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누가 뉴스 맞춤화(customization)를 이용하며 시민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정향욕구, 뉴스 맞춤화, 의제다양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Zhieh Lor,최지향(Jihyang Choi) 한국언론학회 2020 한국언론학보 Vol.64 No.4

        The present study sheds light on news customization, a frequently adopted strategy to cope with news overload. Researchers aimed to reveal who the users of news customization are and what the possible effects of such news use on citizen competence are. In this study, news customization is defined as users’ explicit involvement in the process of tailoring news products that they will eventually consume. Specifically, researchers focused on the role of need for orientation as a possible antecedent of news customization, as well as agenda diversity as a potential consequence of the customized way of news use. For analysis, original survey data among 1,264 Korean adults were employed. Findings show that users customize news depending on their preferred news topic and outlet. In other words, users design their customized news environment based on the need to selectively consume news that deals with topics of their interests, as well as the need to receive news from their preferred news outlets among prevalent news provider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need for orientation and agenda diversity, we examined separately the role of three different dimensions of need for orientation: orientation for issue, orientation for facts, and orientation for evaluation. The orientation for issue refers to the need to be informed about current news issues instantly and constantly; the orientation for facts refers to the need to know about the details of news issues; and the orientation for evaluation means the need to know news media’s comments and opinions about news issues. Results show that those who have high orientation for issue are more likely to use news outlet customization and those who have high orientation for evaluation demonstrate a higher tendency to use both news outlet customization and news topic customization.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orientation for facts and news customiz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also shows that news topic customization may have negative effects on citizens agenda diversity. News topic customization nega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ientation for issue and agenda diversit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orientation for evaluation and agenda diversity. The findings about the potentially negative effects of news customization on agenda diversity suggest that news users and news providers need to design the customization environment considering the social role of news. Enhanced customization may attract more users and increase users’ perceived level of satisfaction, but such service may not fulfill the socially expected function of news, such as surveillance of environment, social cohesion, and correlation of environmental par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news users and news service providers have been discussed.

      • KCI우수등재

        종합편성 채널 도입과 방송 뉴스 보도의 다양성

        조은영(Eunyoung Cho),유세경(Sae-Kyung Yu) 한국언론학회 2014 한국언론학보 Vol.5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V news diversity among seven TV channels, including four comprehensive channels. To do this, ‘Railway strike news coverage’ of seven channels were analyzed in three ways, type of news topics, type and status of news sources, and viewpoint of the news. As a results, there are som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hannels in terms of the diversity. But most of the channels were more emphasized on negative side of the ‘Railway strike news coverage’ than positive side and they were more used “Korail” corporate sources than “Korail” union sources. In addition, high status news sources were the most frequent source of such news. Anchor and news reporter’s attitude was also measured in terms of negative point of view generally. However, JTBC, one of the comprehensive channels, differed from other channels in the type of news topics, type of news sources and viewpoint of the new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V news diversity index slightly increased since the four comprehensive channels had introduced.

      • KCI등재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포털 뉴스 다양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사회적 소수자⋅약자 뉴스를 중심으로

        김하영,윤석민 정보통신정책학회 2023 정보통신정책연구 Vol.30 No.1

        As Korean portals like Naver and Daum have gained increasing user influence, they have taken on more public responsibility. The portals have revised their news service policies several times to combat journalistic maladies, but that has not been enough. As a result, the portals came together to form The Committee for Evaluation of News Partnership which has been granted press affiliation and entry evaluation rights as a third-party institution.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ommittee's activitie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portal news, focusing on ‘Diversity’ that serves as a starting point of democratic public discourse. The paper analyzed the changes the committee brought to the demographic diversity of Naver social minorities news. The study first categorized the article keywords into nine minority topics which were then compared by quantity. Next, the study conducted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o see the context in which the keywords are used. The study discovered a large improvement in diversity as well as a growing overlap between the topics after the committee’s establishment. The one-sided perspectives toward the minorities have also begun to shift toward their own perspectives, which is in line with the proactive meaning of diversity. However, the facts that the articles still mainly focus on the large volumes of minority groups and the overall groups are currently facing another form of otherization indicate what regulatory standards the committee needs to consider.

