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평․수직연소 시험법에 의한 EPS 단열재의 연소성능 특성

        이호열(Ho-yeol Lee),강재식(Jae-Sik Kang),최현중(Hyun-Jung Choi) 대한설비공학회 2016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6

        Organic thermal insulation such as cellular polystyrene insulation is mainly used in buildings. Organic thermal insulation is a highly flammable petrochemical material. Because of such characteristics, organic thermal insulation caused fire accident for buildings. The inflammability of cellular polystyrene insulation specified by Korea standard KS M 3808:2011, "Cellular polystyrene(PS) insulation": combustion time ≤ 120 seconds, combustion length ≤ 60 ㎜ through Korea standard KS M ISO 9772:2013, "Cellular plastics - Determination of horizontal burning characteristics of small specimens subjected to a small flame". In this study, horizontal and vertical burning test (KS M ISO 9772 and UL 94 V, respectively) were analyzed about many cellular polystyrene insulations. As a results, horizontal burning test is very little differentiation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levels. However, vertical burning test is not like that. To better assess the level of the flame-retardant performance, the current standard needs to be improved.

      • KCI등재

        Study of morphology on the Oxidation and the Annealing of High Burn-hp UO2 Spent Fuel

        Dae Ho Kim,Jae Geun Bang,Yong Sik Yang,Keun Woo Song,Hyung Kwon Lee,Hyung Moon Kwon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5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3 No.4

        조사후 핵연료 가열(PIA장비)를 이용한 고연소도 UO2 사용후 핵연료의 산화 및 가열후 미세조직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울진 2호기에서 한국원자력연구소 조사후시험시설로 이송된 국산 경수로용 고연소도 사용후 핵연료는 봉평균 연소도가 57,000 MWd/tU-rod avg.이였다. 본 시험에 사용된 시편은 국부연소도 65,000 MWd/tU UO2 소결체의 고형체 200 mg을 사용하였다. 본 시편을 사용후 핵 연료 가열(PIA) 시험장비를 이용하여 핫셀 내에서 3시간의 산화시험과 연속적으로 까지 가열하였다. 결정립경계까지의 산화를 위하여 에서 헬륨 50 ml, 표준공기 100 ml를 흔합한 산화분위기로 3시간을 유지하였다. 핵분열기체 방출거동을 알기위해 시험 전과정중에 85Kr의 방출량을 베타 측정기와 감마 측정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 하였다. 가열시험이 종료된 후 전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시험결과 가열하는 동안 핵분열생성물은 UO2기지의 결정립경계와 표면으로 이동된 것을 관찰하였다. 이 시편은 환원과정을 통하여 재구조화 되었고, 정도의 결정립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The morphology of the high burnup spent fuel, which was oxidized and annealed in a PIA (Post Irradiation Annealing) apparatus, has been observed. The high burnup fuel irradiated in Ulchin Unit 2, average rod burnup 57,000 MWd/tU, was transported to the KAERI's PIEF. The test specimen was used with about 200 mg of the spent fuel fragment of the local burnup 65,000 MWd/tU. This specimen was annealed at for 4hrs after the oxidation for 3hrs to grain boundary using the PIA apparatus in a hot-cell. In order to oxidize the grain boundary, the oxidation temperature increased up to and held for 3hrs in the mixed gas (60 ml He and 100 ml STD-air) atmosphere. The amount of 85Kr during the whole test process was measured to know the fission gas release behavior using the online system of a beta counter and a gamma counter. The detailed micro-structure was observed by a SEM to confirm the change of the fuel morphology after this test. As the annealing temperature increased, the fission products were observed to move to the grain surface and grain boundary of the matrix. This specimen was re-structured through the reduction process, and the grain sizes were distributed from 5 to .

      • KCI등재

        인/실리콘 함유 난연성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및 물성

        김창헌,하도영,이영희,이동진,김한도 한국청정기술학회 2017 청정기술 Vol.25 No.4

        To obtain epoxy resin with permanently attached flame-retardant groups, phosphorus compound containing di-hydroxyl group [10-(2,5-dihydroxyphenyl)-9,10-dihydro-9-oxa-10-phospha phenanthrene-10-oxide, DOPO-HQ] and silicone compound containing di-hydroxyl group (polydimethylsiloxane, hydroxyl terminated, PDMS) were reacted with uncured epoxy prepolymer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 and then cured using 4,4-diaminodiphenylmethane (DDM) as a crosslinking agent. The properties of the resulting epoxy materials were characterized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mete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limiting oxygen index (LOI) test/vertical burning test (UL 94-V test), tensile properties test and impact tes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hosphorus/silicone compound contents on the thermal/mechanical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cy of cured epoxy resins containing phosphorus and silicone compounds. It was found that the thermal/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resins containing phosphorus and silicone compon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simple epoxy resin. The flame-retardancy (LOI: 29.9 ~ 31.8% and UL 94-V: V-0) of all samples containing phosphorus compound and phosphrous compound/silicone compound was found to be passed the flame-retardant requirements (LOI: > 30%, UL 94-V: V-0) of LOI and vertical burning tests. However, the flame 영구적 난연성기를 함유한 에폭시 수지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하이드록시를 함유한 인 화합물[10-(2,5-dihydroxyphenyl)- 9,10-dihydro-9-oxa-10-phospha phenanthrene-10-oxide, DOPO-HQ]과 디하이드록시를 함유한 실리콘 화합물(polydimethylsiloxane, hydroxyl terminated, PDMS)를 경화하지 않은 에폭시 프리폴리머(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와 반응시킨 다음, 경화제(4,4-diaminodiphenylmethane, DDM)를 사용하여 경화반응 시킨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폭시 수지의 각종 특성을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 시차주사열량기(DSC), 열중량 분석기(TGA), 한계산소지수(LOI)/수직 연소 시험(UL 94-V test), 인장 및 충격 시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용한 인 및 실리콘 화합물의 함량이 에폭시 경화물의 열적/ 기계적 성질 및 난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 및 실리콘 성분이 함유된 에폭시 수지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이 단순 에폭시 수지의 물성에 비교하여 크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인 및 실리콘을 함유한 모든 에폭시 수지는 29.9 ~ 31.8%의 LOI 및 V-0 수준의 UL 94-V로 난연성 기준(LOI: 30% 이상, UL 94-V: V-0)을 통과한 반면, 단순 에폭시 수지는 LOI: 21.4% 및 UL 94-V: no rating으로 난연성 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인/실리콘 함유 난연성 에폭시 수지의 제조 및 물성

