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민요의 문화적 소통 실태와 과제

        양영자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1 No.-

        Since folk songs are sociocultural products, we can view those song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communication. Whereas Jeju folk songs were sung in sunuleum, a kind of work of cooperation, community, they are nowadays being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through various performances and festivals. This paper aims to discover how Jeju folk songs are being culturally communicated and handed down in Jeju by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the Jeju folk songs. For meaningful communication of Jeju folk songs, it also seeks to find out how to solve the problems which are being made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is paper focuses on some features that have markedly demonstrated the status of cultural communication:the activities of minyopae, the groups of folk songs, those of Folklore Preservation Society, those of the education of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folk contests like Tamna Culture Festival, a variety of festivals, the performances of a lot of performing art troupes, Sound Pangut (Musical nodongyo, song of work) as a cultural movement, and the productions of the records. In addi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some problems of these activities. People have been trying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folk song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However, it has caused the contamination of traditional folk songs and a loss of identity owing to the way of communication that mainly centers on performances and the s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Jeju folk songs should be not one-time ‘watch and enjoy’ ones but ‘sing along’ ones in everyday lives for the meaningful and regional communication. To do so, cultural communication is needed for more systematic and desirable ways. 민요는 사회사적 생산물이므로 문화적 의사소통의 한 차원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과거에는 노동 현장인 수눌음 공동체 속에서 제주민요가 소통해 왔다면, 오늘날에는 각종 공연과 축제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이 논문은 제주민요가 제주사회에서 어떻게 문화적으로 소통하면서 전승되고 있는지 현재의 소통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소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의미 있는 소통으로 만들어 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주 민요의 문화적 소통실태를 현저히 보여주는 것으로 민요패나 민속보존회 활동,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활동, <탐라문화제>를 비롯한 민속경연대회, 각종 축제행사, 여러 예술단의 공연 활동, 문화운동으로서 ‘소리판굿’, 음반제작 활동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들 활동들이 민요의 전승과 보전, 대중과의 소통을 위해 애쓰고 있지만 공연 일변도의 대중 소통과 무대화로 인해 전통 민요의 오염과 정체성 상실을 초래하게 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제주민요의 의미 있는 지역적 소통을 위해서는 일회성으로 ‘보고 즐기는’ 민요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함께 부르는’ 민요의 생태적 성격을 살려 나갈 수 있도록 좀 더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문화적 소통이 실현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