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의 ‘주체철’ 현황과 산업적 의의

        장영주(Jang, Young Jo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국내와 북한문헌 분석을 통해 작은 국가 북한이 산업전략으로 채택한 중공업 우선정책의 실현수단으로서 철강산업이 마주한 장벽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북한 지도자들의 주체화 추구 및 고수, 주체철 생산 실현까지를 다루었다. 철광석과 석회석 등 풍부한 광물자원을 보유하고도 제철과정에 필수로 소요되는 코크스탄을 전량수입해야 하는 산업환경은 북한의 역대 지도자들이 세계적 방식보다 북한 독자방식의 철생산 정책을 선택한 원인이 되었다. 또한 북한의 조선노동당 기관지인 ‘로동신문’과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및 내각의 기관지인 ‘민주조선’을 중심으로 김정은 집권 이후 최근 3년간의 철강산업 주체화·현대화를 위한 투자와 생산 및 생산정상화 성과를 분석·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분석결과에 대한 몇가지 과제을 제시하였는데 주체철 생산정상화의 해결을 위해 첫째, 과학기술을 통한 국산화와 생산정상화 실현의 과제, 둘째, 주체철 원료, 연료 및 동력의 보장과제, 셋째, 설비의 현대화·자동화과제, 넷째, 코크스제철법과 주체철방식의 병행(two-track)과제, 다섯째, 남북간 기술협력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vers from the obstacle that the steel industry as the fulfilling means of ‘heavy industry primary policy’ the small nation North Korea chose as the industrial strategy confronts with to North Korean leaders’ subjectivization pursuit and adherence to overcome that situation and the production realization of Juche-cheol by analyzing South and North Korean documents. Despite having abundant mineral resources such as iron ore and limestone, the North Korean industrial environment to have to import entire quantity of Corks indispensably used in steel-manufacturing process caused former leaders to choose the North Korean independent way in the steel production policy than the global way of it. Also the North Korean state’s newspaper ‘Rodong Sinmun’ and ‘Minju Chosun’ the standing committee of North Korea Supreme People’s Committee and the Cabinet bulletin analyzed and appraised investment, production and normalization outcomes for subjectivization and modernization of the recent 3 years steel industry since Kim Geong Eun came to power. A list of challenges about analyzed results drawn from it are presented as follows. To solve the problems of Juchecheol production normalization, first, the realization of localization and normalization through science technology, second, Juchecheol materials, fuel and power guarantee, third, modernization and automation of facilities, forth, the parallel(two-track) operations of corks steel manufacturing way and the juchecheol way, and the last, South and North Korean technical cooperation.

      • KCI등재

        기업가정신이 산업의 국제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청암 박태준과 한국 철강산업 사례를 바탕으로 -

        윤동진 ( Dong-jin Yoon ) 한국국제경영학회 2022 國際經營硏究 Vol.33 No.1

        한국 철강산업은 어떻게 해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게 되었는가? ‘청암의 탁월한 기업가정신 때문이다‘라고 본 고는 답하고 있다. 기업가정신의 핵심은 혁신이고 혁신적인 경영활동에 의해 기업과 산업의 국제경쟁력이 제고되기 때문이다. 청암 박태준은 기업가정신을 발휘하여 소명의식을 지닌 임직원을 만들고 경영과 조직을 혁신하여 기업경영 조건을 향상시키고, 일본정부와 철강산업의 협력을 이끌어내어 요소조건과 관련산업조건을 개선하고, 수출시장을 개척하여 수요조건을 개선하는 등의 혁신을 바탕으로 건설공기와 조업기간 단축 등과 같이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한국 철강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제고시켰다. 즉, 포스코를 창업하고 25년 동안 경영하였던 청암의 기업가정신으로 인해 한국 철강산업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게 되었던 것이다. 포스코와 한국 철강산업의 성공요인을 설명하는 기존의 논문과는 다른 차원에서 애국심보다는 기업가정신이 국가경쟁우위 4개 요인을 개선 및 혁신하였기에 한국 철강산업의 국제경쟁력이 제고되었다는 것이다. How did Korean steel industry gain a global competitiveness? It is because of T.J.Park’s great entrepreneurship. The essence of entrepreneurship is a innovation, because the firm and industry competitiveness is improved by innovative management. T.J.Park’s great entrepreneurship has enhanced the managerial conditions with implementing a sense of vocation to the employees and innovating the management and organization, the factor and related industries condition by bringing out those cooperations of Japan government and steel industry, demand condition through expanding the export markets. Those improvement of four competitive advantage conditions has enhanced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steel industry by shortening construction and normal operation duration. The great entrepreneurship has influenced a industry’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improving four conditions of 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 KCI등재

