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족부 X선 검사에서 주상골 관찰에 용이한 Tibia-Foot angle과 X-ray tube 각도에 대한 연구

        문주완(Joo Wan Moon),한재복(Jae Bok Han),최남길(Nam Gil Choi)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영상의학과에 내원한 족부환자를 대상으로 족부 X선 검사 시 주상골(navicular)의 관찰이 어려운 점을 바탕으로 환자의 position과 X선관 각도의 변화를 주어 어떠한 position과 X선관 각도에서 주상골의 관찰이 용이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상골 관찰을 위해 실험대상자의 position은 Foot AP, internal oblique, external Oblique position의 세 가지로 하였다. T-F angle(Tibia-Foot angle)은 90°와 135°로 정의하였고, X선관 각도는 0°, 5°, 10°, 15°, 20°, 25°로 정의하여 실험한 후 획득한 영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Foot AP position에서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3%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89점으로 골절의 판독 용이성이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30점으로 판독 용이성이 가장 높았다. Foot internal oblique position에서는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0°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4%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7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0°일 때 그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oot external oblique position에서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4%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8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15°일 때 그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7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X 선 족부검사에서 각 position에 해당하는 주상골 관찰에 용이한 T-F 각도와 X선관 각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상골 골절 판독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uitable angle of Tibia-foot and the X-ray tube for scaphoid in foot X-ray examination. A total of twenty patients(mean age 32.12±year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positions of Foot AP, internal and external oblique, tibia-foot angle was defined as 90° and 135°, and x-ray tube angle was defined as 0°, 5°, 10°, 15° and 20° respectively. The image quality was evaluated with blind test yielding scores ranging from 0 to 5 by the evaluation team consisted of 2 radiogical technologists, 2 radiologists, and 2 orthopedic surgeons. In case of Foot AP position,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cuneiform and navicular was 3% and the blind test result was 4.89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15° X-ray tube angle. When the tibia-foot angle is 135°, the degree of overlap was 5%, also the blind test result was 4.30 at 15°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and blind test result were 30% and 3.75 respectively at 0° X-ray tube angle. In case of internal oblique position,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0°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was 4% and the blind test result was 4.70. The 5% overlapping and highest score as 4.55 were obtained on tibia-foot angle of 135° and 0° X-ray tube angle. In case of external oblique position,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15°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was 4% and the blind test score was 4.85. The 5% overlapping and highest score as 4.75 were obtained on tibia-foot angle of 135° and 15° X-ray tube angle. In conclusion, we confirmed suitable angle of tibia-foot and X-ray tube for scaph46oid in foot X-ray examination in this study. These findings will be helpful for us to reading for navicular fracture.

      • DR wireless detector를 이용한 abdomen upright 검사 시 grid 사용에 따른 cut-off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최적의 X선 입사각도 고찰

        심현보(Hyeon-Bo SIM),정지상(Ji-Sang Jung):안치복(Chi-Bok Ahn),박순규(Sun-Kyu Park),임재식(Jae-Sik Lim)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7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7 No.1

