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윤녕,김갑숙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 포커싱 미술치료의 이해와 활용을 위해서 가족복지상담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6명을 대상으로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의 참여자들은 학업과 직장의 업무 혹은 학업과 가정의 일 사이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공통점을 작고 있었으며,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체험을 하였는지 탐색하고 포커싱 미술치료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포커싱 집단 미술치료는 4회기, 총 12시간 실시되었으며, 실시 후 참여 경험에 대한 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는 Van Kaam의 현상학적인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어 총 67개의 의미 있는 진술, 15개의 부주제, 6개의 주제, 3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범주1은 포커싱의 경험으로 ‘감각느낌 접촉’과 ‘감각느낌의 인식’으로 분류되었고 범주2는 내적인 탐색의 경험으로 ‘자기탐색의 시간’과 ‘미해결과제의 탐색’으로 범주3은 미술치료의 경험에 대한 것으로 ‘미술이 주는 독특함’ 과 ‘미술활동의 어려움’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포커싱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에 대한 탐색과 의의에 대해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focusing-oriented group art therapy participants and examine the meaning of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by conducting focusing-oriented group art therapy for six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family welfare counseling. The focusing-oriented group art therapy consisted of 4 sessions and took 12 hours in total. After conducting the group art therapy,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Data was analysed by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Van Kaam, and sorted into 67 meaningful statements, 15 sub themes, 6 themes, and finally 3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was focusing experiential including the 'felt-sense' and ‘recognition of felt-sense'. The second category was experience of internal exploration including ’self-seeking time' and 'explore unresolved challenges'. The last categories was art therapy experiential such as, 'the unique experience of art' and 'burden of using art media' Focusing on these results, discussion on the exploration and significance of experience of focusing- oriented group art therapy was presented.

      • KCI등재

        포커싱 예술치료의 국내적용을 위한 예비 연구 - 포커싱 예술치료 자격증과정 참여 트레이니의 체험을 중심으로 -

        주은선,조병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미국 포커싱 예술치료 전문교육기관(Focusing & Expressive Arts Institute)의 포커싱 예술치료(Focusing-Oriented Arts Therapy: FOAT) 자격증과정에 참여한 한국트레이니들의 체험을 심층적으로 알아봄으로써 포커싱 예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한국에서의 포커싱 예술치료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연구 대상자 체험의 개별적 의미와, 그 개별적 체험을 관통하는 일반적 체험의 구조를 발견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한 결과 4개의 범주에서 18개의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 번째 범주는 포커싱 예술치료에 대한 기대로 1) 막연함과 궁금함, 2) 위축감과 걱정의 주제, 두 번째 범주로는 포커싱 예술치료의 체험으로 3) 부담 없이 다가 옴, 4) 건강한 거리두기와 집중, 5) 몰랐던 내 마음보기, 6) ‘찾기’의 반복, 7) 내 마음 다시보기, 8) 연결감, 9) 내 모습이 달라짐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세 번째 범주는 포커싱 예술치료의 적용가능성인데, 여기에는 10) 치료적 관계의 촉진, 11) 내담자의 자기표현에 도움, 12) 내담자의 통찰 촉진, 13) 내담자의 온전성 경험, 14) 감각느낌(felt sense)을 구체화함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마지막 범주는 포커싱 예술치료 적용의 우려와 한계인데, 여기에는 15) 치료자의 태도, 16) 물리적 환경, 17) 치료효과의 검증, 18) 기법상의 한계 및 유의점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포커싱 예술치료의 활성화를 위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who attended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FOAT) offered by Focusing & Expressive Arts Institute, U.S.A.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researchers identified 4 categories and 18 themes. The phenomenological method provides the structure of general experiences based on research participants' individual experience and meaning. The first category was expectation on FOAT and the themes were: 1) ambiguous feeling and curiosity, 2) withering and concern. The second category was named as FOAT lived-experiences and themes were: 3) not so demanding, 4) appropriate distance and concentration, 5) ability to know my inner world, 6) repetitive seeking experience, 7)ability to re-exam inner world, 8) connection, 9) changes. The third category was applicability of FOAT and themes were: 10) facilitating therapeutic relationship, 11) ability to help self-expression, 12) facilitating insight, 13) experience of integrity/wholeness, 14) concretization of felt sense. The fourth category was the limitation of FOAT and the themes were: 15) therapist's attitude, 16) environment, 17) examination of therapeutic effectiveness 18) limitation of skill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hope to provide understanding of Focusing-Oriented Art Therapy and the application of the approach in Korea.

