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존 웨슬리가 본 칼빈주의

        김홍만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John Wesley acknowledged ‘sober Calvinism’ which could be compatible with Arminianism. Wesley definitely admitted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positively regard God’s providence. Even Wesley though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Calvi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owever, Wesley sai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alvinism and Arminianism. Moreover, Wesley criticized Calvinism, especially doctrines of predestination, election and reprobation, irresistible grace, and final perseverance. Wesley thought that these doctrines caused believers to ignore their sanctification. Wesley debated with John Gill in regarding to predestination, election, perseverance. In this point, Wesley equated Calvinism with Antinomianism. However, John Gill was not a Calvinist, but a hyper-Calvinist. Hyper Calvinism was a sort of Antinomianism. In another word, Wesley confused Calvinism with hyper-Calvinism. Calvinism is totally different from hyper-Calvinism. Calvin asserted the importance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which he believed as its goal the sanctification of believers. Moreover, Calvin never said predestination as determinative doctrine. Calvin taught the relation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Calvinism is not Antinomianism. Even today, in churches, confusions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till exist like Wesley’s. On the other hand, hyper-Calvinism in Korean churches has brought to ignore sanctification in the believers. Therefore, firstly, there should be clear distinction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econdly, there should be taught that hyper-Calvinism is error. 웨슬리는 온건한 칼빈주의를 인정하였으며, 알미니안주의와 함께 공존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명히 웨슬리는 원죄를 인정하였으며,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웨슬리는 칭의 교리에 있어서 자신과 칼빈주의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의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말하였고, 더 나아가서 칼빈주의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다. 웨슬리는 그 시대의 칼빈주의자들의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이러한 칼빈주의자들의 가르침은 도덕률폐기론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결국 성화를 무시하게 된다고 하였다. 웨슬리는 그 당시 칼빈주의 신학자인 존 길과의 논쟁에서 더욱 이러한 신학적 성향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그러나 웨슬리가 그 당시 이해하였던 칼빈주의는 하이퍼 칼빈주의이었다. 하이퍼 칼빈주의자들은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 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를 통하여 인간의 책임 부분을 완전히 제거 해버렸다. 그러나 웨슬리는 이러한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칼빈은 예정을 가르치면서 성화를 강조하였으며, 칭의와 성화가 불가분의 관계인 것과 성도의 견인에서 인간의 책임 부분이 있음을 말하였다. 따라서 웨슬리는 하이퍼 칼빈주의에 대한 비판을 한 것이다. 물론 하이퍼 칼빈주의는 잘못된 신학이며, 반드시 개혁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날에도 웨슬리처럼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고 성화를 무시하는 성향이 한국교회에 있다. 따라서 칼빈주의와 하이퍼 칼빈주의를 분명하게 구별하여 잘못된 가르침을 개혁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존 웨슬리가 본 칼빈주의

        김홍만 ( Hong Ma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1 한국개혁신학 Vol.32 No.-

        웨슬리는 온건한 칼빈주의를 인정하였으며, 알미니안주의와 함께 공존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분명히 웨슬리는 원죄를 인정하였으며, 하나님의 섭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웨슬리는 칭의 교리에 있어서 자신과 칼빈주의와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칼빈주의와 알미니안주의와의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말하였고, 더 나아가서 칼빈주의에 대해서 비판을 하였다. 웨슬리는 그 시대의 칼빈주의자들의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이러한 칼빈주의자들의 가르침은 도덕률폐기론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결국 성화를 무시하게 된다고 하였다. 웨슬리는 그 당시 칼빈주의 신학자인 존 길과의 논쟁에서 더욱 이러한 신학적 성향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그러나 웨슬리가 그 당시 이해하였던 칼빈주의는 하이퍼 칼빈주의이었다. 하이퍼 칼빈주의자들은 예정, 선택과 유기, 저항 할 수 없는 은혜, 성도의 최종적 견인 교리를 통하여 인간의 책임 부분을 완전히 제거해버렸다. 그러나 웨슬리는 이러한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였던 것이다. 실제로 칼빈은 예정을 가르치면서 성화를 강조하였으며, 칭의와 성화가 불가분의 관계인 것과 성도의 견인에서 인간의 책임 부분이 있음을 말하였다. 따라서 웨슬리는 하이퍼 칼빈주의에 대한 비판을 한 것이다. 물론 하이퍼 칼빈주의는 잘못된 신학이며, 반드시 개혁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오늘날에도 웨슬리처럼 하이퍼 칼빈주의를 칼빈주의로 오해하고 성화를 무시하는 성향이 한국교회에 있다. 따라서 칼빈주의와 하이퍼 칼빈주의를 분명하게 구별하여 잘못된 가르침을 개혁해야 할 것이다. John Wesley acknowledged ``sober Calvinism`` which could be compatible with Arminianism. Wesley definitely admitted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positively regard God`s providence. Even Wesley though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Calvin i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However, Wesley sai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Calvinism and Arminianism. Moreover, Wesley criticized Calvinism, especially doctrines of predestination, election and reprobation, irresistible grace, and final perseverance. Wesley thought that these doctrines caused believers to ignore their sanctification. Wesley debated with John Gill in regarding to predestination, election, perseverance. In this point, Wesley equated Calvinism with Antinomianism. However, John Gill was not a Calvinist, but a hyper-Calvinist. Hyper Calvinism was a sort of Antinomianism. In another word, Wesley confused Calvinism with hyper-Calvinism. Calvinism is totally different from hyper-Calvinism. Calvin asserted the importance of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which he believed as its goal the sanctification of believers. Moreover, Calvin never said predestination as determinative doctrine. Calvin taught the relation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Calvinism is not Antinomianism. Even today, in churches, confusions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till exist like Wesley`s. On the other hand, hyper-Calvinism in Korean churches has brought to ignore sanctification in the believers. Therefore, firstly, there should be clear distinction between Calvinism and hyper-Calvinism, secondly, there should be taught that hyper-Calvinism is error.