        목 적:이동형 침대에서 abdomen upright 검사 시 obese patient 경우 DR wireless detector에 grid를 사용하여 검사를 진행한다. 이때 X선 입사각도와 detector의 기하학적 위치에 따라 cut-off 현상이 발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cut-off 현상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최적의 X선 입사각도의 범위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X선 발생장치와 DR wireless detector 에 parallel gird (ratio 10:1)를 사용한 후 복부팬텀을 이용하여 abdomen upright 검사를 재현 하였다. 관전압은 70 kVp, 관전류는 20 mAs, SID는 130 cm로 촬영 조건을 설정하고 detector는 length로 위치하였다. 실험1)튜브 각도 0˚기준으로 음극 방향으로 5˚증가하여 30˚까지 변화를 주었고 detector의 기하학적 변화는 팬텀의 횡단면에 90˚(수직)와 앞뒤로 ±10˚,±20˚ 기울어진 설정을 하였다. 실험2)튜브 각도 0˚기준으로 음극 방향으로 5˚증가하여 15˚까지 변화를 주었고 detector의 기하학적 변화는 팬텀의 관상면에 평행을 기준으로 옆으로 5˚, 10˚ 기울어진 설정을 하였다. detector의 기하학적 변화에 따라 튜브 각도를 각각 적용 시켰으며 획득된 영상은 방사선사 3명이 리커트척도를 이용한 육안적 평가와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한 동일한 관심영역의 신호 평균값 및 표준편차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값으로 대조도잡음비를 산출하여 영상을 비교하였고, 통계학적 검정은 Kruskal-wallis test 와 Mann-Whiteny와 대응표본 t검정으로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정량적인 평가는 실험1)의 대조도대 잡음비는 튜브 각도가 0˚/5˚/10˚/15˚/20˚/25˚/30˚일 때 평균 11.29/10.62/10.27/9.34/6.74/4.61/3.63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실험2)는 각각의 튜브 각도가 0˚/5˚/10˚/15˚일 때 평균 9.37/8.19/6.73/6.29 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실험1)에서 튜브 각도가 15˚에서 20˚ 사이에서 대조도대잡음비는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정성적인 평가 결과에서 실험1)은 응답자의 평균 점수와 Kruskal-wallis test 순위 검정 결과 튜브 각도가 15˚/20˚일 때 평균 4.5점/2.8점, 순위 67.9/37.2 이였고 실험2)에서는 튜브 각도가 5˚/10˚일때 평균 3.6점/1.8점 순위 23.8/12.9로 각각 감소폭이 가장 컸다. Mann-Whiteny를 통한 사후 검정 결과 실험1)의 튜브 각도 15˚/20˚와 실험2)의 튜브 각도가 5˚/10˚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 론:DR wireless detector에 gird(ratio 10:1)를 사용한 abdomen upright 검사에서 cut-off 현상은 튜브각도가 양극과 음극방향에서 15˚이상 주어지거나 detector가 피사체의 관상면에서 5˚이상 oblique하게 기울어진 경우 발생한다. 튜브각도는 수직입사에서 ±15˚이상 주지 않고 detector는 피사체의 관상면에 oblique하게 놓지 않는다면 cut-off 현상을 방지 할 수 있으므로 임상에서 환자 피폭과 영상의 질적인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Purpose:If the abdomen is upright in the mobile bed and the obese patient is in the DR wireless detector, the grid is used for the examination. In this case, the cut-off phenomenon may occur depending on the X-ray incident angle and the geometrical position of the detector, and the range of the optimum X-ray incident angle that can reduce the influence of the cut-off phenomenon is investigated. Materials and Methods:We used a parallel gird (ratio 10: 1) to the X - ray generator and the DR wireless detector and then reproduced the abdomen upright test using abdominal phantom. The tube voltage was 70kVp, the tube current was 20mAs, and the SID was 130cm. Experiment 1) The tube angle was increased by 5 ° in the direction of the cathode to 0 °, and it was changed to 30 °. The geometrical change of the detector was set 90 ° (vertical) to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phantom and inclined ± 10 ° and ± 20 ° back and forth . Experiment 2) The tube angle was increased by 5 ° in the direction of the cathode by 0 ° and changed to 15 °. The geometric change of the detector was set at 5 ° and 10 ° to the side of the phantom parallel to the coronal plane. Tube angles were applied to each detector according to the geometric change of the detector. The acquired images were measured by means of a visual evaluation using the Rickert scale of three radiologists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signals in the same area of interest using the Image J pr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eny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the contrast- to-noise ratio of Experiment 1) was 11.29 / 10.62 / 10.27 / 9.34 / 6.74 / 4.61 when the tube angle was 0˚ / 5˚ / 10˚ / 15˚ / 20˚ / 3.63, respectively (p 〈0.05). Experiment 2) showed an average 9.37 / 8.19 / 6.73 / 6.29 when the tube angle was 0˚ / 5˚ / 10˚ / 1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5). In Experiment 1), the contrast- to-noise ratio was the greatest at a tube angle between 15 ° and 20 °.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the respondents and the Kruskal-wallis test rank test were 4.5 points / 2.8 points and 67.9 / 37.2 points respectively when the tube angle was 15˚ / 20˚, and in the Experiment 2) The average decrease was 3.6 points / 1.8 points and 23.8 / 12.9 points respectively. After the posttest by Mann-Whiteny, the tube angle of 15˚ / 20˚ in Experiment 1) and the tube angle of 5˚ / 10˚ in Experiment 2)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5) Conclusion:In the abdomen upright test using gird (ratio 10: 1) on the DR wireless detector, the cutoff phenomenon was observed when the tube angle was more than 15 ° in the direction of the anode and cathode, or when the detector was obliquely inclined more than 5 ° in the coronal plane of the subject Occurs. If the tube angle is not more than ± 15 ° in vertical incidence and the detector is not obliquely placed on the coronal surface of the subject, it can prevent the cut-off phenomenon. Therefore, it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patient exposure and quality of the image

