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소나노튜브로 보강된 탄소섬유복합재의 제조공정과 층간전단강도

        김한상 ( Han Sang Kim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1 Composites research Vol.24 No.5

        탄소나노튜브가 발견된 이후로, 고분자 수지의 기계적, 전기적 물성을 증대시키는 보강재로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더 나아가, 탄소나뉴튜브를 탄소섬유복합재 (CFRP)의 기지가 되는 수지를 보강시키는 데 이용하는 연구도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단일벽탄소나노튜브가 각각 0.2 %, 0.5 %의 중량비로 에폭시 수지에 먼저 분산, 혼합되었다. 이 혼합액을 CFRP를 제작하는데 주로 쓰이는 방법 중 하나인 진공 수지 충전 공정법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VARTM)으로 탄소섬유 프리폼에 주입하는 방법과 습식 현장 적층법 (wet lay-up)의 두가지 다른 방법으로 복합재를 제작 하였다. 각각의 제작된 시편에 대하여, 층간전단강도 (interlaminar shear strength, ILSS)를 측정하여, 층간전단강도와 공정의 상관관계, 탄소나노튜브의 보강효과에 대하여 조사했다. 탄소나노튜브/에폭시 복합재의 경우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가져왔으나 이를 기지재로 사용한 탄소섬유복합재의 층간전단강도는 특히 VARTM 공정의 경우, 탄소나노튜브의 첨가에 따른 수지의 점도 증가로 인한 공정상의 문제로 기대만큼의 물성향상을 가져오지는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Carbon nanotubes (CNTs) have been widely investigated as reinforcements of CNT/polymer nanocomposites to enhance mechan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mer matrices since their discovery in the early 90`s. Furthermore, the number of studies about incorporating CNTs into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FRP) to reinforce their polymer matrices is increasing recently. In this study,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 were dispersed in epoxy with 0.2 wt.% and 0.5 wt.%. Then, the SWNT/epoxy mixtures were processed to carbon fiber composites by a vacuum assisted resin transfer molding (VARTM) and a wet lay up method. The processed composite samples were tested for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 (IL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laminar shear strengths and processing, and the reinforcement mechanism of carbon nanotubes were investigated. CNT/epoxy nanocomposite specimens showed the increased tensile properties. However, the ILSS of carbon fiber composites was not enhanced by reinforcing the matrix with CNTs because of processing issues caused by increased viscosity of the matrix due to addition of CNTs particularly for a VARTM method.

      • KCI등재

        토양 매질체에서 탄소나노물질의 이동성

        이인걸(In Geol Yi),강진규(Jin Kyu Kang),김성배(Song Bae Kim),김현중(Hyun Jung Kim),한요셉(Yo Sep Han),엄익춘(Ig Chun Eom),조은혜(Eun Hye Jo),박선영(Sun Young Park) 大韓環境工學會 2014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6 No.8

        탄소나노물질은 대표적인 나노물질로써, 풀러렌,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을 포함한다. 탄소나노물질은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생산, 사용, 처리 등의 단계에서 환경에 노출될 수 있고, 일단 노출이 되면 다양한 계로 확산되어 여러 생태학적 수용체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 탄소나노물질이 토양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물의 흐름을 따라 토양을 통과하여 지하수에 노출될 가능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토양이 탄소나노물질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잘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탄소나노물질의 지하수 노출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질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까지 토양 매질체에서 탄소나노물질의 이동과 관련하여 수행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들을 통해 알려진 탄소 나노물질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탄소나노물질의 이동을 모사하는데 이용되는 DLVO이론, 콜로이드 여과이론 그리고 이동모델을 제시하였다. 최근, 국내에서도 탄소나노물질의 생산과 상업적, 환경적 이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생산되고 유통되는 탄소나노물질의 토양환경에서 이동에 관한 연구들이 향후에도 다양한 토양 환경조건에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Carbon nanomaterials such as fullerene, carbon nanotube and graphene are representative nanomaterials and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Carbon nanomaterials can be exposed to environments during their production, usage and disposal, spreading to different systems and posing a great threat to various ecological receptors. Researches are conducted in order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groundwater exposure to carbon nanomaterials due to their release and passage through soils. If soils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limiting the transport of carbon nanomaterials, the possibility of groundwater exposure to carbon nanomaterials can be reduced greatly. This review paper presented the research works performed for the mobility of carbon nanomaterials in soil media. Also, the paper provided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nsport of carbon nanomaterials in soil media along with the DLVO theory/colloid filtration theory/transport model, which are used to describe the transport of carbon nanomaterials in soil media. Recently, production of carbon nanomaterials and their commercial and environmental applications increase rapidly in Korea. Therefore, researches regarding the fate and transport of domestic carbon nanomaterials in soil environments should be performed in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 KCI등재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변학적 물성 및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현(Ji-Hyun Kim),김원우(Won-Woo Kim),문재흠(Jae-Heum Moon),정철우(Chul-Woo Chung)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20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8 No.4