      • KCI등재

        지역 TV뉴스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대구 지역 공중파 TV뉴스를 중심으로

        배현석 한국언론학회 2002 한국언론학보 Vol.46 No.5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 of local television newscasts in Daegu in terms of news uniqueness, topic diversity and news delivery forma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l) above half of the local news stories offered by the stations were unique to one station; (2) the topics of the whole news stories and the unique stories offered by the stations were diverse; and (3) over 70% of the news stories including unique news were delivered by anchor only. Each additional TV station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pool of unique and diverse news content televised in a community, but high percentage of anchor-read stories representing low financial commitment may lead to poor market performance. 이 연구는 약 7개월에 걸친 표집 기간 가운데서 무작위로 추출한 4주간 분량의 대구 지역 세 공중파 TV 방송국의 주요 저녁 뉴스캐스트를 통해 방송된 뉴스의 독특성, 토픽의 다양성 및 뉴스 제시형식을 내용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각 방송국의 뉴스캐스트들이 모두 절반 정도의 기사를 경쟁 방송국에서 그 날 다루어지지 않은 독특한 뉴스(unique news)에 할애하고 있었다. 즉. 세 방송국의 뉴스캐스트들이 평균적으로 하루에 제공하는 약 40개의 기사 가운데 약 21개가 독특한 뉴스였다. 둘째, 이들 방송국이 다룬 뉴스의 토픽이 전체 13가지 가운데 절반이 넘는 7가지의 토픽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따라서, 대구 지역의 TV 방송국들은 지역사회의 뉴스 풀(news pool)이 새롭고도 다양한 토픽의 뉴스로 채워지는데 상당한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전체 기사뿐만 아니라 독특한 기사들도 뉴스 제시형식면에서 앵커와 기자가 함께 진행하는 패키지 형식보다 앵커가 혼자 진행하는 앵커 읽기 형식이 훨씬 더 많았다. 이러한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낮은 투자는 시청자들의 뉴스에 대한 신뢰도와 충성도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나쁜 시장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미디어에 비해 지역의 공중파 방송국이 강점으로 내세울 수 있는 뉴스 프로그램에 대한 보다 높은 재정 및 자원 투자가 요구된다.

      • KCI등재

        지상파TV 뉴스의 다양성 및 중복성에 관한 연구

        정수영(Soo-Young Jung),구지혜(Jihae Goo) 한국방송학회 2010 한국방송학보 Vol.24 No.3

        본 연구에서는 다매체 다채널 환경 하에서의 지상파TV 뉴스의 내용적 특징을 밝혀내고, TV뉴스의 다양성과 중복성이 지니는 새로운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2009년에 방송된 KBS, MBC, SBS의 저녁 종합뉴스 프로그램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총 1,942개 뉴스 항목의 주제와 취재원, 채널 간 의제 중복도에 관한 실증 분석을 하였다. 〈연구 문제 1〉은 지상파TV 3사의 저녁 종합뉴스 프로그램에서 보도된 뉴스의 주제 및 취재원의 다양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뉴스 주제는 사건/사고, 법조/검찰/비리, 국제/해외 뉴스가 많았다. 취재원의 경우, 정부/행정기관과 익명/불분명 유형이 가장 많았는데, 방송 3사 간에 통계 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 할 수 있었다. 뉴스 주제별 취재원 분포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정치/행정 뉴스에서는 익명/불분명 취재원 비중이 높았고, 일반인 취재원은 연성뉴스에 치중되어 있는 등, 취재원의 편중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 2〉는 뉴스 의제의 채널 간 중복도를 살펴보고, 채널 간 중복 유형에 따른 주제 및 취재원 분포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채널 간 중복도는 ‘단독보도’ 37.3%, ‘2사 중복’ 15.3%, ‘3사 중복’ 47.4%였다. 중복 유형별 뉴스 주제 및 정보원 분포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뉴스 매체로서의 지상파TV가 지니는 사회적 위상과 뉴스 채널 간의 배타적 시청이라는 특성을 결부시켜 보면, 지상파TV는 공적 영역의 뉴스를 보편적으로 전달해야 한다는 전통적 가치와 원칙에 보다 충실해야 한다. 의제 중복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의제 중복성을 단지 획일화로 규정 하거나 뉴스의 개별성 또는 독특성을 다양성으로 규정하는 기존의 해석과 논의의 틀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un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errestrial TV News under multimedia multichannel environment, investigated TV news’ diversity and duplication possessed the new implications. And we analyzed a total of 1942 news items and source, channel -agenda of duplication rate about evening news program aired on KBS, MBC, SBS in 2009. Research question 1 is analyzing diversity of the terrestrial TV 3’s evening news program reported news subjects and sources. In the results, most of news topics are events/accidents, legal/prosecution/corruption, international and foreign news. For the sources, the government/administrative agencies and anonymous /unknown type took the majority, and in each of three broadcast sta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 range of news topics’ source distribution had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Source bias phenomenon has been observed in politi cal/administrative news had a large part of anonymous/unknown sources, and the public sources focused on soft news. Research question 2 is the checking of duplication rate on news agenda among each channel and investigating of the subjects for channels of duplication types or characteristics of the sources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duplication rate of channels were 37.3%, 15.3%, and 47.4% for exclusive coverage, Duplication in two broadcasting stations, and duplication in 3 stations respectively. News subject of duplication type and sources distribution was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our findings, since the terrestrial TV channels of news agenda duplication is inherent in the side of social agenda formation and consensus,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need to escape the existing interpretation and framework that terrestrial TV channels of news agenda duplication terms as standardization, and individuality or uniqueness of the news represent diversity