      • KCI등재

        의복제작을 위한 3차원 인체형상각도의 자동측정 연구

        김경선 ( Kim Kyoung Sun ),남윤자 ( Nam Yun Ja ),한현숙 ( Han Hyun Soo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3차원 인체 형상 데이터 분석 방법의 효율성 향상을 위해 3차원 인체 형상 각도를 자동 측정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의복제작을 목적으로 하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3차원 인체 형상 각도자동측정프로그램에 반영할 측정항목 22개를 도출하여 SNU Auto B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SNU Auto BAM 프로그램은 정의된 각도 항목이 자동 측정되어 데이터화 되며, 각도의 측정은 세 점에 의한 각도 측정, 두 점과 수평면에 대한 각도 측정, 또는 두 점과 수직면에 대한 각도의 측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측정 결과는 엑셀 파일로 내보내지도록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사이즈코리아 6차인체치수 조사사업(2010)의 20대, 30대, 40대, 50대 연령별 여성 3차원 표준형상을 연구 대상으로 측정을 실시하였다. SNU Auto BAM 프로그램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기존의 인체 형상 각도 측정 방법과 측정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기존의 각도측정방법 보다 높은 수준의 반복 정밀도와 시간적인 면에서의 효율성을 보였다. 또한 2차원 데이터를 시각적인 판단에 의해 분석하게 되는 기존 방식보다는 자동으로 각도를 획득하는 SNU Auto BAM 프로그램이 측정의 정확도면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SNU Auto BAM은 전통적인 방식으로는 접근이 불가능 했던 수평면에 투영된 인체형상에 대한 각도 항목을 획득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며, 사진측정을 통한 인체 각도 측정의 오차와 왜곡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니라 3차원 형상 데이터를 이용해서 수작업으로 각도를 측정하는 과정에 효율성과 정확성을 부여하고 측정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며, 손쉬운 반복 측정을 통해 재현성을 확보함으로써 3차원 인체형상 데이터를 보다 쉽게 가공하여 추후 의복제작을 위한 체형 파악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program that automatically measures the 3D human body shape angl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3D human body shape data analysis methods. By considering advanced research for creating clothes, 22 measurement items reflected for the 3D human body shape angle automatic measuring programs were deduced to develop the SNU Auto BAM program . The SNU Auto BAM program automatically measures and databases the defined angle items; the measurement of angles takes place by angle measurement using three points, that on two points and a horizontal plane, and that on two points and the angle of vertical plane. A program was configured to export the measurement results to an excel file. 3D female standard shapes of 20s, 30s, 40s, and 50s of the 6th size Korea human body shape project (2010) were set as the research subjec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conventional human body shape angle measuring method for evaluating the usability of the SNU Auto BAM program, higher efficiency was shown in the repetitive precision and time aspects. In addition, the SNU Auto BAM program, which automatically obtains angles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at analyzes 2D data with visual judgment, was evaluated to have outstanding accuracy of measurement. The SNU Auto BAM has an advantage that it gains angle items on human shapes that reflect horizontal planes; this was impossible with traditional methods and can solve human body angle measurement error and distortion through photo measurement. Moreover, efficiency and accuracy are added to the process of measuring angles by using 3D shape data with manual operation to increase reliability and reproducibility; this is secured through easy repeated measurement for easy 3D human body shape data manufacturing, in which it is expected to be diversely used to investigate body shapes to create clothes.

