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제주도 부속 섬 방언의 어휘 비교 연구 -우도,비양도,가파도를 대상으로-

        김순자 ( Soon Ja Kim ) 영주어문학회 2012 영주어문 Vol.23 No.-

        This research focuses on comparing and studying the vocabularies in three inhabited dependent islets of Jeju Island, U-do, Biyang-do and Gapa-do. One on one or one on two interviews with Informants over mid-seventies in these islets were conducted on 304 dialect vocabularies. Just 62 words (21.67%) are commonly used in those three islets and 131 words (including duplicate 135 words, 45.80%) are used in two islets. Different forms of 73 words (25.52% of all categories) are researched in each islet. 59 words (45.03%) in both Biyang and Gapa-do, 37 words (28.24%) in both Gapa and U-do, and 35 words (26.71%) in both U and Biyang-do are commonly used. The result that various forms of dialect vocabulary are found in these three islets has a connection with administrative districts of Goryeo Dynasty, Dongdohyeon and Seodohyeon. Common word forms in Biyang-do and Gapa-do, which used to be part of Seodohyeon, are more than those in U-do, which used to be part of Dongdohyeon, and Biyang-do, and U-do and Gapa-do. Each islet is located separately so language is divided into different forms. That is why 73 different words (25.52%) are used in these small islets. One of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se islets is unique linguistic forms and high frequency of ancient language. There used to be less interchange with the main island, Jeju, before transportation system is developed. Because of the unique culture, different word forms and conservatism of language is shown. Moreover, some of vocabulary found in the main Jeju island is not researched in these small islet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natural and life environment. It can explain that linguistic environment is affected by the ecologic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re are 13 words about plants out of 25 words which are not used anymore.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문화와 제주어 ; 제주도 도서지역어의 생태학적 연구 -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의 어촌생활어를 대상으로

        김순자 ( Soon Ja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이 논문은 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 등 제주도 안의 4개 도서를 3지점으로 나누어 어촌생활어를 생태학적으로 조사, 연구한 것이다. 조사된 어휘 가운데 바 다동물 관련 35개 어휘와 바다식물 관련 16개 어휘 등 51개 어휘를 포함하여 총 8개 분야 106개 어휘에 대하여, 생태 측정을 위한 설문지가 작성되었다. 설 문 조사는 30·40대, 50대, 70대 이상 등 3세대로 나눠 실시하였다. 30대와 40 대를 묶어서 조사한 것은 조사 지점이 도서지역이어서 30대 인구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70대 이상 응답자들은 51개의 해산물 관련 어휘 중 52.9%인 27 개 어휘에서 방언형을 100% 쓰고 있으나, 50대에선 29.4%인 15개 어휘, 30대 에선 11.7%인 6개 어휘만 방언형을 쓰고 있다. 생태 지수가 50% 이하인 어휘 는 70대 이상에서 13.7%인 7개 어휘이고, 50대에서는 5.9%인 3개 어휘, 30·40 대에서는 27.5%인 14개 어휘로 나타났다. ``이해하지 못하거나 모르겠다``는 응답을 보인 어휘는 70대에서 ``듬북`` 외 6개 어휘, 50대에선 ``보제기`` 외 9개 어휘로 나타났다. 30대에서는 ``모르거나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응답한 어휘가 72.5%인 37개나 되었다. 위의 결과를 보면, 세대가 낮을수록 ``모르겠다``는 응답자가 많아 생태 지수 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해당 지역의 30대·40대 인구 비율이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이들 세대가 어로 활동과 관련한 일을 하지 않는 것도 언어 사멸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다. 따라서 사멸되거나 사멸의 길을 걷는 어촌생활 어는 물론 환경 등의 변화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제주도방언의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Vocabularies about ocean creatures (ocean animals and ocean plants) in islets near Jeju Island are searched and systematized ecologically. 4 islets near Jeju Island, U-do, Biyang-do, Gapa-do and Mara-do,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Vocabularies about sea creatures are searched for this study. After that, 51 words are chosen including 35 words about ocean animals and 16 words about ocean plants. Then the survey form with 106 questions is made from the result. The survey for three age groups is conducted to check ecological index. The age groups are the thirties-forties, the fifties and over seventies. There are not so many people in their thirties in these islets so one groups have to be consisted of the thirties and forties. The result shows younger generation doesn`t understand dialect more and this means their ecological index is low. There are a few young people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and they usually don`t have fishery jobs so it quickens extinction of the language. That is why we need a methodical approach to extinct or endangered vocabularies about sea creatures and endangered Jeju dial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