      • KCI등재

        제주지역 TV방송 뉴스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

        이지현 ( Ji Hyeun Lee ),고영철 ( Young Churl Ko )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언론과학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제주지역 지상파 TV방송뉴스 토픽의 주제 및 정보원 유형의 다양성 등을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약 7개월의 걸친 표집기간 가운데서 체계적인 표집방법을 통해 추출한 2주간 분량의 세 개의 지상파TV방송의 저녁 뉴스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방송뉴스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주제는 행정/지자체, 경제/산업, 범죄/사고, 정치등과 관련된 뉴스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환경과 공해, 복지/보건, 스포츠 관련 뉴스의 보도비율은 매우 낮았다. 둘째, 제주지역 방송뉴스 중에 다른 방송사에서 다루지 않는`독특한 뉴스`의 비율이 `중복된 뉴스`의 보도비율보다 곱절 더 많았다. 즉 전체 뉴스 중 `독특한 뉴스`의 비율이 전체 뉴스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했으며, 제주지역 세 개 방송사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한 지역내의 경쟁 방송사들간에 보도내용이 차별화될수록 지역사회의 여론이 그만큼 다양해진다는 점을 고려하다면, 이 같은 결과는 제주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해 아주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보아진다. 셋째, 취재원의 유형과 수에서는 다양성을 찾아볼 수가 없었다. 제주지역방송뉴스는 뉴스 아이템 1건당 평균1.47개의 취재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세 개 TV방송 모두가 취재원으로 지방행정기관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 기업/경제인, 교육기관, 중앙정부, 법원/경찰 등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뉴스의 취재원이 사회지배계층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것이 본 연구에서도 재차 확인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ventional practice of TV broadcasting news reporting in the Cheju Island region, and its characteristics. Towards this end, following the selection of three kinds of research issues, the contents of two weeks`evening news obtained from three different broadcasting systems, which were sampled over a period of seven months using a systematic sampling method,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ppear to be the most covered topics in regional TV news are the administration/self-governing local governments, the economy/industry, crimes/accidents, and politics. On the other hand, the reporting on the following areas appear to be far too low: the environment and pollution, welfare/health, and sports. (2) The ratio of unique news, which other broadcasting systems do not have, is double the ratio of the repeated news in the TV broadcasting news programs aired in Cheju Island. In other words, unique news account for more than two-thirds of the total news.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the three broadcasting systems in Cheju Island. Given the fact that the public opinions in a local community become diversified as the competing broadcasting systems in the region differentiate their reporting contents, it may be argued that such results are desirable for the development of Cheju Island. (3) No diversity was found in the types and number of news sources. TV news broadcasting in Cheju Island appears to involve an average of 1.47 news sources per news item. Moreover, the local public authorities appear to be the favorite news source of the three TV broadcasting systems in Cheju Island, followed by enterprises/businesspeople, educational institutes, the central government, and courts/police, in this order.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ources of broadcasting news predominantly focus on the governing classes in the society.