      • HIP TRANS LATERAL검사시 Femur neck의 적정한 입사각도와 검사방법의 표준화를 통한 재현성있는 영상 구현에 대한 연구

        조성배(Sung-Bae Cho),황병준(Byung-Jun Hwang),박대영(Dae-Young Park),한동균(Dong-Kyoon Han),윤명성(Myung-Sung Yoon),윤종두(Jong-Doo Yoon),김승혁(Seung-Hyuk Kim)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8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8 No.1

        목 적:각 병원 및 검사실간의 HIP TRANS LATERAL 검사가 상이하여, 성별, 연령에 따른 적정한 X-ray 입사각도를 조사하고, 모든 검사자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검사방법을 표준화하여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진단적 가치가 높은 영상을 만들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2016년 6월 1일부터 12월 31일 까지 7개월 동안 서울 “S” 병원을 내원한 환자 중 수술적 치료를 받지 않으며 변형이 없는 HIP 전후(AP) 검사를 시행한 20대 이상 환자 300명(남성 153명, 여성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법은 300명의 HIP 전후 검사한 영상을 임상경력 5년 이상의 방사선사가 대퇴경 간각을 측정하여 평균각도를 확인하고, 성별, 연령별 유의성을 통계 분석하였다, 대퇴경간각 52°를 유지하고 있는 CT DATA를 이용하여 3D Printer로 Human phantom(HIP)을 제작하였다. 이 제작한 Phantom으로 x-ray 입사각도를 32°, 42°, 52°, 62°, 72°까지 10° 간격으로 변화를 주어 대퇴경부의 면적을 정성적, 정량적 영상평가를 하였다. 검사방법 표준화에서 Tube column과 cassette holder는 각도표시로 하고 다리는 고정용구를 사용하였다. 결 과:성별에 따른 대퇴경간각은 남성이 여성보다 평균 0.7° 높게 나왔으며, 남,녀 평균값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연령대에 따른 대퇴경간각은 모든 연령대에서 평균값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영상평가는 제일 크게 측정된 대퇴경부의 면적은 1794.7mm2 였으며 Cassette holder:52°, X-ray 입사각도:52°일 때였다. 제일 적게 측정된 면적은 698.1 mm로 Cassette holder:32°, X-ray 입사각도:32°일 때였다. 검사자의 오차를 줄이기 위한 검사방법의 표준화는 tube column과 cassette holder에 52°를 표시하고 다리를 15°안쪽으로 돌릴 수 있도록 고정용구를 사용하였다. 결 론: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Femur neck에 대하여 X-ray 입사각도 52°도를 적용하고, 표준화된 검사방법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재현성 있는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Because examination methods are not standardized to HIP TRANS LATERAL among examiners, the images of the Femur Neck are distorted and appear different. Therefore, the proper X-ray incident angle is suggested and the examination methods are standardized. Materials and Methods:From June 1 to December 31 in 2016, among visitors at the “S” general hospital in Seoul having HIP undergone not surgical treatment and unmodified, 300 patients were subjected. 4 radiological technicians who have over 5 years clinical experience measured neck-shaft angle and area by using GE PACS WORKSTATION 4.0, then for standardization, the angle was displayed on the cassette holder, the 15° fixture was used on the leg, and the angle was displayed on the tube column by dividing the right and left sides, human phantom was manufactured using the 3D printer, and then to target this phantom, image evaluation was done with changing x-ray incident angle. To assess significanc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Result:The mean femoral neck-shaft angle of the male was 52.6°±47 and the female was 51.9°±4.1. The average height of the male was 0.7°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p>0.05) is 52.3°±4.4. The distribution of neck shaft angle were 41°~45° showed 14 persons (4.7%), 46°~50° showed 61 persons (20.3%), 51°~55° showed 144 persons (48%), 56°~60° showed 75 persons (25%), 61°~65° showed 5 persons (1.7%),and 66°~70° showed 1 persons (0.3%). The agespecific angle of the femur neck was 51.8° in the 20s, 52.8° in the 30s, 52.7° in the 40s, 52.1° in the 50s, 52.5° in the 60s, 51.6° in the 70s, 52.4° in the 80s, and 52.6° in the 90s, respectively. The difference in angular mean values of femur neck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male, female, and all ages (P>0.05). The image evaluation was carried out with an area of 1794.7 mm2 when the line-of-sight of the x-ray was 52° and the detector angle was 52°, which was wider than the angle of the other incident lines. A standardized image was obtained using an angle of 52 ° to the cassette holder and the tube column, a fixed angle of 15° to the leg, and a 52° angle of the incident X-ray beam and an angle of 52° of the detector. Conclusion:HIP TRANS LATERAL image quality degradation is mainly caused by incorrect angle of incidence of X-ray and angle of detector. In this study, we could obtain accurate and reproducible images by using standardized exam method using angle of 52° of X-ray incident angle and this will be helpful for the diagnosis.