      • KCI등재

        20대 남자 취업준비생의 마음챙김 포커싱 미술치료 경험 탐구

        신민주(Shin, Min-Ju),최선남(Choi, Seon-Nam)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한 20대 남자 취업준비생이 ‘포커싱 미술치료’를 경험하면서 어떻게 자신의 감정과 삶을 통찰하고 변화시켜 가는가에 관해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9년 4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주 1회 50분씩 26회기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내러티브 방식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경험 이야기로는 ‘모범적인 취업준비생’, ‘싸움은 나쁜 것이다.’, ‘가까운 사람에게 맞춰주면서 자신을 억압하다.’, ‘감각 느낌을 느끼면서 진짜 내 감정을 확인하다.’, ‘눌러두었던 분노라는 이름을 박살내다.’, ‘필요한 것과 원하는 것을 찾다.’ 가 있다. 이에 따른 경험의 의미로는 ‘감정의 표현과 수용의 경험을 하다.’ ‘부정적 감정에 빠져있지 않고 나를 조절하다.’ ‘내 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스스로 변화하다.’가 있다. 본 탐구에서 마음 챙김 포커싱미술치료는 감각 느낌을 느끼고, 수용하며 변화시켰고 자신을 인식하도록 도왔다. 이 과정은생활에서 감정을 표현하고, 공감 받을 수 있는 바탕이 되어 내담자의 감정을 조절하고 부정적감정을 변화시켰다. 마음챙김을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으로서 마음챙김 포커싱미술치료는 감각느낌을 느끼고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부정적 사고를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find out how he gained feelings and his life which a male job seeker in his twenties with depressive tendencies, experienced during ’mindfulness-focusing art therap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pril to October of 2019, over a course of 26 sessions that were 50 minutes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narrative inquiry. Results showed that experience stories were ‘exemplary job seeker, fighting is bad, suppressing one’s self while adapting to someone close, identifying my true feelings while feeling felt sense, destroying the name of suppressed anger, and finding what is needed and what is desired. ‘Mindfulness-focusing art therapy’ in this study allowed to feel, accept, and change sensations and emotions and to realize themselves. This process provided a basis for him to express emotions and receive empathy in life, which in turn allowed him to control emotions and it also changed negative emotions. As a stress reduction program based on mindfulness, mindfulness focusing art therapy served as an opportunity to positively transform negative thinking through the process of feeling and accepting felt sense.

      • KCI등재

        심리치료사의 자기 돌봄을 위한 포커싱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최윤녕(Yun-nyeong Choi),김갑숙(Gab-sook Kim)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심리치료사의 자기 돌봄을 위한 포커싱 집단미술치료 체험에 관한 본질과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심리치료 관련 박사학위 과정 재학 이상이며 경력 6년 이상의 심리치료사 5명으로 자료의 수집은 사전면담과 10회기의 집단미술치료, 사후면담으로 이루어졌다.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총 22개의 하위 주제와 6개의 본질적 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참여자들은 심리치료사로서 자신들이 처한 물리적, 정서적인 요인으로 인해 힘들고 지친 상태로 꾸준한 자기 돌봄이 필요하다. 둘째, 참여자들은 감각느낌과 감각전환을 통해 자신에게 집중하여 내면을 들여다보고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방안을 찾아 나아갈 수 있었다. 셋째, 다양한 미술 매체와 미술작업이 감각느낌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포커싱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었다. 넷째, 집단미술치료 참여를 통해 지지와 공감이 촉진되고 정서적 안정감과 자기 돌봄의 경험을 할 수 있었다. 다섯째, 포커싱 집단미술치료는 자신의 있는 그대로를 수용할 수 있게 하여 자신뿐만 아니라 내담자를 도울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치료사로서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 내면에 집중하고 매 순간 자신에게 머물게 하는 포커싱 집단미술치료가 심리치료사의 자기 돌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meaning of psychotherapists' experiences with self-car-focused group art therap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ive psychotherapists with at least 6 years of experience in a doctoral degree program related to psychotherapy.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2019 to October 2019 through pre-interviews, 10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and post-interviews.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and 22 sub-themes and six essential themes emerged from the data analysis. Accordingly,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ere in a difficult and exhausted state due to the physical and emotional factors related to being psychotherapists. This state can directly affect the client, so continuous self-care is necessary. Second, participants could focus on themselves through a felt sense and feel a shift, look inside, recognize their problems, and find solutions. Fourth, through participation in group art therapy, support and empathy were promoted, and the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care. Fifth, focusing group art therapy became a driving force to help clients and participants’ themselves by allowing them to accept themselves as they are and providing an opportunity to grow as a therapis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then discussed.