        SDA를 활용한 한국 철강 산업의 성장기여요인 분석

        정도영 ( Do Young Jung ),박재운 ( Jae Un Park ) 한국응용경제학회 2010 응용경제 Vol.12 No.3

        본 연구는 SDA(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를 활용하여 1995-2008년까지 철강 산업의 성장기여요인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철강 산업은 제조업의 기초소재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국내 제조업 뿐 아니라 오랫동안 한국의 주력 수출 산업으로 산업상의 지위가 높았으나 최근 글로벌 경제의 확대로 성장 요인별 변화추이가 크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1995-2008년 기간 중 철강 산업의 성장은 최종수요(54.38%)와 수출수요(51.64%)에 의한 것으로, 최종재수입대체(-0.25%), 중간재수입대체(-2.95%), 기술변화(-2.83%)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변화추이는 최종수요 성장기여율의 경우 외환위기로 인해 제조업에 비해 크게 낮아졌으며, 외환위기 이후 경기회복기에는 제조업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반면, 수출수요 성장기여율은 외환위기로 인해 제조업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그리고 수출수요 성장기여율의 시기별 등락폭이 매우 심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 철강 산업이 안정적인 수출수요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향후 개선방안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rowth contributing factors of the Korean steel industry by the SDA.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During 1995-2005, domestic final demand and export demand played roles on the growth. The changes in the contribution factors of the growth was that during the Asia crisis, the rate of growth contributing by final demand was shrinking and after the Asia crisis, was increasing than the manufacturing sector. But the rate of growth contributing by export demand was increasing than the manufacturing sector during the Asia crisis. In conclusion, the main contributing factors on the growth of the Korean steel industry is dependent on prices of raw materials and business cycle. Therefore,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Korean steel industry, the stabilized grantee of export markets was required.

      • KCI등재

        한국 종합제철 건설을 둘러싼 한국과 미국의 정책과 외교, 1961-1963

        박영구(Park, Young Go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한국은 1960년대 초기 중점정책이었던 종합제철 건설에서 독일을 끌어 들여 미국을 자극하는 경쟁전략을 만들어 갔다. 이런 속에서 미국정부는 단기적으로 미국기업들을 통해 이를 견제하며 장기적으로 한국의 종합제철 건설을 포기시키고 미국철강을 수입하도록 하는 상호분업적 한미산업구조를 만들려고 하였다. 결국 한미갈등 속에서도 미국정부는 한국에서 비교우위론에 입각한 노동집약적 공업 우선, 자유시장이론에 입각한 정부역할 제한과 부정축재자 재산환수 취소 등 민간기업인 보호, 그리고 안정경제정책 우선 등 미국 정책방향과 전략을 관철시켰고 이는 이후 한국산업과 경제정책에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영향을 미쳤다. 미국의 영향으로 종합제철 건설계획은 일단 삭제되었지만 한국정부의 계속된 관련국 상호경쟁유도 전략은 이후 필수적이었던 대외자원 이용 산업육성정책에서 주요 전략으로 되었다. In the first half of the 1960s, South Korea had made the competition-induction strategy to stimulate the U.S.A. by inducing Germany to the construction plan of Korean integrated steel mill. In process of this, U.S. government took a strategy to restrain this through U.S. steel companies in the short term and to make Korea give up construction of an integrated steel mill in the long run. Insisting the theory of free market and relative comparative advantage, the U.S. government did the following things: First it cancelled restitution of the property of those who made a fortune by illicit means. Second, it frustrated South Korea"s own steel industry development strategy and further wanted to formulate the mutual division of vertical integration in the industrial structure between Korea and the USA. Korea"s continued strategy to make mutual restraint and competition among countries related to the Korean steel market afterwards became a crucially important strategy in the development of the foreign-resource-using industry essential for Korean economy in the late 1960s and 1970s.