        탄소나노튜브는 뛰어난 역학적 성능 및 기능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나노소재이다. 탄소나노튜브를 건설재료 분야에 활용하는 연구는 현재의 화두 중 하나로, 예전에 비해 점차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탄소나노튜브의 혼입률이 시멘트 페이스트의 압축강도 및 유변학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문헌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Polyvinyl Pyrrolidone을 사용하여 수용액 분산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하여 시멘트 페이스트를 제조하고, 이의 유변학적 물성 및 압축강도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탄소나노튜브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소성점도 및 소성항복응력의 증가가 발생하였으며, 물시멘트비가 낮은 경우에 이러한 경향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탄소나노튜브 혼입 시멘트 페이스트의 압축강도는 물시멘트비가 0.30인 경우 탄소나노튜브 혼입률 0.1wt%에서, 물시멘트비가 0.40인 경우에는 혼입률 0.2wt%에서 최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rbon nanotube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functionality, so it has been utilized in various applications. In recent years, utilization of carbon nanotube in construction material has started to get interests from researchers in the area of construction materials. However, there is limited amount of work with respect to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cement paste using carbon nanotube. In this work, solution made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with dispersing agent of polyvinyl pyrrolidone was used to prepare cement paste specimens, and rheological properties and 28 day compressive strengths of cement paste us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as the amounnt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increased, plastic viscosity and yield stress of cement paste specimens also increased. It was also found that such effect was higher with lower w/c cement paste specimens.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strength, it was maximized at carbon nanotube content of 0.1wt.% for w/c 0.30 cement paste, whereas the maximum strength of w/c 0.40 cement paste was observed with carbon nanotube content of 0.2wt%.

      • KCI등재

        탄소나노튜브 보강 여부에 따른 자가치료용 마이크로캡슐의 박막 특성 평가

        장정근,김현지,윤성호 한국정밀공학회 2023 한국정밀공학회지 Vol.40 No.1

        In this study, thin-shell surface observation, storage capability test, and micro-compressive test were performed for selfhealing microcapsules using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and a micro-compressive testingmachine. A microcapsule having a melamine-urea-formaldehyde thin-shell and a microcapsule having a melamine-ureaformaldehyde thin-shell reinforced with carbon nanotubes were used. Two carbon nanotube contents were considered: 0.17 wt% and 0.50 wt%. Thin-wall shell state was relatively smooth when microcapsules were not reinforced with carbon nanotubes. It was uneven when microcapsules were reinforced with carbon nanotubes. Prepared microcapsules showed little decreases of weights even when the exposure time was increased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reinforced with carbon nanotubes. Thus, their storage capability was good. When carbon nanotube content was the same, the fracture load was almost constant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diameter of the microcapsule. However, fracture displacement increased with increasing diameter of the microcapsule. When diameters of microcapsules were similar, fracture load and fracture displacement increased when carbon nanotube content increased. It was found that self-healing microcapsules had good storage cap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Thus, they could be applied to repair damage to composite materials if thin-shell formation mechanism for adding carbon nanotubes is supplemented.

      • 탄소 나노튜브를 이용한 나노유체의 특성 비교 연구

        안응진(An, Eoung-Jin),박성식(Park, Sung-Seek),김남진(Kim, Nam-Ji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05

