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 단일 기관에서의 임신성 당뇨 검사에 따른 태아 및 산과적 예후 비교

        윤성현 ( Sung Hyun Yun ),한상원 ( Sang Won Han ),이산희 ( San Hui Lee ),정용욱 ( Yong Wook Jung ),김의혁 ( Euy Hyuk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13 Perinatology Vol.24 No.3

        본 연구는 한국 산모에서 경구 당 부하검사(glucose challenge test, GCT) 결과에 따른 산과 및 주산기의 예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방법 :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에서 2007년 1월 1일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 산전검사를 받고 분만한 산모 중 임신 중반기에 임신성 당뇨 검사로써 50 g GCT를 시행받은 1,006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이 되는 1,006명의 산모를 총 3개의 군으로 분류하였다; 50 g 경구 GTC가 140 mg/dL 미만인 정상군(NGT, n=826), 50 g GTC가 140 mg/dL 이상의 결과가 나왔으나 임신성 당뇨 확진 검사상 음성인 임신성 내당 불내성군(GIGT, n=128), 임신성 당뇨 확진군(GDM, n=52). 임신 전 진단받은 산모의 당뇨와 고혈압, 다태임신 산모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이들 세 군의 산모의 특성과 산과적 예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산모의 나이, 임신력, 임신전의 체질량 지수는 GDM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기분만,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 또한 NGT군에서 GIGT군, GDM군의 순서로 유병률의 증가를 보였다(13.9% vs. 18.8% vs. 25.0%, P<0.01; 1.9% vs.5.5%vs. 13.5%, P<0.01). 과출생 체중아와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실률 또한 NGT군에서 GIGT군, GDM군의 순서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6.2% vs. 15.6% vs. 15.4%, P<0.01; 12.3% vs. 24.2% vs. 38.5%, P<0.01). 하지만 태변흡입 증후군이나 신생아 가사 등 집중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심각한 합병증의 빈도는 세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임신성 당뇨는 제왕절개, 조기 분만,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의 위험인자이다. 임신성 당뇨가 아닌 내당 불내성군에서도 정상군에 비해 임신과 합병된 고혈압, 조기진통, 제왕절개 비율, 과출생 체중아의 증가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 뿐만 아니라 내당 불내성군에 관한 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according to glucose challenge test (GCT) in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 One thousand six women, who were underwent antepartu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screening by a GCT in mid-pregnancy and delivered at National Health Service between January 1, 2007 and July 31, 2012, were included in the study.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50 g oral GTC and 100 g oral GTC; normal glucose tolerance (NGT, n=826), less than 140 mg/dL; gestational impaired glucose tolerance (GIGT, n=128), more than 140 mg/dL but non-GDM ;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n=52). Pre-existed maternal DM or hypertension and twin pregnancy were excluded. Obstetric and perinatal outcomes were compared among the three groups. Result : Maternal age, parity, and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were higher in the GDM. The preterm delivery and gestational hypertension increased across the groups from NGT to GIGT to GDM (13.9% vs. 18.8% vs. 25.0%, P <0.01, and 1.9% vs.5.5% vs. 13.5%, P <0.01, respectively).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rate were higher in order in NGT, GIGT, and GDM (6.2% vs. 15.6% vs. 15.4%, P <0.01, and 12.3% vs. 24.2% vs. 38.5%, P <0.01), but other complications requiring intensive car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including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and birth asphyxia. Conclusion : GDM was a risk factor of cesarean section, preterm delivery, and gestational hypertension. In addition, GIG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estational hypertension, preterm labor, cesarean section rate, and LG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guideline for Korean pregnant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GIGT.

      • KCI등재

        임신 당뇨병의 선별 및 진단 검사로써 50 g, 75 g,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의 효율성에 임상 연구

