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글로벌 가치사슬에서의 부가가치 획득 영향요인 연구: 개발도상국가를 대상으로

        구지영 한국경제지리학회 202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5 No.2

        현대 세계 경제 체제의 주요 특징인 글로벌 가치사슬은 주로 선진국에 의해 주도되어왔고 개발도상국은상대적으로 저부가가치 활동을 담당함에 따라 가치분배의 지리적 불균형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분배의 불균형은 점차 완화되기 시작하였는데, 이와 같은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목적이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다양한 영향요인 중 글로벌 가치사슬에서의 산업 업그레이딩 방식에 초점을 맞춰 개발도상국의 부가가치 획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TiVA)의전산업, 식료품·담배산업, 섬유·의류 산업, 컴퓨터·전자산업,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산업의 경우 개발도상국의 부가가치 획득은 총생산량을 증가시키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며 전방참여도를 높일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부 산업별 분석결과는 산업별 특성에 따라 조금씩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The global value chain, as a major feature of the contemporary global economic system, has been mainly led by developed countries. Whereas developing countries have taken the relatively low value-added activities and this made geographical imbalances in value distribution. This imbalance in value distribution, however, began to gradually alleviated. Related to this phenomen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factors. Focused on the method of upgrading the industry in the global value chain, the impact on the acquisition of value-added in developing countries was analyzed among the various factor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Panel analysis was conducted on all industries, food and tobacco industries, textile and clothing industries, computer and electornics industries, and automobile industries of the OECD Value-Added Trade Data (TiV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n all industries, value-added acquisition in developing countries was improved by increased total production, high value-added product production and participation in early stage. The analysis results by detailed industry showed slightly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ustry.

      • KCI등재

        전자산업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와 주요국의 참여 구조 분석

        구지영 한국경제지리학회 202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5 No.1

        Under the global economic system, production activities has formed an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which has greatly affected industries in individual countries by global issues such as the U.S-China trade war and neo-protectionism. In particular the risk and change of disconnection of semiconductor value chain caused by COVID-19 are evaluated as offering the crisis and opportunity at the same time to all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global electronics industry value chai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ECD Trade in Value Added(TiVA) based on the time when a detailed analysis of the global chain of the electronic industry is need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global value chain of the electronics industry is gradually expanding and strengthening, and that various countries are emerging as major actors in the global value chain. It was found that the U.S. and Japan are in charge of relatively high value-added activities, while Korea, Taiwan and China are in charge of low value-added activities, although they are large scale. 세계 경제체제 하에서 생산활동은 국제적 분업을 이루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중 무역전쟁, 신보호무역주의 등의 글로벌 이슈들에 의해 개별 국가의 산업은 큰 영향을 받게 되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하여 발생 된반도체 가치사슬의 단절 위험과 변화는 글로벌 전자산업 가치사슬에 참여하는 모든 국가들에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전자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으로본 연구는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TiVA)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자산업의 글로벌가치사슬은 점차 확대⋅강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국가가 글로벌 가치사슬의 주요 행위자로 부상함을 확인하였다. 미국과 일본은 상대적으로 고부가가치 활동을 담당하는 반면 한국, 대만, 중국은 규모는 크지만 상대적으로 저부가가치 활동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만과 중국은 점차 글로벌 가치사슬 내 위치가 상향되고 있어 한국도 글로벌 가치사슬 내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우수등재

        글로벌 가치사슬 거버넌스와 가치 분배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산업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구지영 대한지리학회 2022 대한지리학회지 Vol.57 No.2

        In the global economic system, developed countries have led governance to determine and adjust the distribution of values by organizing a global value chain. Whereas developing countries have participated in this system and the added value produced has been distributed disproportionately. However, it has begun to confirmed that governance of the global value chain gradually changed from a hierarchical form to a non-hierarchical through case studies. This study started from quantitatively confirming these changes.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extile and apparel industries, the computer and electronic industries, the motor vehicles industries. Also, it was analyzed whether the imbalance in value distribution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as alleviated accordingly. As a result, a decrease in hierarchy was confirmed in all industries to be analyzed, even there are stil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With these change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balance in value-added distribution betwee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as alleviated, which appeared to b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hierarchy of each industry. 글로벌 경제체제에서 선진국은 글로벌 가치사슬을 조직하여 가치의 분배를 결정하고 조정하는 힘인 거버넌스를 주도해왔으며 개발도상국은 이에 참여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생산된 부가가치는 불균형한 형태로 분배되어왔다. 그러나 점차 글로벌 가치사슬의 거버넌스가 위계적인 형태에서 비 위계적인 형태로 변화되는 것이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되기 시작하였고 이에 본연구는 이러한 변화를 계량적으로 확인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섬유·의류 산업, 컴퓨터·전자산업,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른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가치 분배 불균형이 완화되는지도 함께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업의 특성에 따른 차이는 존재하지만, 분석대상 산업 모두에서 위계성의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와 같이 선진국과 개발도상국간의 부가가치 분배의 불균형도 완화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산업별 특성 및 위계성의 정도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