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혼과 1인 가구 시대의 청년층 결혼 가치관 연구

        호정화(Jeong-Hwa Ho)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4

        비혼 및 1인 가구의 증가는 보편적 결혼과 비혼자의 가족 동거라는 전통적인 가족 규범을 벗어난다는 점에서 종종 가치관의 변화와 관련되어 논의되지만 실제로 이를 검증하는 연구는 부족하다. 이 논문은 2008년과 2012년 통계청 사회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25~39세 청년층의 결혼 가치관은 혼인 및 거주형태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결혼 가치관은 2008년과 2012년 사이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그리고 그 정도와 방향은 혼인 및 거주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혼인 및 거주형태는 비혼이며 1인 가구를 형성하는 경우(비혼-1인가구원), 비혼이며 가족과 같이 사는 경우(비혼-가족가구원), 그리고 기혼이며 가족과 같이 사는 경우(기혼-가족가구원)로 구분하였다. 결혼 가치관은 결혼과 이혼에 대한 태도와 결혼 문화에 대한 태도(결혼 관계에서의 가족 우선성, 비혼 상태의 동거와 자녀 양육에 대한 동의 정도)로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비혼-1인가구원은 비혼-가족가구원과 기혼-가족가구원에 비해 탈전통적인 결혼 가치관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닐 확률과 이혼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지닐 확률이 모두 낮았으며, 결혼생활에서 당사자보다 가족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한 동의 정도가 낮았다. 반면 남녀가 결혼하지 않고 함께 살거나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높은 동의 정도를 보였다. 2012년의 응답자는 2008년의 응답자보다 더욱 탈전통적인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변화의 크기는 전통적인 결혼 및 거주규범을 따르는 기혼-가족가구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결혼 가치관의 탈전통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게 한다. The increase of the unmarried and one-person households among young adults characterizes family changes in Korea since 2000. This study examines how these changes relate to marriage values system. Three types of marital status and living arrangements were compared: unmarried solo residents, unmarried family coresidents, and married family coresidents. Marriage values system was measured in five domains: attitudes toward marriage, attitudes toward divorce, priority of family over individual in marriage, attitudes toward cohabitation, and attitude towards non-marital childrearing. This study relied on two waves of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from the Korean Social Survey (2008 and 2012). Results suggest that, the unmarried solo residents tend to have less traditional values system: they were less likely to see marriage as a positive norm to follow and less likely to view divorce as a negative event. They were less likely to agree that family has priority over individuals in marriage but were more likely to agree that marriage is not a necessary condition for cohabitation and childrearing. The married family coresidents, however, have experienced greater magnitude of changes in marriage values system between 2008 and 2012. Implications on future family chang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비혼여성의 결혼가치관 관련요인 탐색: 결혼이미지, 심리적 적응, 가족체계를 중심으로

        이혜원,주영아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marriage values of single women. For this, the images of marriage,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the family system were investigated as main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among single women over the age of 35 living across the country, and in total 321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ingle women’s images of marriage wer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ir marriage. Secondly, it was verified that the young single women had a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about marriage and that they had an exclusive attitude about marriage if they could not model the harmonious marriage from their parents or if they had higher economic capacity. With this result, this study presented the meaning and the suggestions of the study. 본 연구는 비혼여성들의 결혼가치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주요변인으로 가족체계, 결혼이미지, 심리적 적응을 살펴보았다.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만 35세 이상의 비혼여성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21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결혼이미지는 비혼여성들의 결혼으로의 이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둘째, 연령이 낮은 비혼여성은 상대적으로 결혼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으며, 부모로부터 조화로운 결혼생활을 모델링하지 못하거나 높은 경제적 능력을 갖춘 경우 결혼에 대해 배타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함께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개인의 존엄과 이혼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헌법 제10조와 제36조 제1항의 관점에서 본 대법원판례(2013므568)와 EU국가의 입법을 중심으로 -

