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례예술의 제작과 여성의 임파워먼트: 네팔 자낙푸르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학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8 아태연구 Vol.25 No.1

        Women in the Mithila region in Nepal have been severely restricted and controlled by the male members of families. The Mithila community follows deeply entrenched patriarchal traditions. The women’s home-centric culture in Mithila society has resulted in the development of rich ritual art,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from mother to daughter. Mithila homes are often decorated with extensive place painting and wall paintings, which depict religious scenes and motifs especially in the religious festivals and other important occasions like weddings. Since the early 1990s, the wall paintings have been transferred to paper for income generating opportunities by NGO running ‘Janakpur Women’s Development Center(JWDC)’ as well as some individual artists.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at Mithila women’s painting ritual art on paper is enabling the empowerment of women. This paper argues that women engaging in painting ritual art, namely ‘Mithila paintings’ are increasingly finding opportunities to empower themselves in terms of finding of economic independence and voice of their own, improving of self-esteem, breaking of gender-stereotypes, and looking at socio-political issues from new perspective. However, in spite of undoubtedly improving of the lives of many women who are engaging in paintings collectively or individually, it takes a long time to empower women in the strong patriarchal Mithila community. 네팔 미틸라(Mithila) 지역은 남성이 여성을 강하게 통제하는 가부장적 사회이다. 여성의 시·공간적 움직임이 통제되기 때문에 여성은 안마당에서 주로 활동하며, 힌두 축제나 결혼식처럼 종교적으로 특별한 날에 가옥의 바닥과 벽면에 종교적 성격의 그림을 그리는 전통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1990년대 초반 NGO인 ‘자낙푸르 여성발전센터’ 주도로 벽면의 그림이 종이나 캔버스에 옮겨진 그림인 ‘미틸라 회화’ 제작에 종사하는 여성들이 등장하였다. 이들 여성들은 시·공간적인 이동을 규제하는 금기를 위반함으로써 가족과 지역사회의 비난과 다양한 핍박을 받았다. 이 연구는 여성발전센터에서 집단적으로 또는 개인작가 수준의 미틸라 회화를 제작하는 여성들이 경제적 독립성 성취와 새로운 기술과 지식의 습득 및 국내외 전시활동 참여로 기존 젠더 규범에 대해 희미하게나 비판적 시각을 갖게 되는 경험을 통해 역량이 강화되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바를 규명하고 있다. 이 여성들은 회화 작업을 통해 경제적 독립성을 성취하고 젠더 규범과 사회·정치적 현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지게 됨으로써,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철저히 남성 지배적인 미틸라 사회 전반을 고려할 때 여성의 역량강화와 같은 변화는 점진적일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 의례회화(繪畫)의 상업적 변용

        신창운(Chang-Woon Shin)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11 종교문화학보 Vol.8 No.-

        인도 비하르(Bihar) 주 미티라(Mithila) 지역의 여인들은 집안의 가정의례와 정화를 위한 그림을 전통적으로 그려왔다. 의례 회화라 할 수 있는 이러한 그림은 힌두교의 신화에 등장하는 다양한 신들을 표현해왔다. 이 그림은 1960년대 중반 극심한 자연재앙을 극복하기 위한 인도 정부의 정책에 힘입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 후 이 그림은 인도의 관광기념품점에서 인기 있는 품목이 되었고 마두바니 회화로 거듭났다. 마두바니 회화는 변화를 지속하면서 농촌사회의 다양한 카스트의 여성들과 남성들의 동참을 이끌었다. 농사를 짓던 마을은 그림 그리는 마을로 바뀌었고 농촌여성들은 국제적으로 주목 받는 예술가가 되었다. 농촌 화가들은 자신들의 인생사를 포함해 종교적 갈등과 부조리에 대한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 연구는 의례를 위한 미티라 회화가 어떠한 과정을 통해 현대적으로 계승되어 왔는지를 규명하고 있다. 특히 마두바니 회화로 거듭난 이후 새로운 기법이나 형식을 창안한 지역 내 다양한 카스트들의 회화적 대응양태를 사회․문화적인 맥락 하에서 살펴보고 있다.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women has been described for their family ritual and purification who are living in the region of Mithila in India. This ritual painting have expressed various gods and goddess in the myths of Hinduism. The Mithila painting became generally known by Indian government project in the middle of 1960s which project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from serious disaster in agricultural village. Later this folk painting on paper became popular items in a souvenir shop and was reborn Madhubani painting. While the Madhubani painting is changed its style, all caste member in the rural society, participated working that paint. The agricultural village was changed into paint village. Women who living in the village became international artists. The village painter express their own life matter and trouble of religion on their paper. This study has aimed to examine about the process on the commercial development of the ritual painting. The various castes in the village were made new technic and styles after reborn Madhubani painting. This study is focusd on artistic confrontation between high and low caste o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vil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