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동영상 플랫폼에 노출되는동영상광고 크리에이티브의 효과 측정 개념에 대한 연구

        손동진,김혜경 한국영상학회 2016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4 No.1

        동영상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효과 측정이란 소비자들에게 특정 동영상 광고의 내용이 어떻게 수용되는가에 대한 인지적, 행동적 관점에서의 반응을 알아보는 테스트를 말한다. 최근 전통적인 4대 매체 뿐 아니라 디지털 SNS 플랫폼을 통한 동영상 광고 집행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공중파 TV 광고가 아닌 디지털 동영상 플랫폼에서 집행되는 광고 크리에이티브의 소비자 효과측정 방법론은 달라야 한다는 점에서 출발하였다. 전통 시대의 소비자 구매행동모델과 디지털 시대의 소비자 구매행동모델이 서로 다르듯이, 광고 효과 측정에 대한 방법론도 분명 차이가 있어야 한다. 먼저 디지털 동영상 광고물의 특성과 디지털 소비자 구매행동 모델(AISAS)에 대한 선행 연구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영상 광고물의 광고 효과를 전략적으로 측정하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도구(tool)를 도출하고자 SNS 동영상 플랫폼에서 동영상 광고물을 실제로 접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의 취지 및 결과에 대한 보다 현실적인 개념을 추출하기 위해 업계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디지털 동영상 플랫폼에서 집행되는 동영상 광고물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호감도를 표시하고 타인에게 공유하는 행위는 광고의 주의집중력과 흥미도와 관련이 있었으며, 동시에 타인의 광고에 대한 평가가 다른 사람의 광고에 대한 호감도 표시에 영향을 미쳤다. 가설로 설정한 광고효과의 항목들이 서로 인과관계가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디지털 동영상 플랫폼에 특화된 광고 콘텐츠의 광고효과 측정 방법론에 대한 개념(컨셉)을 제안하였다. An evaluation of commercial video content is a type of test which defines how the audience thinks and acts when they are exposed to certain commercial video content in terms of recognition and behavior. At present, commercial video on digital platforms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re is a need for relevant evaluation methods for digital advertising which differ from traditional types such as TV commercial films. Considering that the consumer purchasing behavioral model for the digital age is different from that which applies to the traditional age, evaluations of digital creative content should evolve. To make this research more fruitful,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purchase behavior of customers in the digital age and to find the key features of digital-based commercial video content. The results are based on a survey which targeted people who watched commercial videos on YouTube, a very familiar digital video platform, with key strategic points extracted to reveal how audiences behave during the process of evaluating the creativity of certain forms of commercial video. In addition, interviews with industrial experts were also carried out to gain more detailed insight. The conceptual evaluation model of digital video content was developed based on results which found that audiences’ preferences for certain content was correlated with their level of attention and interest in the content. Moreover, assessment of video content by one group influenced the preferences of another group.

      • KCI등재

        Creativity of images: using digital consensual assessment to evaluate mood boards

        Charles Freeman,Sara Marcketti,Elena Karpova 한국의류학회 2017 Fashion and Textiles Vol.4 No.1

        Mood boards are used frequently in design and product development as well as in academic courses related to fashion design. However objectively evaluating the creativity of fashion design mood boards is often difficul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examine reliability of a digital consensual assessment instrument measuring creativity, using expert (from related domains) and non-expert raters (students). Creativity measures were compared with the mood board themes to further investigate any relationships between mood board types and the consensual assessment. Independent samples t test comparing group means indicated expert raters evaluated the mood boards significantly higher in creativity than the non-experts, t (99) = −6.71, p < .001, (95% CI −.57, −.29), while Pearson correlation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groups of raters, r (50) = .33, p < .01. ANOVA results for all rater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ive subject matter categories; F (4, 95) = 4.64, p < .005. Overall, expert and non-expert raters reported significant reliability, which further supports prior research using consensual assessment for creativity measures across dom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