      • KCI등재

        지상파와 종편채널의 뉴스특성 비교연구

        강명현 ( Myung Hyun Ka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6 언론과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종편 채널 등장 이후, 종편 채널의 가장 핵심적인 장르라 할 수 있는 보도 분야에서 다양성 증진이라는 정책적 목표가 실제로 실현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지상파와 종편 채널에서 방영된 총 513개의 뉴스 아이템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먼저 주제 및 취재원의 구성측면에서 지상파 뉴스가 종편 채널 보다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 개 채널 간 다양성에 있어서는 KBS>SBS> JTBC의 순으로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V조선은 주제의 다양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형식적 측면에서는 지상파와 종편 뉴스 간 차별성이 없었지만 채널별 비교를 해 본 결과, TV 조선은 채널 중에서 영상 그래픽및 음악효과에 대한 사용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부 종편채널의 특정 이슈에 대한 심화현상 및 취재원의 편향성, 그리고 자극적 구성에 대한 우려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으로 다양성 추구라는 종편 채널의 정책적 목표와 배치되는 결과를 낳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상파 방송의 뉴스 역시 경쟁의 심화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도식적 보도 관행이 여전히 재현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any differences or similarities of the news between the over-the-air broadcasters and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in terms of diversity. A content analysis of 513 news item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o provides more diverse topics or formats. The study found the over-the-air broadcasters provided more diverse topic and interviewees compared to the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such as JTBC or TV Chosun. Nevertheles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in terms of news formats (i. e., use of graphics or sound musics) between the two, except for news length. The results suggest that it was not efficient for the government policy to increase media diversity by licensing the new general programming channels. They also show that the news of over-the-air broadcasters follow the same typical formats in spite of increasing channel competitions. Based up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broadcasting policy in the media diversity are finally suggested.

      • 제주지역 방송뉴스의 다양성

        최낙진(Choi Nak-Jin) 동서언론학회 2006 동서언론 Vol.10 No.-

        이 연구는 제주지역 방송뉴스의 다양성에 관한 고찰이다. 제주KBS, 제주MBC, JIBS, KCTV의 주요 시청시간대 뉴스 중 ‘특별자치도’ 관련 기사를 선택하여 기사유형, 정보원, 뉴스프레임 등에서 다양성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4개 방송사 모두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기사유형에서는 스트레이트뉴스가 압도적으로 많아 지역방송 뉴스들이 상황전달 자체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보원 유형에서는 지방정부 의존도가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방정부가 ‘특별자치도’ 공공의제의 주요 관리자였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프레임 유형에서는 갈등프레임과 정책프레임이 높게 나타나 ‘특별자치도’ 의제가 갈등이슈와 정책이슈 위주로 논의 되었음을 알게 한다. 종합하면 다양성면에서 방송사 뉴스 간 차이들을 크게 발견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기사유형에서는 KCTV, 제주KBS에서 기획성리포트가 JIBS와 제주MBC에서는 해설뉴스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보원에서는 제주KBS의 시민단체, JIBS의 중앙정부, 제주MBC와 KCTV의 지방정부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되었다. 프레임에서는 상대적으로 제주KBS가 갈등프레임을, 제주MBC는 대안프레임을, KCTV는 정책프레임을, JIBS는 다른 방송사에 비하여 다양한 뉴스프레임을 구사하고 있었다. 방송사별 뉴스 내용이 다양하게 분화될 수 있는 약간의 징후가 나타나기도 했으나, 전체적으로는 제주지역 각 방송사들의 뉴스상품의 차별화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즉 각 방송사 뉴스가 모두 동일한 것처럼 보이는 ‘동질적 과점' 상태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To study the diversity in regional broadcasting news in Jeju, news items related to the Special Self-Government aired in the prime time news programs of the major broadcasting companies in Jeju (Jeju KBS, Jeju MBC, JIBS, and KCTV) were selected, and the different sources of information of these news items, and their types and frames, were identified and compa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ll the four major broadcasting companies in Jeju show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as for the type of news, the most ubiquitous type of news was straight news, which shows that the regional news in Jeju rely heavily on reporting the details of newsworthy events; (2) as for the sources of information, the local government topped the list (this indicates that the local government is the main manager of the Special Self-Government's public agenda); and (3) as for the news frames, the conflict and policy frames occurred most frequently, demonstrating that the agenda of the Special Self-Government has been discussed mainly in light of conflicting issues and policy issues. In conclusion, no significant findings were obtained as regards diversity in the news items presented by the major broadcasting companies in Jeju.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however, in relation to other aspects. As for types of news, KCTV and Jeju KBS deliver more project-oriented reports while JIBS and Jeju MBC showcase more commentary news. As for sources of information, Jeju KBS is more dependent on civil organizations, and JIBS, on the central government. Jeju MBC and KCTV, on the other hand, get information most often from the local government. As for news frames, Jeju KBS is using relatively more conflicting frames, and Jeju MBC, more alternative frames. KCTV, for its part, uses more policy frames while JIBS uses more diverse news frames compared to the other companies. While some indications of the fact that the news delivered by each broadcasting company are different from those delivered by the others were found, overall, the news delivered by each major broadcasting company in Jeju do not differ much from those delivered by the others. In other words, it can be conclud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at the news delivered by each major broadcasting company in Jeju have not gone beyond the bounds of "homogeneous oligopoly,"in which the news items appear to be identical to one another.

