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공간인식 연구 –정양사(正陽寺) 헐성루(歇惺樓)를 중심으로-

        김현진 ( Kim Hyun-jin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7

        이 논문은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조선시대 儒者들의 공간인식 양상을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금강산은 처음에 神仙의 산인 ‘蓬萊山’로 이름났다. 그 뒤 佛敎와 관련하여 금강경을 설법한 담무갈보살과 12,000명의 권속, 금강산에서 화엄경을 설법하는 법기보살 등의 설화를 바탕으로 일만이천봉을 비롯한 金剛山ㆍ枳怛山 등의 이칭이 생겨났다. 이 때문에 금강산은 신선의 산이고, 또 불가의 산이란 이중성을 띠게 되었다. 금강산에는 조선후기까지 長安寺ㆍ表訓寺ㆍ楡岾寺ㆍ正陽寺ㆍ新溪寺 등의 이른바 ‘금강산 4대 사찰’을 포함해 100여 개의 사찰이 있었다. 그 가운데 금강산 정맥에 자리하여 명명된 정양사는 화엄경 법기보살 신앙과 관련되어 있고, 내금강 만폭동의 표훈사 북쪽 방광대 산기슭에 있다. 정양사 부속건물 중 歇惺樓는 歇性樓 또는 歇錫樓로도 일컬어졌다. 이 이름에는 塵世의 꿈에서 깨어나 마음의 눈을 떠 항상 깨어 있으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헐성루는 지리적으로 북쪽 동쪽 남쪽 3면이 확 트여 일만이천봉을 비롯한 내금강의 풍광을 감상 하기가 매우 좋다. 그래서 유객들에게 금강산 최고 조망처로 각광받았다. 헐성루 제영시는 韓國文集叢刊을 기준으로 80명 작가의 123수가 있다. 여기에는 금강산 명칭 내력, 봉우리명과 골짜기명 등의 지명유래, 신선과 불교 관련 전설, 한눈에 조망되는 일만이천봉에 대한 감상 등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헐성루는 조선시대 유자들에게 仙境, 佛界, 金剛最勝處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This paper researches the aspect of space recognition of 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projected in Jeyeongsii(題詠詩), Geumgangsan Temple by focusing on Hulseongru pavilion(歇惺樓) of Jeongyangsa temple (正陽寺). Geumgangsan first named ‘Bongraesan(蓬萊山)’ meaning the mountain of taoist hermit. Afterward, it was additionally named Geumgangsan(金剛山)ㆍJidalsan(枳怛山) based on tales about Dalmugal Buddhist saint lectured Geumganggyung scriptures, a group of twelve thousand and Beopgi Buddhist saint lectured Whaumgyung scriptures. Due to this, Geumgangsan was characterized to have a duality of the mountain of taoist hermit and Buddhist’s mountain. There had ever been 100 temples including so-called top 4 temples in Geumgangsan such as Jangansa temple(長安寺), Pyohunsa temple(表訓寺), Yoojeomsa temple(楡岾寺), Jeongyangsa temple(正陽寺) and Singye Temple(新溪寺)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Jeongyangsa temple located in the main mountain chain of Geumgangsan is related with the religion of Beopgi Buddhist saint(法起菩薩) of Whaumgyung scriptures(華嚴經), and located in the foot of Banggwangdae(放光臺) in the north of Pyohunsa of inner Geumgang Manpokdong(萬瀑洞). Hulseongru pavilion among the annex of Jeongyangsa temple is also called Hulseongru pavilion(歇性樓) or Hulseokru pavilion(歇錫樓). This name means to wake up from the dreams of the world and keep your eyes open and always stay awake. Hulseongru pavilion has the view with 3 directions fully opened, which allows you to enjoy the scenery of inner Geumgangsan. So, it was spotlighted as the best view spot of Geumgangsan by tourists. Jeyeongsi of Hulseongru pavilion holds 123 literature works of 80 authors based on Korean literature collection. The naming history of Geumgangsan, the origin of naming valleys and peaks, taoist hermit and Buddhism related legends and the appreciation about 12 thousand peaks viewed at a glance are projected. Therefore Hulseongru pavilion is recognized as Confucian scholars can enjoy taoist hermit’s scenery(仙境), Buddhist world(佛界) and the best spot which can enjoy the scenery of Geumgangsan(金剛最勝處).

