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洪奭周 『訂老』에 나타난 道論

        조민환 동양철학연구회 2004 東洋哲學硏究 Vol.38 No.-

        조선조 유학자들의 『노자』 이해는 『노자』를 異端이라고 규정하면서도 주석하는 입장에 따라 『노자』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거론하는 면으로 나타난다. 유학자들의 이같은 입장의 밑바탕에는 유가적 입장에서 『노자』를 이해한다는 것이 깔려 있는데, 홍석주도 이런 점에서는 예외가 아니다. 홍석주는 노자사상을 올바로 이해하여 유가의 성인의 말과 일치하는 것은 스승으로 삼고 그렇지 못하는 것은 분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런 관점에서 출발하여 홍석주는 기존의 『노자』 이해가 잘못되었다는 입장에서 출발하여 『노자』 이해의 올바른 이해라는 의미의 『정로』를 쓴다. 홍석주는 노자의 도에 대해 『中庸』이나 『周易』을 통해 말하는 道와 성리학자들이 말하는 理 등과 연계하여 이해한다. 그리고 노자의 도를 이해함에 기본적으로 자연의 도와 인륜의 도는 별개의 것이 아니라는 입장에서 출발한다. 홍석주가 노자의 도를 自然之道로 이해할 때 그 도는 유가의 『주역』 이나 『중용』에서 말하는 無聲無臭로서의 인식 불가능한 도와 별반 다를 것이 없음을 알 수 있다. 차이가 있다면 유가는 理를 강조하고 道가 사물에 내재한다고 보는 사유라 할 수 있다. 이런 차이점은 보다 구체적으로 홍석주가 현실을 말하는 인륜지도에서 實事 혹은 實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홍석주는 기본적으로 자연지도로서의 도가 중요하지만 인륜지도로서의 도를 놓쳐서는 안된다는 것을 말하고자 한다. 즉 유가는 형이상학적인 도의 虛를 말하면서 또 형이하학적인 器의 측면에서 현실과 관련된 '實事' 혹은 '實'을 말하는 것을 통해 유가와 노자의 차이점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점이 노자의 도를 자연으로 이해하면서 또 인륜지도에 응용되었다. 홍석주는 노자의 도에 대한 다망한 이해를 동하여 도를 체득한 경지에서 드러나는 柔弱謙下, 淸談寡欲 등을 말하고 있다. 이런 이해는 자칫 공허하게 여겨질 수 있는 노자의 형이상학적 도를 형이하학의 구체적인 현실 세계에 의미를 부여한 작업에 속한다. 결국 홍석주의 『노자』의 도에 대한 이해는 크게 보면 유가의 도의 범위를 벗어나서 해석하는 것이 아니었다. 홍석주는 조선조 이전의 『老子』 주석가들이 道를 太極 혹은 理라고 보는 것과 다르게 自然이라 이해하여 독특한 이해를 보이는 것 같지만 그 자연의 의미 내용은 유가의 형이상자로서의 도란 의미 이상의 것이 아니고, 따라서 이전의 유학자들의 노자 이해를 벗어나는 것이 아니라 할 수 있다. There are many commentary on Lao-Tzu in China and Chun-Sun Dynasty. Why is it so difficult to search for the common understandings in the history of commentaries on Lao-Tzu. All of them may reveal the commentator's thoughts of intellectual of his period rather than the original meanings of Lao-Tzu. In such sense Lao-Tzu. was multi-facial text: as an aggregation of different trations it was not a single text but the 'texts'. The Lao-Tzu commentaries have diverged and coexisted in the history of China and Korea culture. As the new newly discovered editions of Lao-Tzu, the Guodian bamboo strips and the Mawangdui silk manuscripts, tell us, it was multi-layered and multi-facial text. The commentary on Lao-Tzu in Hong Suk-Ju's [The correct misunderstanding about Lao-Tzu] focus the correct misunderstanding about Lao-Tzu in China and Chun-Sun Dynasty. Especelly Hong Suk-Ju's [The correct misunderstanding about Lao-Tzu) focus on the reestablishment of taoist tao's originality. Hong Suk-Ju taoist in his argumentation, he is a Confucian in social and political ideal, which based on The Book of Mean and The Book of Changes. This understanding of Hong Suk-Ju's (The correct misunderstanding about Lao-Tzu] on Lao-Tzu in conformity with the Commentary of The Book of Changes: the ethical-logical way of interpreting.