      • KCI등재

        교권 침해와 한국의 인간 대상화 현상: 감정 노동에 익숙해진 사람들을 위한 포커싱 영성 훈련

        한혜현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4 신학논단 Vol.115 No.-

        교권 침해 문제 이면에 존재하는 한국 사회의 인간 대상화(human objectification)와 자기 대상화(self-objectification) 현상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감정 노동에 익숙해져 자신의 존재를 잃어버린 사람들을 위한 치유의 과정으로 포커싱(Focusing)에 기반한 영성 훈련을 제안한다. 유진 젠들린(Eugene T. Gendlin)에 의해 시작된 포커싱은 몸의 인식에 집중하여 펠트 센스(Felt Sense)를 포착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존재에 주목하게 하는 심리학의 한 분야이다. 이를 기반으로 한 영성 훈련은 지나치게 무거운 책임감과 사회적인 기대로 인해 자기 대상화가 일어난 교사들에게 잃어버린 자기의 목소리를 되찾게 하고, 교육의 서비스화 현상으로 인한 감정 노동으로부터 자신을 지켜낼 수 있게 한다. 괴물 부모(Monster Parents)라는 개념이 등장할 정도로 교사들은 학부모들의 지나친 민원 제기와 비합리적인 요구에 자주 노출되고, 정서적, 감정적으로 소진되기 쉬운 환경에 놓여있다. 이에 더해 교사라는 직업에 대한 높은 수준의 사회적 기대와 좋은 교사가 되고자 하는 본인의 열망, 공무원으로서 완수해야 하는 과도한 업무, 다양한 이유로 형성되는 책임감과 죄책감은 교사들이 홀로 감당해야 할 삶의 무게가 되어 그들을 짓누른다. 이 무거운 역할의 짐을 진 그들은 진실한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기보다, 사람들이 기대하는 이상적인 모습의 가면을 자주 쓰게 된다. 위와 같은 상황에 처해있는 교사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자기 소외 현상과 자기 대상화의 상황에 놓이게 된다. 인간 대상화를 지속해서 경험한 사람들이 가해자의 시선을 내면화하여 자기 자신을 수단으로 여기고, 기능적 인간으로 존재하는 것에 익숙해진 상태를 의미하는 자기 대상화는 감정 노동에 지속해서 노출된 사람들에게 자주 발견되며, 인간 대상화 현상이 사회의 각 분야에서 심화되고 있는 한국 사회 안에서도 흔히 발견되는 현상이다. 이들에게 중요한 것은 지금 자신이 어떤 상황에 처해 있는지를 깨닫고, 자신의 인간성을 훼손하는 불합리한 상황 속에서 스스로를 지켜낼 수 있는 내면의 힘을 기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포커싱과 표현 예술 치료의 원리를 활용한 영성 훈련을 통해 사회적 역할이 자신의 인격에 고착되어 잃어버린 진정한 나를 되찾고, 자신의 존재에 집중할 수 있는 의식 전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suggests a spiritual practice based on “Focusing,” which was developed from an awareness of the severity of human objectific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in Korean society, shown through the recent issue of teacher’s rights violation. Focusing is a branch of psychology where participants concentrate on their own existence through a process of capturing felt sense via bodily awareness. This process can be healing for those accustomed to heavy emotional labor and who have lost a sense of their own existence because of objectification both by others and by themselves. A spiritual practice based on focusing allows those who have become self-objectified to listen to their inner voices and protect themselves from undue emotional labor. Teachers are frequently subjected to unreasonable complaints and demands from some parents. In addition, the high social expectations around the profession of a teacher, the individual’s own desire to become an ideal teacher, the excessive workload as a public servant, and an overwhelming sense of responsibility and guilt become burdens in the lives of many teachers. Such individuals often choose to wear the social mask of the ideal teacher, even though they are burdened by this heavy role and unable to be their true selves. In this situation, teachers are exposed to the dangers of self-alienation and self-objectification. Self-objectification is a state in which people internalize the perpetrator’s gaze, see themselves as a means, and become accustomed to existing solely as functional human beings. Such a condition is often found in people continuously forced to undertake emotional labor and is common in Korean society, where human objectification is intense. What is essential is that people understand the kind of situation they are currently exposed to and develop the inner strength and resilience to protect themselves from unreasonable situations that damage their humanity. This article seeks to challenge teachers in their state of dominated consciousness so that they might find their true selves that have been lost due to their social roles and rehabilitate these through a spiritual practice that follows the principles of focu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