        박세나 ( Se Na Park ),차영주 ( Young Ju Cha ),정경아 ( Kyung Ah Jeong ),유은희 ( Eun Hee Yoo ),전선희 ( Shun Hee Chun ),김종일 ( Chong Il Kim ) 대한주산의학회 2008 Perinatology Vol.19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WHO가 제시한 1단계 75 g 경구 당부하 검사가 임산부에게 공복의 불편감과 자료의 미비성으로 임신 당뇨병의 진단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지만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 보다 검사가 용이하고 진단율이 높으며 분만 후 추적 검사에도 유용하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 50 g 경구 당부하 검사의 역치에 대한 분석 및 75 g과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의 임상적 효율성을 비교, 분석 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l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본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616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50 g 경구 당부하 검사 후 양성 기준을 130 mg/dL, 140 mg/dL로 하여 50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률과 임신 당뇨병의 진단율을 비교하였다. 50 g 경구 당부하 검사 결과치가 140 mg/dL 이상일 때, 75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실시한 군 및 l00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실시한 군과 대조군의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각각의 양성군에서의 임신 및 신생아 결과 및 산후 당뇨병 검사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50 g 경구 당부하 검사 시행 결과 130 mg/dL 이상에서 140 mg/dL 미만인 임산부에서 75 g 경구 당부하 검사에 응한 총 28명의 환자들 중 3명(10.7%)이 임신 당뇨병을 진단받았다. 50 g 경구 당부하 검사 결과 140 mg/dL 이상으로 양성 판정을 받아 75 g 또는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시행한 결과, 양성률이 각각 51.6%, 31.6%로 75g 경구 당부하 검사의 임신 당뇨병 진단률이 l00 g 경구 당부하 검사보다 높게 나타났다(p=0.047). 75 g 또는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군의 임신과 신생아 결과에서는, 임신 초기 체질량 지수가 l00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군에서 75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군에서 비해 유의한 증가(25.2±3.53 kg/m2 vs 22.9±3.26 kg/m2, p=0.043)를 보인 것 이외에는 두 군 간의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산후 당뇨병은 l00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군에서 75 g 경구 당부하 검사 양성군보다 높은 비율을 보였다. 결론: 50 g 경구 당부하 선별 검사 후에, 75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이용하여 임신 당뇨병의 진단율을 높임으로써 당불내성으로 인한 경미한 고혈당증을 보다 적극적으로 진단 및 치료하여 효과적으로 조절, 관리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linical efficiency of 75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with those of 100 g OGTT for diagnosin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after abnormal 50 g oral glucose challenge test (OGCT). Methods: Data of 616 pregnant women delivered at Ewha Womans University Dongdaemoon hospital from January, 2003 to June, 2007 was review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positive diagnostic rate of GDM for the group resulted in the range of 130 and 140 mg/dl and in 140 mg/dl and higher on the 50 g OGCT group was analyzed. Pregnancy and fetal outcomes were compared for the women who showed positive results in the 75 g and 100 g OGTT. Results: Of the 28 pregnant women whose results were in the range of 130 and 140 mg/dL on the 50 g OGCT, three women (10.7%) were diagnosed as GDM. Among women who showed the results of 140 mg/dL and higher, positive rate of GDM by 75 g OGTT (51.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by 100 g OGTT (31.6%) (p=0.047). The positive result group of 75 g and 100 g OGT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gnancy and fetal outcomes except that BMI of 100 g OGTT positive group was more increased at early pregnancy (25.2±3.53 kg/m2 vs 22.9±3.26 kg/m2, p=0.043). Conclusion: 75 g OGTT may be a more convenient and useful tool in the diagnosis of GDM to protect for adverse outcomes in untreated gravidas with minimal hyperglycemia.

      • KCI등재

        Screening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by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Can Reduce the Use of the Glucose Challenge Test

        Jose-Maria Maesa,,Patricia Fernandez-Riejos,Concepcion Gonzalez-Rodriguez,Victor Sanchez-Margalet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9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9 No.6

        Background: Physiological changes during pregnancy, such as dilutional anemia and a reduced half-life of red blood cells, have prevented the use of glycated Hb (HbA1c) as a biomarker for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Nevertheless, increasing evidence supports the use of HbA1c in GDM diagnostic strategies.We studied HbA1c as a biomarker of GDM and its possible use as a screening test to avoid the use of the glucose challenge test (GCT). Methods: This case-control study involved 607 pregnant women between the 24th and 28th week of gestation. HbA1c level was determined, and GDM was diagnosed according to the National Diabetes Data Group criteria. The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was determined; two low and two high cut-off points were established to rule out GDM and classify high-risk pregnant women, respectively. For each cut-off, sensitivity (S), specificity (SP), and total number and percentage of GCTs avoided were determined. Results: The AUC for HbA1c diagnostic performance was 0.68 (95% confidence interval 0.57–0.79). Using 4.6% HbA1c (27 mmol/mol) as the lower cut-off (S=100%), 14% of participants could avoid the GCT. Using 5.5% HbA1c (36 mmol/mol) as the upper cut-off (SP =94.5%), 6% of participants would be considered at high risk. Conclusions: HbA1c can be used as a screening test prior to the GCT, thereby reducing the need for the GCT among pregnant women at a low risk of GD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