        탄소나노튜브는 높은 전기 전도성과 열 전도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21세기를 주도해 나갈 수 있는 차세대 첨단 소재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나노공학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획기적으로 높은 열전도도를 나타내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면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높은 열전도도 특성을 이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기본 유체 및 기능성 유체에 안정하게 분산 시킨 후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탄소나노튜브를 유체에 안정하게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기계적 분산법, 물리적 흡착에 의한 분산법, 화학적 개질에 의한 분산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분산 방법과 탄소나노튜브 입자의 물성치에 따른 나노유체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나노유체의 열전도도와 점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든 물성치는 같지만 탄소나노튜브의 길이만 다른 두 종류의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에 각각 계면 활성제(Sodium Dodecyl Sulfate, SDS) 100 wt%와 고분자 화합물(Polyvinyl Pyrrolidone, PVP) 300 wt%를 첨가하여 나노유체를 제조하였으며, 산화처리 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Oxidiz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OMWCNTs)를 증류수에 초음파 분산하여 산화나노유체를 제조하였다. 나노유체의 열전도도는 전기 전도성 유체의 비정상 열선법(Transient Hot-wire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나노유체의 점도는 회전형 디지털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상온에서 동일 혼합비의 나노유체를 비교했을 때, 산화나노유체가 SDS 100 wt%, PVP 300 wt%를 혼합한 다른 나노유체보다 높은 열전도도 특성을 보였으며 점도 특성 또한 가장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특히 상온에서 0.1vol%의 산화 CM-100 나노유체는 증류수보다 열전도도가 8.34%가 증가하였고, 10?C의 저온에서는 상온에서 증류수와 비교하여 측정된 열전도도 값보다 0.36%가 감소한 7.98%가 증가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높은 열전도도를 필요로 하는 열교환기의 작동유체나 기타 활용 분야에 대한 기초 자료로써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 판단된다.

      • 탄소 동소체-황토 복합재료를 사용한 친환경 발열체 제작과 특성 분석

        김소연 ( So Yun Kim ),최예윤 ( Ye Yoon Choi ),윤대현 ( Dae Hyun Yoon ),김효권 ( Hyokwon Kim ),정규관 ( Kyukwan Zong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9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44 No.1

        본 연구는 친환경적 재료인 황토와 탄소 동소체인 탄소 나노튜브와 흑연을 혼합하여 발열체를 제작하고 발열 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황토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전통 건축 재료이다. 최근 황토가 친환경적이고 전자파를 차단하고 원적외선을 방출한다고 해서 전통 가옥의 벽과 실내의 온돌 바닥 재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황토는 단열과 통풍성이 좋으며 겨울에는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우리나라와 같은 사계절을 가진 나라에서 매우 적합한 건축 재료이다. 황토의 이런 장점을 살리고 매우 안정하고 인체에 무해한 전도성이 뛰어난 탄소 동소체인 흑연과 탄소 나노튜브의 장점을 살려 이 두 물질의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합성한 복합체를 사용하여 발열체를 제작하고 저항과 발열 효과를 측정하였다. 황토에 흑연을 넣어 만든 혼합체의 저항 값 측정에서 흑연 0.1g이 섞인 시료의 경우 저항 값이 크게 나타났지만 0.2g ~ 0.5g 까지의 시료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저항 값을 보였다. 이들 시료는 평균 저항 값이 0.2kΩ ~ 4kΩ 까지의 매우 우수한 전기전도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황토에 적정량의 흑연을 섞어 넣은 경우 매우 우수한 발열체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실험을 통하여 탄소나노튜브보다는 흑연이 황토와 잘 혼합되는 성질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동일 질량인 경우 탄소나노튜브가 흑연보다 더 높은 발열 효율을 보여 주었다. 따라서 황토와의 혼합성, 혼합 질량 비율, 경제성 등을 고려해 볼 때 흑연은 혼합성과 경제성에서 우수하고, 탄소나노튜브는 혼합 질량 비율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This study centers around the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heating devices and characterization using the composites of carbon allotrope and loess. Loess is one of the most popular traditional construction materials. It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that loess is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ion material and very helpful to stop electrical radiation, also known to emit long wave length of infra-red. It also is excellent in permeating air and insulating, therefore the houses made of loess enjoy cool in summer and warm in winter. Meanwhile, carbon allostopes including graphite and carbon nanotube are very stable and highly conductive. From a variety of merits for loess and carbon allostropes, we designed and evaluated a heating device consisted of a composite of loess and carbon allotropes such as carbon nanotubes and graphite. the composites including up to 0.1 g of graphite showed very big electrical resistance but they displayed relatively low resistance in the range of 0.2-0.5g. These samples showed average of 0.2-4kΩ resistance and thus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ies. Our study demonstrated that graphite showed superior miscibility with loess than carbon nanotube did. The composites including carbon nanotube displayed superior heating efficiencies than those including graphite did if the composites prepared from the same weight ratio between carbon allostrope and loess.