      • KCI등재

        Ecumenical Bearings of William Carey in the Modern Missionary Movement

        Chang Uk Byun(변창욱)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0 선교와 신학 Vol.51 No.-

        윌리엄 캐리(1761-1834)는 근대 개신교 선교운동의 선구자였다. 그는 다양한 선교사업을 수행하며 선교사역의 여러 모델을 보여주었다. 그는 선교지에서 사역하면서 국제적인 선교협력에 대한 비전을 품게 되었으며, 1806년에 초교파(에큐메니컬) 선교사 대회를 제안하기도 하였다. 본 논문은 10년마다 개최되는 선교사 대회 개최를 제안한 캐리의 선교사역, 비전과 1792년에 저술한 ‘이교도 선교방법론‘을 중심으로 근대 선교운동에 끼친 캐리의 공헌을 에큐메니컬 관점에서 분석한다. 특히 캐리가 가졌던 초교파 선교사상이 그 후 어떻게 성취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첫째, 캐리는 인간의 선교적 노력 없이도 하나님이 이방인들을 구원할 수 있다는 극단적 칼빈주의를 논박하였고, 선교통계와 세계선교를 위한 월례기도회를 통해 교회의 선교적 책임을 새롭게 회복시켰다. 둘째, 캐리는 선교지역 분할과 타 선교부의 선교지를 침범하지 말고 협력하는 방안을 갖고 있었다. 셋째, 시대를 앞서가는 캐리의 초교파 협력 방안은 침례교 선교부 총무에 의해 허황된 꿈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지만, 오래지 않아 그가 제안한 초교파 선교대회가 1850년대부터 개최되기 시작하였고, 마침내 1910년 에딘버러 선교사대회에서 완전히 성취되었다. 이처럼 캐리는 시대를 앞서가는 여러 초교파 협력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캐리는 20세기 에큐메니컬 운동의 선구자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William Carey was a pioneer in the modern Protestant missionary movement. While working in the mission field, he had a vision for international missionary cooperation. In 1806, he proposed interdenominational (or ecumenical as it is called today) missionary conference. This paper examines Carey’s contributions to the modern missionary movement in light of the contemporary ecumenical perspective. First, Carey argued against the hyper-Calvinist view that God would save the heathens without human missionary effort. He reawakened the importance of the Great Commission, thus reaffirming the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to carry the gospel to all the nations through monthly prayer meeting and mission statistics. Second, Carey had a vision to cooperate with other missions with the idea of territorial division (comity agreement) that did not encroach on other missions’ fields. Third, Carey’s proposal of a decennial mission conference was rejected by the secretary of the Baptist Mission Society as a “pleasing dream.” But, it was not long before his missionary gathering of all denominations started to be held in the 1850s, and his dream was finally realized at the Edinburgh World Missionary Conference of 1910. Carey’s proposal for international mission conference and other interdenominational mission ventures were far ahead of his time. Yet, as time went on, his ecumenical ideas became widely accepted as practical. Thus, Carey could be regarded as a precursor to the ecumenical missionary movement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Arthur W. Pink의 그리스도 중심의 인물 설교

        박성환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2 복음과 실천신학 Vol.63 No.-

        설교자는 일반적으로 신자에게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설교자라면 성경을 통해 그리스도를 설교해야 한다는 당위성에 동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교자가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를 추구하려할 경우에 설교 본문이 내포한 독특한 문학적 요소들과 수사 기법, 역사적 배경, 설교 본문 내용이 훼손되는 것을 자주 경험한다. 그러므로 설교자에게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는 언제나 부담, 그 자체일 수밖에 없다. 한편, 설교자는 때로 청중에게 인물 설교가 매우 효과적인 설교방법인 것을 알기에 활용한다. 왜냐하면 인물 설교는 성경 인물의 삶과 믿음을 오늘의 청중에게 즉시 연관시켜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녔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인물 설교는 청중을 위한 구체적인 적용이 가능한 능력을 지녔다. 그러나 인물 설교는 설교를 듣는 청중에게 그리스도에게 인도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노출한다. 종합해 보면, 설교자는 누구든지 설교 본문을 통해 그리스도 중심의 인물 설교를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모색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두 설교 방식의 장, 단점을 지녔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Arthur W. Pink의 설교 신학에 초점을 맞춘다. 즉, 논문은 Pink의 그리스도 중심의 인물 설교를 연구하여 소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그리고 논문은 Pink의 그리스도 중심의 인물 설교를 연구하기 위하여 역사적 고찰, 신학적(설교학적) 고찰과 목회적 고찰로 구성된 James White의 연구 방법을 활용할 것이다. 또한 논문은 Pink의 설교 신학이 드러나는 설교들 가운데 주로 엘리야-엘리사 이야기의 설교 내용들을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그의 설교 분석을 위하여 하이델베르크 설교분석 방법을 사용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