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와 조선전기 전남지역의 역로망 구성과 그 특징

        정요근(Jeong Yo-Keun) 역사문화학회 2010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3 No.2

        전근대시기 교통로에 대한 연구는 해당 시기 국가의 지방통치나 대외관계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매개가 된다. 이른바 ‘驛路網’은 역을 통해 각 군현 간을 연결하는 교통망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전남지역(광주 포함)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고려시대 역들의 위치를 추적하여 당시의 역로망을 복원하였다. 고려와 조선전기 모두 전남지역의 역 숫자는 34곳으로 동일하였지만, 그 중 29곳이 계승관계에 있는 역들이었으며, 고려시대에 운영되다가 폐지된 역 및 조선시대에 들어와 신설된 역은 각각 5곳에 지나지 않았다. 즉 통폐합 등의 변동이 심했던 군현의 경우와는 달리, 전남지역 역로망의 기본 골격은 고려와 조선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던 것이다. 다만 고려시대에 운영되다가 조선전기에 폐지된 역의 위치를 살펴보면, 고려시대에는 영산강 서쪽의 서해안 방면에서 조선시대보다 역의 분포밀도가 높았으며, 군소규모의 속현으로 존재하다가 여말선초에 폐지된 군현에 위치하거나, 폐지된 군현 및 군현이 존재하지 않았던 곳으로 연결되는 지점에 위치한 역 등이 조선시대에 들어와 혁파되었다. 반면 조선시대에 신설된 역의 분포를 분석하면, 여말 이래 강조되어온 해안방비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남쪽 해안지대에 몇몇 역이 신설되었고, 그 외에도 기존 교통로를 대체하는 역로의 개발, 역의 설치가 미비했던 내륙지역의 원활한 역로망 구축 등의 이유로 역이 신설되었다. 대체로 고려시대의 역로망은 조선시대보다 영산강 서쪽의 서해안 방면을 중시했으며, 조선시대에는 해안의 방비라는 측면에서 남해안 방면을 보다 중시하였다. Study on traffic routes of pre-modem age can be a useful means for understanding important aspects of the central government's local administration and foreign relations in each age. So called 'postal station network' is defined as the traffic routes' network connected among prefectures or counties through postal stations. This research aims to restore the postal station network during pre-modem era on the area of current Jeolla Southern Province. Postal stations located on current Jeolla Southern Province in Goryeo and in Joseon dynasty were both 34 places. The 29 stations of them were successive from Goryeo to Joseon, stations functioned in Goryeo but closed in Joseon were 5 places, and stations newly opened in Joseon were also 5 places. It means that framework of postal station network in Jeolla Southern Province was very similar without any particular change between Goryeo and Joseon dynasty. Investigating locations of postal stations functioned in Goryeo era but closed in Joseon era, Goryeo's station density distribution was higher than Joseon's in west coastal region of Yeongsan River. On the contrary, some stations located on small-sized counties annexed in Joseon era or with places where counties did not exist were finally abolished. On the other hand, looking into the distribution of newly installed stations in Joseon era, we can see that the station installation of the south coastal region was deeply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coastal defense emphasized since the late Goryeo era. Stations of other regions were installed for the purpose of opening new postal routes as substitute of previous routes and establishing new postal network connecting with isolated regions where postal facilities were insufficient. On the whole, postal routes connecting toward west coastal area of Yeongsan River was regarded more important in Goryeo era, compared with Joseon era, While Joseon's postal network, in terms of coastal defense, considered south coastal area as more important.