      • KCI등재

        탄소나노튜브 다발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재료의 열-기계 특성 예측을 위한 멀티스케일 균질화 모델 개발

        왕호림 ( Haolin Wang ),신현성 ( Hyunseong Shin ) 한국복합재료학회 2020 Composites research Vol.33 No.4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 다발을 포함하는 나노복합재료의 열-기계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분자동역학 전산모사와 유한요소 기반 균질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응집된 탄소나노튜브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동일한 탄소나노튜브의 체적분율에도 불구하고, 면내 영률 및 면내 전단계수는 감소하였고, 면내 열팽창계수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계면의 두께를 조사하기 위하여 밀도의 반경 방향 분포(Radial density distribution)을 조사하였으며, 계면의 두께는 탄소나노튜브의 수와는 거의 무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지와 계면은 등방성 재료로 가정하였으며, 예측한 계면의 열-기계적 특성에 따르면, 응집된 탄소나노튜브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계면의 영률 및 전단계수는 감소하였으며, 열팽창계수는 반대로 증가하였다. 이를 토대로, 탄소나노튜브 다발을 포함하는 PLA 나노복합재료의 열-기계적 특성 예측을 위한 멀티스케일 균질화 모델을 개발하였다. In this study, we employ the full atomistic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and finite element homogenization method to predict the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nanocomposites including carbon nanotube bundle. As the number of carbon nanotubes within the single bundle increases, the effective in-plane Young's modulus and in-plane shear modulus decrease, and in-plan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ncreases, despite the same volume fraction of carbon nanotubes. To investigate the thickness of interphase zone, we employ the radial density distribution. It is investigated that the interphase thickness is almost independent on the number of carbon nanotubes within the single bundle. It is assumed that the matrix and interphase are isotropic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dicted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interphase zone, the Young's modulus and shear modulus of interphase zone clearly decrease, and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increases. Based on the thermo-mechanical interphase behavior, we developed the multiscale homogenization model to predict the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PLA nanocomposites that include the carbon nanotube bundle.

      • KCI등재

        전기적-미세역학시험법과 음향방출을 이용한 단일 탄소섬유/탄소나노튜브-에폭시 나노복합재료의 자체-감지능

        박종만(Joung-Man Park),장정훈(Jung-Hoon Jang),왕작가(Zuo-Jia Wang),권동준(Dong-Jun Kwon),박종규(Jong-Kyu Park),이우일(Woo-Il Lee)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10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30 No.5

        탄소나노튜브-에폭시 복합재료의 미세손상에 대한 자체-감지도와 분산도와 관련되는 특성 연구가 접촉각, 전기-미세역학 시험법 및 음향방출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시편들은 미처리와 산처리된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에폭시 복합재료와 순수 에폭시로 제조되었다. 상대적인 분산도는 부피 전기저항도와 그 표준편차로 평가하였다. 응력전달을 나타내는 겉보기 탄성율은 미처리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보다 산처리된 경우가 크게 나타났다. 단일 탄소섬유/탄소나노튜브-에폭시 복합재료는 부가한 반복 하중에 대해서 접촉저항도의 변화로 잘 감지되었다 섬유 풀-아웃 시험에서 단일 탄소섬유와 탄소나노튜브-에폭시간의 계면접착강도는 순수 에폭시의 경우보다 작았다. 음향방출과 함께 전기저항측정을 통한 미세파손 감지는, 전도성 있는 탄소나노튜브-에폭시 복합재료에서는 단일 탄소섬유 파손에 대한 단계적인 전기저항도의 증대를 보여 주었으나, 순수 에폭시의 경우는 첫번째 탄소섬유의 파단의 경우 바로 저항이 무한대로 증대함을 보여주었다. 첨가한 탄소나노튜브의 미세계면 손상으로 인하여, 음향방출 발생이 나노복합재료가 순수 에폭시에 비하여 훨씬 증대하였다. Self-sensing on micro-failure, dispersion degree and relating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CNT)/epoxy composites, were investigated using wettability, electro-micromechanical technique with acoustic emission(AE). Specimens were prepared from neat epoxy as well as composites with untreated and acid-treated CNT. Degree of dispersion was evaluated comparatively by measuring volumetric electrical resistivity and its standard deviation. Apparent modulus containing the stress transfer was higher for acid-treated CNT composite than for the untreated case. Applied cyclic loading responded well for a single carbon fiber/CNT-epoxy composite by the change in contact resistivity. The interfacial shear strength between a single carbon fiber and CNT-epoxy, determined in a fiber pullout test, was lower than that between a single carbon fiber and neat epoxy. Regarding on micro-damage sensing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with AE, the stepwise increment in electrical resistivity was observed for a single carbon fiber/CNT -epoxy composite. On the other hand, electrical resistivity increased infinitely right after the first carbon fiber breaks for a single carbon fiber/neat epoxy composite. The occurrence of AE events of added CNT composites was much higher than the neat epoxy case, due to micro failure at the interfaces by added CNTs.

