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을 위한 지역연계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김경아(Kim, Kyung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8

        본 연구는 지역연계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단일그룹 유사실험설계 연구이다. 교육프로그램은 ELNEC(End-of-life Nusring Education Consortium)을 바탕으로 지역의 권역호스피스센터의 전문가와 함께 개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I 지역 간호학과 2학년 학생으로 연구 진행 전 호스피스교육, 임상실습, 호스피스실습 경험이 없는 39명을 대상으로 총 16회(16시간)의 교육이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23.0 program를 활용하여 independent t-test, ANOVA,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연계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은 호스피스 완화의료 인식(t=-4.996, p=<.000)과 지식(t=-2.019, p=.050)을 유의하게 향상시켰으며, 죽음(t=1.253, p=.217)과 임종간호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인식과 지식을 향상시키므로 다양한 교육방법과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regional linked hospicepallative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The educational program was developed with experts from regional hospice centers based on the ELNEC (End-of-life Nusring Education Consortium).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39 nursing students in one university and the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16 times(16 hours). Participants were second grade students and not received education on hospice, clinical prctice, hospice practi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OVA, paired t-test using the WIN SPSS 23.0 program. After the end of the regional linked hospicepallative care education program, student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hospicepallative care perception scores (t=-4.996, p=<.000) and knowledge levels (t=-2.019, p=.050). However, the attitude in death (t=1.253, p=.217), and terminal care(t=-1.880, p=.067) were not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regional linked hospicepallative care education program was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to improve nursing attitude and knowledge.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rious education program of hospicecpallative care.

      • KCI등재

        간호학과 학생들의 플립러닝 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김윤정,조의영,전은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7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3 No.4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을 간호학과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수업 경험을 이해하는 데 있다. 플립러닝 수업에 참여한 간호대학생들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로써, 각 개인의 경험에 의미를 두어 본질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그 진술을 분석하고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간호학과 학생들의 플립러닝 수업 경험의 의미를 Colaizz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7개의 주제와 3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학 전공교과목에서 플립러닝 교수법을 확산하기 위한 질적 및 양적 연구를 확대해야 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flip learning to nursing students and to understand their teaching experience. That is, we analyze the meaning of experience by applying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Colaizzi, which is aimed to grasp the essence of each individual experience by study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nurs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flip learning lesson. The analysis of Colaizzi's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the meaning of flip - learning lessons in nursing students resulted in seven themes and three central meanings. Based on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should be expanded to expand the flip learning method in the major subject of nursing science.

      • KCI등재

        간호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대인관계 능력,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미현(Mi-Hyeon Seong),남혜리(Hye-Ri Na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과에 재학중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유형, 대인관계 능력 및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2016년 3월 1일부터 4월 1일까지 간호과 대학생 169명으로부터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이 32%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해본 결과,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특성에서 동아리유무, 스마트폰 사용동기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주요변수에서 스트레스 대처유형의 하위영역 문제 중심, 희망적 관측과 자존감이 스마트폰 중독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문제중심(β=-3.278, p=.031)과 희망적 관측(β=.117, p=.044)을 많이 사용할수록, 자존감(β=-3.149 p=.009)이 낮을수록, 동아리(β=2.744 p=.019)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스마트폰 사용동기(β=-1.122 p=.003)가 의사소통을 위해서일수록, 스마트폰 사용시간(β=2.975 p=.000)이 많을수록 스마트폰 중독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설명력은 43.6%였다. 따라서 간호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 일반적 특성 및 스마트폰 사용특성을 포함한 영향변인들을 고려하여 중독정도에 따른 차별화된 중재전략을 개발·적용해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ress coping style, relationship ability, and self-esteem on smartphone addiction in nursing students and to provid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smartphone addi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69 nursing students and analyzed with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21.0 program.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was shown to be 32%.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martphone addiction were problem focused coping style (β=-3.278, p=.031), hopeful prediction (β=.117, p=.044), circles presence (β=2.744 p=.019), motive for smartphone usage (β=-1.122 p=.003), and average daily using time (β=2.975 p=.000). These factors explained 43.6% of the variance in smartphone addict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smartphone addiction, with consideration to the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outlin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