      • KCI등재

        육자배기토리권 굿음악의 음계와 선법

        이용식 한국국악학회 2017 한국음악연구 Vol.62 No.-

        There have been diverse methodologies to analyze the scale and mode of the Korean music. Since there are many kinds of scale and mode in Korean music, scholars have tried to analyze them in their own view. Most of the analysis have heavily relied on the Western musical methodology. In this sense, the analysis could not explore the deep structure of music. I believe that the view of the musicians who practically perform and transmit the music is mostly important in the analysis of music since the musicians truly understand the deep and surface structures of music.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theories of scale and mode of the shaman music in Jeolla-do province. The music in this region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by scholars because the music clearly shows the musical idiom of the region. I, however, raise questions that the early analysis have not been satisfactorily explain the deep structure of the regional music since they rely on Western music theory. In this sense, I will try to find out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ale and mode of the regional music in the music itself. Korean musicologists have tended to define the scale as the tones apepared in an octave. The musicians, however, differentiate tones above an octave because they are differ from other tones in their traits and functions. Many musical pieces are not in pentatonic scale but in multi-tonic scale composed of six and more tones. The accompanying instrumental melodies also have to be considered in the analysis since they show the practical scale different from the theoretical scale of the songs sung by the shaman. In addition, not only the important tones but also the embellishment tones should be included in the analysis because they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identify the musical mode of the regional music. With the analysis of the function of all the tones, the melodic weight of each tones should be expressed in the weighted scale. The scale and mode of a musical piece should be analyzed in itself. The musician’s view of the music also should be included in the analysis. In this sense, the music can be understood fully and the scaled and mode of a music may be correctly analyzed. 한국음악학계에서는 그동안 음계와 선법에 관한 다양한 논의가 일찍부터 이루어졌고, 음악학자마다 각기 다른 논의를 제시해왔다. 우리 음악의 음계와 선법이 다양하게 표현되기에 학자의 시각에 따라 이를 분석하는 해석의 시각이 다양할 수밖에 없다. 기존의 연구는 대부분 서양음악이론의 음계와 선법 분석방법에 의존한 것이고, 연역적인 추론에 근거한 것이다. 그러다보니 음악을 가장 잘 이해하고 표현하는 음악가의 시각이 음악분석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음악을 실제로 연행하는 ‘음악가의 시각’은 음악의 심층구조와 표면구조를 가장 잘 이해하는 시각이기에 매우 중요하다. 이글에서는 ‘육자배기토리권’의 굿음악을 중심으로 그 음악의 음계와 선법에 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육자배기토리는 남도 계면조라고도 하면서 떠는음, 평으로내는음, 꺾는음 등 음의 성질과 기능이 다른 지역 음악어법보다 강하기 때문에 그다지 큰 쟁점이 없었던 분야이다. 그러나 육자배기토리 음악을 분석함에 있어서도 서양음악이론 의존적이고 연역적인 분석방법론이 당연시되면서 음악의 실체를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육자배기토리권 굿음악의 음계와 선법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음악 그 자체’를 적절하게 설명할 방법론을 찾아보고자 한다. 기존의 이론은 음계를 ‘한 옥타브 내’의 구성음의 나열로 규정하다보니 육자배기토리 출현음을 제대로 규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드러낸다. 예를 들어 떠는음(mi), 한 옥타브 높은 음(mi'), 더음청(sol') 등의 음은 mi–mi'의 ‘한 옥타브 내의 음계’로는 규명할 수 없는 음들이다. 또한 육자배기토리권 음악에는 6음 이상의 음으로 구성되는 다음(多音)음계가 존재하기에 이를 5음음계의 틀이라는 연역적 추론으로 해석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아울러 굿음악에서 기악반주음악의 음계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무당의 노래는 육자배기토리라는 ‘이론적 음계’의 구성음으로 한정될 수 있지만, 악사가 연주하는 음악은 다양한 변화음을 통해 시나위 음악을 만들어내는 ‘실제 음계’가 존재하기에 이것이 규명되어야 시나위 음악의 다성음악적 특성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선법을 규명하는데 있어서도 주요음의 성질만을 고려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비주요음’과 시김새 등의 성질이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시김새야말로 육자배기토리 음계 구성음의 성질을 가장 잘 규명할 수 있는 음악적 요인이다. 그리고 음계의 구성음 중에서 중심음 등 각 음이 선법에서 차지하는 비중, 즉 ‘가락적 비중’을 고려하여 각 음의 비중치를 구분해야 할 것이다. 이는 결국 ‘비중음계’로 표기된다. 음악은 ‘음악 그 자체’로 음계와 선법이 분석되어져야 한다. 또한 음악을 연행하는 음악가의 시각이 제대로 반영되어야 한다. 그리고 각 악곡의 분석이 귀납적으로 종합되면 육자배기토리의 일반적인 음계와 선법에 관한 해석이 가능해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