      • KCI등재후보

        인터넷 뉴스사이트 유형별 비교분석

        김재영(Kim Jae-Young) 한국방송학회 2002 한국방송학보 Vol.16 No.3

        이 연구는 인터넷 뉴스미디어 발달에 대한 파블릭의 3단계 모델을 사이트 유형과 접목시킴으로써 인터넷기술의 실제적인 활용조건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통해 뉴스사이트가 파블릭의 주장처럼 진화론적 차원에서 선형적으로 발전하는지, 아니면 그 유형에 따라 발전단계를 달리하연서 상이한 수준의 사이트가 공존하는지를 설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신문사, 방송사, 독립사이트들이 상호작용기제를 구축하고 멀티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데 차이를 보일 것이라고 가정했다. 분석결과 이러한 가정은 지지 되지 않았다. 이는 파블릭의 선형적 진화론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뉴스사이트의 내적인 운영메커니즘과 이 분야 시장에서의 경쟁양상을 고찰함으로써 그 이유를 설명했다. This study examined the online newspapers′ application of the web features that presumably would contribute to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et from both interactivity and multimedia It presumed that the level of utilizing two important communications tools, interactive mechanism and format diversity, differed in the web sites established by the newspaper companies, broadcast stations, and non-offline-based (independent) companies. To explore whether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Internet news sites differed in interactivity and format diversity, this study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Interactivity was operationalized by determining how many of 12 different interactive mechanisms were found on the web site. Format diversity was operationalized by determining how many of five different formats of information were found on the web site. A sample of 15 Internet news sites was analyzed in this study. One-way ANOVA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interactivity and format diversity scores of newspaper-based, broadcast station-based, and independent news sites. Results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nteractivity and format diversity among the three types of Internet news sites. This study suspected that these results were due to the high dependency of online news media on news-producing practices of offline media, financial difficulties of most online newspapers, and the influence of offline brand power on online news market.

      • KCI등재후보

        전주지역 지상파3사 방송 메인뉴스의 중복성에 관한 연구

        최용준(Choi, Yong Jun),최윤규(Choi, Yoon Kyu)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5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9 No.1

        지역지상파방송의 구조적 환경 악화는 지역방송 뉴스의 질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자체 보도자료 의존률이 높아지면서 지역방송 뉴스의 중복률도 높아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전주지역을 대상으로 무료보편적 정보원으로써 역할하고 있는 지역지상파방송 뉴스의 중복률을 살펴봄으로써 지역정보의 다양성이 확보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뉴스 기사의 내용분석을 위해 2013년 9월1일부터 9월 30일까지 한 달 중 추석 연휴를 제외한 27일 동안 전주지역 지상파3사의 메인뉴스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주지역 지상파3사간 뉴스 기사 중복률은 평균 36.4%로 나타났고, 전주 MBC가 42.1%, KBS전주총국 35.7% 그리고 JTV 31.8%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는 전체 뉴스 시간량의 차이에 따른 보도 건수의 많고 적음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다양한 뉴스가 보도되기 위해서는 전체 뉴스 시간량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중복률이 높은 보도 분야는 의료 분야였으며 방송사들이 보도자료를 가장 많이 의존하는 행정 분야는 상대적으로 중복률이 높지 않았다. 뉴스 기사의 중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소는 기사의 시의성과 비판 유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의성이 높을수록, 비판적 시각을 포함할수록 기사의 중복률이 높게 나타났다. 전주지역 지상파3사 메인뉴스의 중복률은 10여 년 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지만 몇몇 타지역과 수도권 지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분석됐다. A structural environment of local televisions is getting worse. It could affect the quality of news in local televisions. Local television news depend on press releases from local government more and more. It will increase the duplication of news items among local television news. This study analyzed the duplication of news items among local televisions’ main news at Jeonju with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the duplication of news items are 42.1% for Jeonju MBC, 35.7% for KBS Jeonju, and 31.8% for JTV. However, the difference of duplication rate will be stemmed from total length of news. The longer local television news time is, the less duplicated news itmes are. Medical news items are more duplicated than other news items. On the contrary, administration news items which are the most dependant on press releases from local government are relatively not much duplicated to be expected.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duplication of news items are timeliness and critical view. The duplication of local television news at Jeonju is higher than over 10 years ago, but it is a little better than other local areas and national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