      • KCI등재

        탄소나노튜브 기반 트랜지스터의 응용과 현황에 관한 연구

        조근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1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는 기존 실리콘 기반 트랜지스터의 한계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5 nm보다 작은 크기로 반도체 소자의 소스와 드레인 사이를 만들 수 있어, 기존 반도체 소자보다 향상된 성능을 가진 반도체 소자를 기존 반도체 소자가 필요로 했던 면적보다 좁은 면적에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는 가까운 미래에 기존 실리콘 기반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반도체 칩보다 빠르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 기반 반도체 칩이 나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더불어,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탄소나노튜브의 기계적인 유연성과 친환경성은 기존 반도체 소자를 직접 적용하기 어려웠던 사물에 회로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주변 사물로부터 광범위한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해야하는 IoT 시대를 좀 더 적극적으로 대응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연구된 탄소나노튜브 기반 트랜지스터의 응용과 현황을 종합하고 분석하여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의 다양한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Carbon nanotube transistors can be made between source and drain of a semiconductor device with a size smaller than 5 nm, which is accepted as a limitation of the conventional silicon-based transistors. It is expected that the carbon naotube based device having improved performance than that of a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can be implemented in a smaller area than that required by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device. This means that, in the near future, carbon nanotube transistor-based semiconductor chips that can perform a variety of functions faster than conventional semiconductor chips composed of silicon-based transistors may be available. In addition, the mechanical flexibility and eco-friendly nature of the carbon nanotubes that make up the carbon nanotube transistors make it possible to implement circuits on various objects that have been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o existing semiconductor devices, it is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responding more actively to the era of IoT which must collect and process a wide range of information from various surrounding objects.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various possibilities of carbon nanotube transistor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s and current status of recently studied carbon nanotube-based transistors.

      • KCI등재

        층간삽입 반응을 이용한 그래핀/탄소나노튜브 동시 개별 분산 및 전도성 복합 필름으로의 응용

        김정모 ( Jungmo Kim ),김진 ( Jin Kim ),윤혜원 ( Hyewon Yoon ),박민수 ( Minsu Park ),( Travis Novak ),( Azam Ashraful ),이진호 ( Jinho Lee ),전석우 ( Seokwoo Jeon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6 Composites research Vol.29 No.3

        본 논문은 층간 삽입 반응을 이용하여 그래핀을 박리하는 동시에 탄소나노튜브를 개별 분산시키고 이를 복합 필름으로 제조한 결과를 보고한다. 일반적으로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흑연과 탄소나노튜브 번들로부터의 개별적 박리를 통해 제조될 수 있으나 장시간의 공정 시간을 요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과 탄소나노튜브의 동시 박리 및 분산을 위해 흑연 및 탄소나노튜브 번들 내로 포타슘 소듐 타르트레이트를 삽입했으며 XRD 분석을 통해 흑연 층간 거리 및 탄소나노노튜브 번들 내 거리의 증가를 확인했다. 제조된 층간삽입화합물로부터 박리된 그래핀 및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매우 낮은 산화도(< 8.3 at%)를 나타냈으며 제조된 물질을 여과 장치 및 스프레이 전사를 통해 복합 필름으로 제조한 결과 그래핀 및 탄소나노튜브의 단일 필름에 대비하여 복합 필름의 경우 전도성의 향상을 보였다. This paper reports a novel method for simultaneous exfoliation of graphene and dispersion of carbon nanotube by using intercalation method. In common, graphene flake and carbon nanotubes can be produced through individual exfoliation or debundling process, but the process require significant amount of time. Here, potassium sodium tartrate was thermally intercalated into graphite and carbon nanotube bundle for simultaneous exfoliation and dispersion of graphene and carbon nanotubes. We confirmed expansion of interlayer distance via XRD, and also found that oxidation level of the exfoliated materials were significantly low (below 8.3 at%). The produced materials are fabricated in to conductive composite film via vacuum filtration and spray deposition to show enhancement of conductive proper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