        박선영 유럽헌법학회 2016 유럽헌법연구 Vol.20 No.-

        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 우리나라 이혼건수는 약 11만 5천 5백 명으로 OECD 아시아 회원국 가운데 이혼율 1위를 기록했다. 2005년 이후 이혼율은 조금씩 줄어들고 있으나, 결혼을 원치 않는 非婚率과 晩婚率이 상승하면서 이혼율도 동반 하락하는 것일 뿐, 이혼이 실질적으로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이같은 사회현상은 20세기 후반 압축성장과 민주화가 동시에 진행되면서, 혼인과 이혼, 가족생활에 대한 인식이 급속히 변화하면서 생겨난 결과로 분석할 수 있지만, 헌법학적으로 보면 개인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 평등권 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혼사유를 분석해도 결론은 마찬가지다. 2012년도의 이혼사유통계를 보면 성격차이 47.3%, 경제적 이유 12.8%, 배우자부정 7.6%, 가족 간 불화 6.5%, 정신적·육체적 학대 4.2%이다. 두 번째 이혼사유인 경제적 이유를 제외하고는 이혼의 80% 이상이 개인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과 관련한 사유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혼인이란, 전통적인 가족관계의 유지라고 하는 도덕적·수직적·유교적 가치추구에서 벗어나 사랑과 자유의사에 기초한 개인적 합의임을 인식하고, 혈연관계나 자녀에 대한 책임감보다는 개인의 존엄과 가치, 평등을 통해 행복을 추구해 가는 ‘수평적 공동체’라는 가치관으로 변모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은 인식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대법원은 1965년 ‘축첩한 남편의 이혼청구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판결을 내린 이후 지금까지 50년 동안 유책배우자(the party at fault)의 이혼 청구를 지속적으로 기각해 왔다. ‘혼인을 깨뜨린 잘못이 있는 배우자는 이혼을 청구할 수 없다’는 이른바 ‘유책주의’ 기본원칙을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대법원은 기존의 유책주의 판례의 변경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공개변론을 열고 전원합의체에 부의했지만, ‘파탄주의를 도입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7대6으로 유책주의를 유지하는 판결을 내렸다. 본고에서는 헌법의 최고규범인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제10조)이라는 관점에서 혼인의 실체가 없는 형식을 국가가 강요하는 이른바 ‘유책주의’가 우리 헌법 제36조가 보장하는 ‘혼인과 가족생활에 있어서의 개인의 존엄과 양성평등’에 부합하는지, 영국, 독일, 프랑스 등 주요 EU국가와의 비교법적 고찰을 통해 바람직한 입법개선책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in 2015, last year's korean divorce rate hit the highest record among OECD countries in Asia. Superficially korean divorce rate has declined since 2005, but actually this does not indicate divorce rate declining, because a number of people who are not married has significantly gone up. Rapid growth and democracy movement in the late 20th century in Korea might have been a contributing factor to change of korean perception of Marriage and divorce·family life, but the biggest main cause is due to the self-awareness of Human Dignity·Equality·Right to pursue one's happiness like the concepts of Constitutional Value. The reason of divorce shows same result: according to the of Statics Korea, about 47.3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want divorce because of difference in personality, 12.8% are economic reason, 7.6% are infidelity, 6.5% are discord, 4.2% are physical·psychological abuse ect.: this statics are demonstrating a fast-changing public perception toward marriage, over 80% are thinking that human dignity & happiness, equality are more important than the classic value of marriage. In spite of the change of values, Korea Supreme Court ruled last year in 2013Mu568, even though the conditions indicated in Korean Civil Law §840⑥ are satistifed and the marred couple has serious causes that make it difficult to continue the marriage, still the party at fault can't request a Judicial Divorce. The Supreme Court's Fault Based Divorce stance are continuing for 50 years from 1965, for a reason it's not ethical to let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damaging of the marriage to end it at his(her) own will. At last the Supreme Court does not allow the person at fault to file for divorce. This study review the case 2013Mu568 at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value(human dignity, right to pursue of one's happiness, equality in the family life) compare with British, Deutch, France legislations of EU countries, and suggest desirable improvement of a legal system from a practical viewpoint 'divorce should be not a sanction but a legal remedy'.(The End)

      • KCI등재

        ‘건강한 커플관계’ 교육이 고등학생의 관계형성능력과 결혼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유인영,박미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4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influence of 'Healthy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on the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ies and marriage values of high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Healthy couple relationship' lesson plan developed by the author was executed in two high schools for eight weeks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 2018 from which the effect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ealthy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has been effective in improving their relationship performance, which is a part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S high school, the paired t-test of pre-/post-test comparison resul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reas of 'communication', 'conflict resolu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 performance'. For Sejong City campus-type joint curriculum group, where Wilcoxson signed-rank test was applied due to small sample size, showed that the overall scores as well as all the subsections of ‘relationship formation performance’ (i.e., ‘communication’, ‘self-understanding’, ‘conflict resolution’, and ‘empathy’) have improved,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Healthy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marriage values of high school students. In S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marriage values render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hange, while in campus-type joint curriculum in Sejong City,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cted. In conclusion, the ‘Healthy couple relationship’ education can help high school students build positive values by cultivating their ‘relationship formation competence’, which is a part of the competencies listed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lso broaden their understanding of marriage, by acquiring knowledge and skills to build healthy couple relationships, and learning to implement the knowledge and skills in their own l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