      • KCI등재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공간인식 연구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김현진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7

        This paper researches the aspect of space recognition of Confucian scholar in Joseon Dynasty projected in Jeyeongsii(題詠詩), Geumgangsan Temple by focusing on Hulseongru pavilion(歇惺樓) of Jeongyangsa temple (正陽寺). Geumgangsan first named ‘Bongraesan(蓬萊山)’ meaning the mountain of taoist hermit. Afterward, it was additionally named Geumgangsan(金剛山)ㆍJidalsan(枳怛山) based on tales about Dalmugal Buddhist saint lectured Geumganggyung scriptures, a group of twelve thousand and Beopgi Buddhist saint lectured Whaumgyung scriptures. Due to this, Geumgangsan was characterized to have a duality of the mountain of taoist hermit and Buddhist’s mountain. There had ever been 100 temples including so-called top 4 temples in Geumgangsan such as Jangansa temple(長安寺), Pyohunsa temple(表訓寺), Yoojeomsa temple(楡岾寺), Jeongyangsa temple(正陽寺) and Singye Temple(新溪寺)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Jeongyangsa temple located in the main mountain chain of Geumgangsan is related with the religion of Beopgi Buddhist saint(法起菩薩) of Whaumgyung scriptures(華嚴經), and located in the foot of Banggwangdae(放光臺) in the north of Pyohunsa of inner Geumgang Manpokdong(萬瀑洞). Hulseongru pavilion among the annex of Jeongyangsa temple is also called Hulseongru pavilion(歇性樓) or Hulseokru pavilion(歇錫樓). This name means to wake up from the dreams of the world and keep your eyes open and always stay awake. Hulseongru pavilion has the view with 3 directions fully opened, which allows you to enjoy the scenery of inner Geumgangsan. So, it was spotlighted as the best view spot of Geumgangsan by tourists. Jeyeongsi of Hulseongru pavilion holds 123 literature works of 80 authors based on Korean literature collection. The naming history of Geumgangsan, the origin of naming valleys and peaks, taoist hermit and Buddhism related legends and the appreciation about 12 thousand peaks viewed at a glance are projected. Therefore Hulseongru pavilion is recognized as Confucian scholars can enjoy taoist hermit’s scenery(仙境), Buddhist world(佛界) and the best spot which can enjoy the scenery of Geumgangsan(金剛最勝處). 이 논문은 금강산 사찰 제영시에 투영된 조선시대 儒者들의 공간인식 양상을 正陽寺 歇惺樓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금강산은 처음에 神仙의 산인 ‘蓬萊山’로 이름났다. 그 뒤 佛敎와 관련하여 금강경을 설법한 담무갈보살과 12,000명의 권속, 금강산에서 화엄경을 설법하는 법기보살 등의 설화를 바탕으로 일만이천봉을 비롯한 金剛山ㆍ枳怛山 등의 이칭이 생겨났다. 이 때문에 금강산은 신선의 산이고, 또 불가의 산이란 이중성을 띠게 되었다. 금강산에는 조선후기까지 長安寺ㆍ表訓寺ㆍ楡岾寺ㆍ正陽寺ㆍ新溪寺 등의 이른바 ‘금강산 4대 사찰’을 포함해 100여 개의 사찰이 있었다. 그 가운데 금강산 정맥에 자리하여 명명된 정양사는 화엄경 법기보살 신앙과 관련되어 있고, 내금강 만폭동의 표훈사 북쪽 방광대 산기슭에 있다. 정양사 부속건물 중 歇惺樓는 歇性樓 또는 歇錫樓로도 일컬어졌다. 이 이름에는 塵世의 꿈에서 깨어나 마음의 눈을 떠 항상 깨어 있으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헐성루는 지리적으로 북쪽 동쪽 남쪽 3면이 확 트여 일만이천봉을 비롯한 내금강의 풍광을 감상하기가 매우 좋다. 그래서 유객들에게 금강산 최고 조망처로 각광받았다. 헐성루 제영시는 韓國文集叢刊을 기준으로 80명 작가의 123수가 있다. 여기에는 금강산 명칭 내력, 봉우리명과 골짜기명 등의 지명유래, 신선과 불교 관련 전설, 한눈에 조망되는 일만이천봉에 대한 감상 등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헐성루는 조선시대 유자들에게 仙境, 佛界, 金剛最勝處의 공간으로 인식되었다.

