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성 낚시참여자의 환경행동과 캐치 앤 릴리스(Catch-and Release)에 관한 연구

        김종순 한국여성체육학회 2019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nvironmental attitudes, place attachment, environmental behaviour and catch-and-release behavior of men in their 30s and 60s. First, how do environmental attitudes affect place attachment, environmental behavior, and catch-and-release behavior? Second, how does place attachment affect environmental behavior, catch-and-release behavior? Third, how does environmental behavior affect catch-and-release behavior?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variables were verified using Cronbach's α value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ausality of each research problem. Al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18.0 program with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of α=.05. Through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male fishing participants in their 30s and 60s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impact on place-matching, environmental behavior and catch-and-release.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attachment to places held by male fishing participants in their 30s and 60s does not affect environmental behavior and catch and release. Finally, the environmental behavior of male fishing participants in their 30s and 60s has been shown to affect catch and release. These findings show that for continued fishing activities as leisure, it is important to practice environmental behavior, which is influenced by nature-centered environmental attitudes. In addition, this naturalist environmental attitude could ultimately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catch and release, a typical environmental action in fishing. 본 연구의 목적은 30-60대 남성 낚시참여자를 대상으로 환경태도, 장소애착, 환경행동 그리고 캐치 앤 릴리스(Catch-and-Release) 행동에 대해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환경태도가 장소애착, 환경행동, 캐치 앤 릴리스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장소애착이 환경행동, 캐치 앤 릴리스 행동에 어떤 영향을미치는가? 셋째, 환경행동이 캐치 앤 릴리스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Cronbach’s α값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이용하여검증하였다. 각 연구문제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은SPSS18.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0-60대 남성 낚시참여자들의 환경태도는 장소애착, 환경행동, 캐치 앤 릴리스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0-60대 남성 낚시참여자이 갖는 장소에 대한 애착은 환경행동과 캐치 앤 릴리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30-60대 남성 낚시참여자의 환경행동은 캐치 앤 릴리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가로서의 지속적인 낚시 활동을 위해서는 환경행동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자연중심 환경태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자연중심주의 환경태도는 궁극적으로 낚시에서의 대표적인 환경행동인 캐치 앤 릴리스 참여를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소말리아 해적 사법처리 관련 문제점 및 향후 정책 추진방향: 국제협력 이론을 적용한 "잡았다 놓아주기" 관행 분석을 중심으로

        이병구 ( Byeong Gu Lee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1 국방연구 Vol.54 No.3

        소말리아 해적이 국제 사회 공공의 적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국은 불법행위로 생포된 해적을 적극적으로 사법처리하기 보다는 무기 회수 후 단순 방면 하는 소위 ``잡았다 놓아주기(catch and release)`` 관행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국제협력 이론에 근거하여 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이 추진해야 할 정책적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논문의 핵심 주장은 소말리아 해적의 사법처리를 법적,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 할 국제법적 틀(international legal framework)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개별 국가가 해적의 사법처리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불완전성이 개선되지 않는 이상 개별국가가 보이는 소극적 사법처리의 행태는 변화되기 어려울 것이고, 궁극적으로 소말리아 해적 퇴치라는 국제 사회의 목표 달성은 요원한 과제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언한다. 첫째, 한국 정부는 해적 특별재판소의 설립을 위한 유엔의 노력과 해적 제3국 인도를 위한 양자협약 체결에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국내법 및 제도 정비 차원에서 해적행위죄의 신설을 검토하고, 청해부대 함장에 대한 사법권을 부여하거나 해양경찰 수사관을 청해부대에 파견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소말리아 해적 재판에 필요한 인적 자원을 확보하고, 소말리아 해적이 망명을 요청할 경우에 대비 이들의 법적 지위 문제를 사전에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국제적, 국가적, 그리고 군 차원에서 통합되어 추진될 때 국제 안보에 대한 한국의 기여가 보장될 수 있을 것이다. Rather than prosecuting the pirates captured for illegal activities, individual states have preferred the so-called ``catch and release`` practice in which they simply release the pirates after taking simple measures such as collecting the weapons of the suspects. The main argument of this paper is that the pitfalls of the international legal framework, which is supposed to facilitate the prosecution of the somali pirates, has caused individual states to take passive measures. Unless these drawbacks are resolved, the goa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eradicate the somali piracy will not be easily realized.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is, this paper make several recommendations. First of all,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actively participate in efforts to establish special courts to be responsible for somali pirates. Secondly, it is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make diplomatic moves to conclude bilateral treaties with countries nearby Somalia for transferring captured pirates. Lastl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ensure the legal and managerial capacity to prosecute somali pirates in the country and to examine the legal status of pirates who have shown the intention to seek for political asylum in South Kore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