      • 『老子河上公注』 硏究

        김재용(kim Jae-Young) 한국도교문화학회 2002 道敎文化硏究 Vol.16 No.-

        This thesis is a research of Ho-Shang kung's commentary on Lao-tzu Tao-te ching. Ho-Shang kung's commentary is known to be the oldest one among the contemporary commentaries on Tao-te ching, and this thesis is centered on Ho-Shang kung's interpretation of Lao-tzu's cosmology and theory of governing the body and the country.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cosmology in Ho-Shang kung's commentary as a crucial basis of his central theory of governing the body and the country. Cosmology in Ho-Shang kung's commentary is characterized by its premise of the function of breath within Tao and all things as well as its focus on the One as intermediary agents between the two, which suggests that Ho-Shang kung's commentary succeed to the cosmology in the Han period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thought of Hung-lao. The One in Ho-Shang kung's commentary play a role of linking Tao with all things. The third chapter tries to expatiate on the concept of Essence and Spirit as the specific elements of governing the body, among which the meanings of the concepts of Tranquility and Diminishing desire as a methodology of governing the body are explained in detail. According to Ho-Shang kung's commentary, harmony in the Breath of the body needs to protect Essence and Spirit which reveal themselves as Essential breath, Spirit-lightness and the Five-viscera Spirits. As governing the body means a process of human participation in the wholeness of Tao, every human being should follow Nonactivity after Tao to fulfill the harmony in the Breath of the body and protect Essence and Spirit. Tranquility and Diminishing desire are the two essential ways of achieving Tao. In the fourth chapter, the relation between rulers and their subjects in the theory of governing the country is fully investigated. Ho-Shang kung's commentary is characteristic in that it gives a full account of specific methods of governing the country unlike other commentaries on Lao-tzu Tao-te ching such as Hsiang-erh commentary or Wang Pi's one. Ho-Shang kung's commentary assumes the position of the absolute ruler, while clearly asserting that the ruler never govern his subjects by means of punishment and laws. In the theory of governing the country throughout the commentary, the important premise is that the ruler should take care of his subjects like his own children and take charge of their welfare, for which the ruler should govern the people following Nonactivity of Tao. As a result of this governing policy, rulers can be the master of the whole world and accomplish the ideal of Great peace through which Confucianist virtues are fulfilled. The conclusion makes an attempt to establish the unity between the theories concerning governing the body and that of country in Ho-Shang kung's commentary. In the commentary, theory of governing the body and that of governing the country are regarded not as separate categories of health theory and politics but as both-sided virtue in which the wholeness of Tao is embodied and realized in human beings. Organic unity between these two categories is the central point in Ho-Shang kung's commentary in that contents and meanings of the theory of governing the body and the country, along with the achievement of Tao, depend on how attributes of Tao are granted and maintained.

      • KCI등재

        栗谷 『醇言』의 한국철학사적 位相에 관한 연구

        조민환(Jo Min-Hwan)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2

        조선조에서 開明성과 聰明성을 통하여 전체를 통관해야만 보이는 物極必返의 진리가 우주론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도 적용된다는 것을 체득하라고 한 것은 사실 율곡이었다. 이러한 물극필반의 원리를 이기론에 적용하여 이해한다면 物極으로서의 퇴계의 主理論이 必返의 원리를 담고 있는 율곡의 理氣之妙적 사유로 나타났다고 본다. 즉 조선조 이기론의 변천을 중심으로 볼 때 이같은 물극필반의 원리를 알게 되면 조선조초기부터 이어져왔던 주리적 경향 혹은 주리파가 가치를 낮게 평가한 이 세계를 이루는 또 하나의 요소인 氣의 중요성이 대두됨을 알 수 있다. 이런 경향을 가장 잘 담아내고 있는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이 율곡이다. 율곡은 그런 기운을 놓치지 않고 변화된 상황에 맞는 適宜한 權道 실천으로서 『노자』 주해서인 『醇言』을 주해했다고 본다. 율곡은 화담과 같이 唯氣論을 주장하지도 않고, 이기묘합적인 사유를 통하여 두 사상을 종합적으로 묘합시키되, 退溪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를 중시함으로써 物極必返의 원리를 그 시대에 맞게 보다 자연스럽게 적용하고 있다. 유가의 體用一源의 원리를 그 시대에 맞게 보다 자연스럽게 적용하고 있다. 유가의 體用一源과 ‘下學而上遠’ 및 修己治人의 입장에서 이해된 『순언』은 理氣論에서 尊理적 사유 혹은 主理적 사유가 윤리적인 인간을 형성하게 하는 많은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야기시킬 수 있는 사유의 절대성, 경직성, 편협성을 극복할 수 있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순언』에는 이단을 무조건 배척하는 입장이 아닌 상호 의사소통을 통한 통합과 공존의 논리, 포용의 입장이 담겨 있다. 진리에 대한 공명정대한 입장에서 출발한 율곡의 『순언』 주해는 이후 진리에 대한, 현실 인식에 대한 새로운 장을 열어주어 한국사상이 보다 다양한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게 하였다. 이처럼 理 불변적 사유에 입각한 주리적인 입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화를 중시하는 氣 중시적 사유에서 나올 수 있는 물극필반의 논리는 이전과 변화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이전과 다른 새로운 차원에로의 전환점을 제공하였고, 이에 『순언』이 한국철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 on the Yul-Gok's Lao Tsu commentary 『SunEon』 and Korean Philosophical phase. There are many commentary on Lao-Tsu in china Jo-Sun Dynasty. Why is it do difficult to search for common understandings in the history of commentaries on Lao-Tsu. All of them may reveal the commentator's thoughts of intellectual of his period rather than the original meanings of Lao-Tsu commentary 『SunEon』 is one of them. the Lao-Tsu commentaries have diverged and coexisted in the history of Korea culture and philosophical thought, especially Jo-Sun Dynasty. Yul-Gok's the Lao-Tsu in Jo-Sun Dynasty. Especially this commentary focus on the re-establishment of taoist tao's originality and Lao-Tzu's original thought through confucious viewpoint. An ordinary confucianist regard Lao-Tzu as heretic. But Yul-Gok did not think alike. Yul-Gok regard Lao-Tzu have an eternal truth upon comparison with confucious viewpoint, such as thought is reflected philosophical change in Jo-Sun Dynasty. In correct term, all kinds of things reach limit it always return counterforce. For this reason, Yul-Gok regard Lao-Tzu have an eternal truth through confucious viewpoint and as such his thought make a turning-point in Korean philosophical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