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최명익 수필집 『 글에 대한 생각 』 연구

        김해연 ( Hae Yeon Kim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8

        본고에서는 최명익 수필집 『 글에 대한 생각 』 을 살펴보았다. 『 글에 대한 생각 』 에는 모 두 열아홉 편의 수필이 수록되어 있다. 여기에는 글에 대한 최명익의 생각뿐 아니라 각 시기의 북한 문학계의 흐름과 정치적 변화가 반영되어 있고, 이에 대한 최명익의 문학적 대응이 들어 있다. 그럼에도 최명익이 남긴 수필에 대한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해금 조치와 더불어 이루어진 북한문학에 대한 관심과 성과는 대단한 것이었지만 이제껏 최명익 연구가 소설에만 국한되어 왔다는 데에 이 글의 문제의식이 놓인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 글에 대한 생각 』 에 실린 수필들을 순서대로 정리하고 내용을 요약하는 작업을 2장에서 하였다. 『 글에 대한 생각 』 에 수록된 열아홉 편의 글이 자기고백 적인 수필과는 거리가 멀지만 작품 분량이 소설에 못지않다는 점에서 지금껏 소설에만 치중돼 온 최명익 연구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보았다. 전반부에 수록된 여덟 편의 수필들은 전후 복구건설 및 사회주의 기초건설 시기 (1953-1960)와 사회주의 전면 건설기, 천리마운동 시기(1961-1966) 당시의 북한 문학계 의 흐름과 정치적 변화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는데 이 점은 3장에서 살펴보았다. 이 작업을 통해서 각 시기 북한의 당 정책과 이에 대한 최명익의 문학적 대응을 살필 수 있었다. 본문 4장은 『 글에 대한 생각 』 후반부를 중심으로 최명익의 언어의식과 작가정신을 살펴보았다. 『 글에 대한 생각 』 이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최명익의 언어의식과 작가정신 을 보여주는 내용이 수필집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단어 하나하나가 그 정확성, 부정확성에 따라서 육체적으로까지 다른 감각을 일으킬 것 같았”다는 그의 고백 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말과 글의 바른 사용을 위한 그의 작가적 노력은 대단한 것이었 다. 해방 전 예리한 시선으로 식민지적 근대의 한계를 감지하고 폭력성을 비판했던 최명익 이지만 해방을 기점으로 북한문단의 중심으로 나아갔고, 문학세계 역시 변모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최명익은 긍정적 민중상을 발견했고, 글에 대한 열정을 인민예찬의 역사 소설 쓰기에 쏟는다. 최명익은 역사소설 속에서 줄곧 “인민례찬”을 이야기했고 그 근거를 우리 민족의 “의리”에서 찾았다. 최명익은 주체의 자각이 들어있는 “의리”야말로 인민 중심의 역사를 추동하는 힘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하지만 1960년대 이후 급변하는 북한문학계의 변화 속에서 최명익의 인민예찬 문학론 은 설자리를 잃었고 이후 그의 자취는 사라지게 된다. 중요한 사실은 급변하는 역사의 질곡 속에서도 최명익이 꾸준히 작가로서의 사명을 다했다는 것이고, 그것이 『 글에 대한 생각 』 에 고스란히 들어 있다는 점이다. 아직도 다 찾지 못한 최명익의 작품들과 밝히지 못한 그의 행적에 관한 문제는 본고의 다음 과제로 남긴다. This paper examines Choi Myung-ik`s collection of essays, “an idea about writing,” which contains his nineteen essays. Reflected in this collection are not only his idea about writing but trends in the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and political change, of the day and his literary response to them. Nevertheless, very little study of Choi Myung-ik`s essays has been done. The concern for and product of study of, North Korean literature have been profound as soon as the ban on it was lifted, but until recently, most studies of Choi Myung-ik have been restricted mainly to his novels. This paper is based on this problem recognition. In the second chapter, the essays in “an idea about writing” are organized and summarized in order. These nineteen essays are far from self-confessional ones, but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widening range of study of Choi Myung-ik in the respect that the number of essays outgoes that of his novels.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first eight essays of the collection. They directly reflect the flow of the North Korean literary world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during both the period of post-war reconstruction work and foundation construction for socialism(1953-1960), and the period of over-all building of socialism and Chollima Movement(1961-1966). Through this examination we`ve come to see the party line of North Korea during each period and Choi”s literary response to it. In the fourth chapter, Choi”s linguistic sense and spirit of writing are analyzed, centering on the second half of the collection. We can recognize his great effort for correct usage of our language and words through his confession, “each word seemed to awaken different feelings physically as well This paper examines Choi Myung-ik”s collection of essays, “an idea about writing,” which contains his nineteen essays. Reflected in this collection are not only his idea about writing but trends in the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and political change, of the day and his literary response to them. Nevertheless, very little study of Choi Myung-ik`s essays has been done. The concern for and product of study of, North Korean literature have been profound as soon as the ban on it was lifted, but until recently, most studies of Choi Myung-ik have been restricted mainly to his novels. This paper is based on this problem recognition. In the second chapter, the essays in “an idea about writing” are organized and summarized in order. These nineteen essays are far from self-confessional ones, but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widening range of study of Choi Myung-ik in the respect that the number of essays outgoes that of his novels.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first eight essays of the collection. They directly reflect the flow of the North Korean literary world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during both the period of post-war reconstruction work and foundation construction for socialism(1953-1960), and the period of over-all building of socialism and Chollima Movement(1961-1966). Through this examination we`ve come to see the party line of North Korea during each period and Chol`s literary response to it. In the fourth chapter, Choi`s linguistic sense and spirit of writing are analyzed, centering on the second half of the collection. We can recognize his great effort for correct usage of our language and words through his confession, “each word seemed to awaken different feelings physically as well as emotionally in accordance with its accuracy and inaccuracy.” Though Choi Myung-ik criticized sharply the limitation and violence of colonial modernity before liberation, he took a step forward the center of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and thus his world of literature also could not but change after liberation. He found the positive image of the people and described it in the form of historical novels with the purpose of “admiration for the people.” Choi Myung-ik consistently attempted to embody “admiration for the people” in his historical novels whose roots he found in the ethos of “uiri”(loyalty) of our nation. He thought that this very “uiri” connoting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subject was the driving force of the people-centered history. However, in the wake of dramatic changes of North Korean literary circles since 1960s his literary theory of “admiration for the people” lost its footing and then he vanished into thin air.

      • KCI등재후보

        五四期的中文史

        나운봉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07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13

        This paper mainly discusses the situation of writing about Chinese literature history in the period of the May Forth Movement. As for the upsurge of writing about Chinese literature, the paper first talks about several causes such as establishing of modern literature concept, cultural market needs, then Several characteristics such as modern literature concept, Paradigm of post-modern history writing, Academic background of textual researching, diversification, and finally some contradictions and problems in this 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