      • KCI등재

        新羅 末-高麗 初 金剛山 地域의 石造美術 硏究

        김명주(Kim, Myeong Ju)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8 美術史學 Vol.- No.35

        강원도 금강산 지역은 산세가 험준한 만큼 역사적으로 중심에 있지 못하였으나 많은 사찰 건립과 특정 신앙의 유행 등 특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어 불교미술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금강산에 사찰이 건립된 시기는 5-6세기부터이며 대규모 사찰은 6-9세기에 금강산을 가득 채우게 된다. 이때 금강산 4대 명찰(名刹)인 유점사, 장안사, 신계사, 표훈사 등이 건립되었다. 금강산 4대 사찰 가운데 신계사만이 외금강에, 나머지 유점사, 장안사, 표훈사 세 곳은 내금강에 들어섰다. 이 외에도 정양사를 비롯하여, 고려시대 이후 많은 사찰과 암자들이 내금강의 산골짜기마다 자리를 잡았다. 금강산의 불교위상은 신라이후 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으로부터 이성계의 신왕조 발원까지 전시대를 거쳐 고려시대가 가장 높았다. 금강산의 불교 유적으로는 석탑이 가장 대표적이며 신라하대의 양식을 계승하거나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새로운 양식적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외금강 금장암지 사사자삼층석탑은 통일신라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과 고려 전기 홍천 괘석리 사사자삼층석탑 등과 유사한 형식의 계보를 지니고 있다. 내금강의 정양사 삼층석탑은 9세기 전반 신라 정형양식 석탑의 모습에서 보이는 굽형 괴임대 받침을 보이는 있으며 장연사지 삼층석탑은 보령 성주사지 삼층석탑과 같은 굽형의 별석(別石)받침 양식을 보이고 있어 9세기 전반 이후 내륙의 석탑양식이 내금강으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반면에 신계사 삼층석탑은 강원도 동해안 및 남부 설악의 진전사지 삼층석탑과 선림원사지 삼층석탑과 같은 계보를 보여주고 있어 동해안 경로를 따라 또 한 갈래의 석탑형식이 외금강으로 들어왔음을 암시하고 있다. 특히 선종사찰에 세워졌던 석탑의 형식을 계승하고 있어서 일부 금강산의 사찰은 선종사찰과의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태조 왕건은 고려 초의 선문(禪門)인 수미산문을 지원한 호족출신으로써 정양사 창건을 후원하기도 하였다. 결국 금강산의 불교사찰들은 험중한 산중(山中)으로 들어와 화엄과 선문을 공존 또는 양립하는 성격으로 출발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불교적인 성향은 금강산 지역의 석조미술양식에서도 한국불교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다. Geumgangsan Mountain area in Gangwon Province, due to its tough terrain, did not attract much public attention in the past. The mountain, nonetheless, still occupi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 as a subject of Buddhist or Daoist faith, and with all the Buddhist temples constructed in the area. It was during the 5-6th century that Buddhist temples began to be built in Geumgangsan Mountain, and eventually by the 6-9th century, the mountain was already full of large-scale temples. It was also the time when the famous 4 temples- Yujeomsa, Jangansa, Singyesa, and Pyohunsa-were established in the area. Only Singyesa Temple was located in the Outer Geumgang area, while the other 3 were built in the Inner Geumgang area. In addition, a number of temples and hermitages had settled in the Inner Geumgang area since the Goryeo Dynasty, including Jeongyangsa Temple. The status of Buddhism around Geumgangsan Mountain was at its highest during the Goryeo Dynasty after the Silla Kingdom. The stone pagoda i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Buddhist relics of Geumgangsan Mountain, which features the archetypal styles from both the late Silla and the Goryeo Dynasty. In particular, the three-story stone pagoda with 4 lions at the Geumgangam Hermitage of the Outer Geumgang area features a similar style to those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s with 4 lions at Hwaeomsa Temple from the Unified Silla Kingdom and at Gwaiseok-ri, Hongcheon County from the early Goryeo Dynasty. In addition, the three-story pagoda at Jeongyangsa Temple of the Inner Geumgang area has the stepped support stone that was archetypal among the stone pagodas from the Silla period in the early 9th century, while the three-story pagodas at Jangyeonsa Temple site retains the similar stepped underpinning composed of separate stone slabs to that of the three-story stone pagoda at Seongjusa Temple site in Boryeong County. Therefore, it can be assumed that the styles of stone pagodas in inland areas were introduced into the Inner Geumgang region after the first half of the 9th century. The three-story stone pagodas in Singyesa Temple, on the other hand, have the same style as those of the three-story pagodas at the Jinjeonsa Temple and Seonrimwon Temple sites located on the east coast of Gangwon Province, and the southern Seorak Mountain area. It can be inferred from such instances that another style of stone pagoda was introduced into the Outer Geumgang area along the east coast. It seemed that some of the temples in Geumgangsan Mountain interacted with Zen temples, since their stone pagodas succeeded the pagoda style of Zen temples. King Taejo Wang Geon, the founder of the Goryeo Dynasty, used to sponsor the establishment of Jeongyangsa Temple, as a member of a powerful family who supported Sumisanmun Temple, a Zen temple in the early Goryeo Dynasty. In conclusion, both Hua-yen Buddhism and Zen Buddhism coexisted in the temples of Geumgangsan Mountain, and these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were also reflected in the styles of stone arts in the Geumgang Mountain area.