        김창헌(Chang-Heon Kim),하도영(Do-Young Ha),이영희(Young Hee Lee),이동진(Dong-Jin Lee),김한도(Han-Do Kim) 한국청정기술학회 2017 청정기술 Vol.23 No.4

        영구적 난연성기를 함유한 에폭시 수지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하이드록시를 함유한 인 화합물[10-(2,5-dihydroxyphenyl)-9,10-dihydro-9-oxa-10-phospha phenanthrene-10-oxide, DOPO-HQ]과 디하이드록시를 함유한 실리콘 화합물(polydimethylsiloxane, hydroxyl terminated, PDMS)를 경화하지 않은 에폭시 프리폴리머(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와 반응시킨 다음, 경화제(4,4-diaminodiphenylmethane, DDM)를 사용하여 경화반응 시킨 에폭시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폭시 수지의 각종 특성을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 시차주사열량기(DSC), 열중량 분석기(TGA), 한계산소지수(LOI)/수직 연소 시험(UL94-V test), 인장 및 충격 시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용한 인 및 실리콘 화합물의 함량이 에폭시 경화물의 열적/기계적 성질 및 난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 및 실리콘 성분이 함유된 에폭시 수지의 열적 및 기계적 물성이 단순 에폭시 수지의 물성에 비교하여 크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인 및 실리콘을 함유한 모든 에폭시 수지는 29.9 ~ 31.8%의 LOI 및 V-0 수준의 UL 94-V로 난연성 기준(LOI: 30% 이상, UL 94-V: V-0)을 통과한 반면, 단순 에폭시 수지는 LOI: 21.4% 및 UL 94-V: no rating으로 난연성 기준에 크게 못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o obtain epoxy resin with permanently attached flame-retardant groups, phosphorus compound containing di-hydroxyl group [10-(2,5-dihydroxyphenyl)-9,10-dihydro-9-oxa-10-phospha phenanthrene-10-oxide, DOPO-HQ] and silicone compound containing di-hydroxyl group (polydimethylsiloxane, hydroxyl terminated, PDMS) were reacted with uncured epoxy prepolymer (diglycidyl ether of bisphenol A, DGEBA) and then cured using 4,4-diaminodiphenylmethane (DDM) as a crosslinking agent. The properties of the resulting epoxy materials were characterized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spectromete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limiting oxygen index (LOI) test/vertical burning test (UL 94-V test), tensile properties test and impact tes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phosphorus/silicone compound contents on the thermal/mechanical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cy of cured epoxy resins containing phosphorus and silicone compounds. It was found that the thermal/mechanical properties of epoxy resins containing phosphorus and silicone compon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simple epoxy resin. The flame-retardancy (LOI: 29.9 ~ 31.8% and UL 94-V: V-0) of all samples containing phosphorus compound and phosphrous compound/silicone compound was found to be passed the flame-retardant requirements (LOI: > 30%, UL 94-V: V-0) of LOI and vertical burning tests. However, the flame-retardancy (LOI: 21.4% and UL 94-V: no rating) of simple epoxy resin was found to be failed the flame-retardant requirements.

      • KCI등재
      • KCI등재

        마닐라 삼/비닐에스터 복합재료의 내화성 연구

        이동우 ( Dong Woo Lee ),박병진 ( Byung Jin Park ),송정일 ( Jung Il Song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7 Composites research Vol.30 No.1

        향상된 특성을 갖는 환경친화적인 복합재료의 개발은 고분자재료의 미래에 있어 필수적이며,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재생가능한 기지재 또는 보강재에 단지 몇 %의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쉽게 제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닐라삼 섬유를 보강재로, 비닐에스터를 기지재로 사용하였으며, VARTM 공정을 이용하여 복합재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마닐라삼 섬유의 알칼리표면처리를 수행하고, APP, HNT를 난연제를 첨가함으로써 기계적 물성과 난연 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표면처리가 천연섬유의 친수성을 감소시키고 소수성인 기지재와의 계면접착력을 향상시켰으며, 이는 개발된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 향상을 이끌었다. 유사하게, 복합재료의 난연성도 난연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Eco-convivial composites with improved properties are essential to present polymer scenario and can be made easily by replacing partially/completely renewable materials either matrix or reinforcement along with few % of additives. In these investigations, Abaca fabric have been used as reinforcement for manufacturing of Vinyl ester composites through VARTM technique and study the effect of alkali surface treatment of abaca fabric and flame retardant additives i.e., ammonium polyphosphate (APP) with halloysite nano-clay (HNT) on mechanical and flame retardant properties. The results concluded that, surface treatment deceased the hydrophilic nature of fabric and enhanced the interfacial bonding with hydrophobic matrix and eventually increased mechanical properties slightly of developed composites. Similarly, the flame retardancy of the composites improved significantly and increases the burning time by varying the wt% of filler concen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