      • KCI등재

        연구논문(硏究論文) : 일제 말 조선인자본가의 경영활동 분석 -백낙승(白樂承)과 이종회(李鍾會)의 군수회사 경영을 중심으로-

        배석만 ( Suk Man Bae ) 경제사학회 2008 經濟史學 Vol.45 No.-

        본 연구는 태평양전쟁기 2명의 조선인자본가의 기업활동을 분석한 것이다. 목적은 전시경제체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자본축적활동을 전개한 조선인자본가의 실태와 양상, 그 귀결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전시체제기 이전까지 각각 견직과 목재업에서 자본을 축적한 백낙승과 이종회는 전시통제경제체제 구축과 함께 중공업인 철강과 造船으로 사업을 확장하였다. 일제의 군수공업 육성을 새로운 사업기회로 파악하고 적극적·능동적으로 활용한 결과였다. 그러나 이들은 기대하였던 사업적 성공을 보지 못했다. 사업환경이 예상보다 빠르게 나빠졌고, 국책 협조의 대가로 기대하였던 국가지원은 불만족스러웠기 때문이다. 대신에 이들이 전시체제기 활발히 활동한 대가로 얻은 것은 국가와의 관계에 대한 잘못된 학습, 친일혐의라는 달갑지 않은 선물이었다. 이러한 점들은 남북분단과 같은 해방 후 발생한 새로운 조건과 결합하여 일제시기 풍부한 자본자적 소양을 쌓은 자본가들이 의외로 해방 후 기업활동에 그 경험을 살리지 못하고 빠르게 퇴장하도록 작동하였다. This study specifically analyzes business management of two Korean bourgeois. They took an active step and developed accumulation of capital under the wartime economic system. Its purpose examines the reality, the condition, and the result of two Korean bourgeois in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Until wartime system ago, Back Nak-Seong accumulated capital through silk factory, and Lee Jong-Hee accumulated capital through timber factory. They expanded their business into the steel industry and the shipbuilding industry after wartime economic system. The Japanese Imperialism intensively fostered the munitions industry, and they considered it as a new opportunity and actively made good use of the opportunity. However, they failed to be a great success which they expected. The situations of business became even much worse than they had expected, and the support of government which they had expected by falling in line with the national policy did not satisfy them. Instead of the success of business, they learned a wrong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and people suspected them to be pro-Japanese bourgeois. In addition to these reasons, they were placed in difficult circumstance under new conditions after Korea’s Liberation, such as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Therefore, though they had full knowledge as businesspersons in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ey failed to make use of their experience and rapidly left the business stage after Korea’s Liberation.

      • KCI등재
      • 글로벌 가치사슬 관점에서 본 한국 철강산업의 부가가치 무역구조 연구

        추지미,장진규 산업연구원 2019 산업연구(JIET) Vol.3 No.1

        본 연구는 국제산업연관자료를 이용해 한국 철강수출을 부가가치 기준으로 분해하고 타 제조업과 비교해 글로벌 가치사슬(GVC) 관점에서 철강산업의 무역구조를 분석했다. 이는 총량 기준의 전통적 무역 분석이 갖는 중간재 무역의 중복계상(doublecounting) 의한계를넘어부가가치기준의국제분업생산구조에대한이해를넓히는데기여했다. 또한주요철강교역강국과부가가치기준의교역을비교해 글로벌가치사슬참여 정도를측정하고, 선진국주도의철강재교역구조가동북아를중심으로재편되는과정에서 한국 철강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를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해 시각적으로 확인했다. 분석 결과 한국 철강산업은 글로벌 가치사슬 참여를 통해 수출의 양적 성장과 산업구조의 고도화라는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최근 세계 교역여건 악화로가치사슬이 약화되고 중간재 교역이 감소하고 있어 정부의 무역 정책 측면에서의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