      • KCI등재

        북강원도 금강산권역의 사찰 변천 연구 - 16~18세기를 중심으로 -

        홍성익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8

        金剛山은 한국 최고의 名山으로 高麗 후기부터 급속히 불교신앙의 수행처로 주목받아 100여 개의 사찰과 암자가 창건 또는 중창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사찰과 경관을 보기 위한 遊覽文化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 영향으로 금강산을 유람한 승려와 지식인들은 많은 記文을 저술하였다. 그 내용에는 그들이 직접 본 사찰의 변화상이 기록되었고 승려와 나누었던 담론도 실려 있다. 이 글에서는 조선시대 금강산을 다녀온 수행승과 유람객의 遊山記를 중심으로 금강산에 소재한 사찰의 모습과 승려의 法脈을 살피고자 한다. 유산기는 유람을 다닌 당대의 기록이므로 1차 사료에 해당한다. 금강산은 북한에 소재하여 자유롭게 답사를 할 수 없고 한국전쟁 당시에 대부분의 사찰 유산이 파괴되어 현상적으로 파악할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유람객이 남긴 유산기를 통하여 당시의 모습을 검토하였다. 현재는 현장을 답사할 수 없고 불교 유산이 파괴되어 직접 비교할 수 없는 유산을 유산기만으로라도 당시의 모습을 재구성할 수 있다는 것은 의미 있는 검토일 수 있다. 유산기를 통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이를 파악해 보았다. Geumgangsan Mt. is one of the most famous mountains of Korea and rapidly drew attention as a place for practicing Buddhist asceticism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and it resulted in the construction or expansion of over 100 Buddhist temples and hermitages. It became the center of sightseeing cultures as people flocked to see such temples and sceneries. Because of this, Buddhist priests and intellectuals who visited Geumgangsan authored many records and books about it. The contents spanned from records of changes in temples that they witnessed as well as discourses that they shared with Buddhist priests. This paper examines the appearances of temples located in Geumgsangsan and Buddhist doctrines that were passed down by Buddhist priests focusing on the yusangi of Buddhist priests and sightseers who visited Geumgangsan during the Joseon Dynasty. Yusangi refer to records written while going on sightseeing trips in those times and they are primary historical records. Geumgangsan is located in North Korea and therefore, it cannot be visited freely, and most of the temples were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and therefore, it cannot be physically identified. Thus, its appearance was reviewed based on the yusangi left by sightseers in the Joseon Dynasty. Currently, Geumgangsan cannot be physically visited and most of the Buddhist heritages were destroyed, and therefore, recomposing the heritages that cannot be directly compared with just yusangi may be a meaningful review. This was identified within the available scope through the yusang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