 이동과 운동성을 통해 물 시적 화자는 ‘장소감의 문턱’을 만들고 그 문턱에서 정념의 내부와 외부를 가로지르는 ‘중간의 호흡’을 발현시킨다. 판단을 유보하고 확정짓지 않음으로써 유보된 정념이라 할 수 있는 한국 서정시의 재래적 정체성을 재현시킨다. 공간의 개폐되는 양상을 통해 시적 화자가 품게 되는 슬픔의 깊이 또한 다른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타자(친구)의 이별과 춘향(공동체)의 이별을 통해 박재삼이 가공하는 슬픔의 편린들을 추적하였다. 이를 통해 박재삼 초기시가 가진 슬픔의 육화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가 있다. 전자가 ‘타자’라는 수평적 관계에서의 공간 구성이라면 후자는 수직적 관계의 공간 구성이다. 때문에 개방과 폐쇄의 장소 양식들이 시편들 속에서 구체화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박재삼 초기시가 가지고 있는 공간 전략과 장소성 고찰을 통해 그간 박재삼 시의 현상학적 연구에 보다 깊은 이해를 더할 것이다. Instead of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poems of Park Jaesam, the research is tuned to the traditional and distinct quality of Korea’s modern poetry that converges to terms such as ‘han (deep sorrow)’ or ‘traditional lyricism.’ Even recent researches, including those on the imagery or the construction of the formal beauty, overlook the focus of post-war Korean society and the consciousness expressed by the place.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place and space in which poetic emotions occur and of the poems’ consciousness that abundantly expresses the signs of Park’s existential life. The water imagery and its variations that are often present in Park’s poems can be thought of in the phenomenological aspect. The space of water is either fixed/static or guarantees flow and the fundamental imaginations. Each state leads to a different conceptualization. Hence, the persona creates ‘the threshold of the sense of place’ via the movement of water, and generates ‘the middle respiration’ which, from the threshold, crosses the both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pathos. The depth of sadness the persona holds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pace forms itself into a different imagery. The imageries of parting from the other (friend) and that from Chunhyang (community) make a contrast which allows the shards of sadness to be traced. The pursuit, then, enables one to inspect the ways sadness takes bodily forms in Park’s early poems.

      • KCI등재

        박재삼의 「울음이 타는 가을강(江)」 연구

        김종훈 ( Jong Hoon Kim ) 민족어문학회 2009 어문논집 Vol.- No.59

        이 논문은 박재삼의 첫 시집 『춘향이 마음』(1962)에 수록된 그의 대표시 「울음이 타는 가을江」을 분석한 글이다. 그 동안 논의되었던 "등성이"는 산의 언덕이 될 수도, 이야기의 절정부가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친구"는 서술 시점 현재가 아닌, 화자의 기억 속에 있다. 또한 "제삿날"의 풍경은 화자가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강물에 비친 석양빛이 매개되어 기억에서 되살린 것이라 할 수 있다. 운율의 고려는 소멸에 직면하여 나오는 화자의 울음 섞인 거친 호흡을 더욱 실감나게 했다. 일반적인 상징과 구체적인 경험, 직접적인 비유와 간접적인 비유와 상관없이 `바다`는 `소멸`의 장을 뜻했다. 박재삼이 추구하고자 했던 한국시의 리듬과 `한`의 정서는 시의 운율과 비유를 통해 형상화되고 있다. This paper studies about "울음이 타는 가을江"("A fall river firing with crying") that is published in 춘향이 마음(the mind of Chunhyang)(1962), the first collection of Park, JaeSam`s poems. "등성이"(a ridge) and "친구"(a friend) in the poem has been controversial among researchers. I consider "등성이" means a climax of the story and a ridge of the mountain at the same time. The "친구", however, is not exist as an substance at the time a narrative is narrated. He was reminded in the memory of the narrator. Also the scene of "제삿날"(a day of ancestor worship ceremony) is not be seen but be recollected by the narrator. The splendor of the setting sun reflected in a river reminded him of his memory of the light of the day. The rhythm of this poem actualized sorrow feeling and tough breath that were mixed into the crying of a narrator faced with disappearance. "바다"(Sea) means `disappeared` whenever it is used as the meaning of a common symbol or concrete experience and used as a direct or indirect metaphor. The rhythm and the metaphor gave shape to `Korean rhyme` and the feeling `恨`(Han) which had been pursued by P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