      • KCI등재

        Study of Suitable Angle of Tibia-Foot and X-ray Tube for Navicular in Foot X-ray Examination

        Joo-Wan Moon,Jae-Bok Han,Nam-Gil Choi 한국방사선학회 2018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2 No.1

        본 연구는 영상의학과에 내원한 족부환자를 대상으로 족부 X선 검사 시 주상골(navicular)의 관찰이 어려운 점을 바탕으로 환자의 position과 X선관 각도의 변화를 주어 어떠한 position과 X선관 각도에서 주상골의 관찰이 용이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상골 관찰을 위해 실험대상자의 position은 Foot AP, internal oblique, external Oblique position의 세 가지로 하였다. T-F angle(Tibia-Foot angle)은 90°와 135°로 정의하였고, X선관 각도는 0°, 5°, 10°, 15°, 20°, 25°로 정의하여 실험한 후 획득한 영상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Foot AP position에서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3%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89점으로 골절의 판독 용이성이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30점으로 판독 용이성이 가장 높았다. Foot internal oblique position에서는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0°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4%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70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0°일 때 그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5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oot external oblique position에서 T-F angle이 90°인 경우 X선관 각도가 15°일 때 설상골과 주상골의 겹침 정도는 4%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8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T-F angle이 135°경우에는 X선관 각도가 15°일 때 그 겹침 정도는 5%이었고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는 4.7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X 선 족부검사에서 각 position에 해당하는 주상골 관찰에 용이한 T-F 각도와 X선관 각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상골 골절 판독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suitable angle of Tibia-foot and the X-ray tube for scaphoid in foot X-ray examination. A total of twenty patients(mean age 32.12±years)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he positions of Foot AP, internal and external oblique, tibia-foot angle was defined as 90° and 135°, and x-ray tube angle was defined as 0°, 5°, 10°, 15° and 20° respectively. The image quality was evaluated with blind test yielding scores ranging from 0 to 5 by the evaluation team consisted of 2 radiogical technologists, 2 radiologists, and 2 orthopedic surgeons. In case of Foot AP position, the degree of overlap between cuneiform and navicular was 3% and the blind test result was 4.89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15° X-ray tube angle. When the tibia-foot angle is 135°, the degree of overlap was 5%, also the blind test result was 4.30 at 15°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and blind test result were 30% and 3.75 respectively at 0° X-ray tube angle. In case of internal oblique position,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0°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was 4% and the blind test result was 4.70. The 5% overlapping and highest score as 4.55 were obtained on tibia-foot angle of 135° and 0° X-ray tube angle. In case of external oblique position, at tibia-foot angle of 90° and 15° X-ray tube angle, the degree of overlap was 4% and the blind test score was 4.85. The 5% overlapping and highest score as 4.75 were obtained on tibia-foot angle of 135° and 15° X-ray tube angle. In conclusion, we confirmed suitable angle of tibia-foot and X-ray tube for scaphoid in foot X-ray examination in this study. These findings will be helpful for us to reading for navicular fracture.

      • 디지털 무선 검출기를 이용한 이동형 방사선 검사에서 튜브 각도 변화에 따른 노출지수 평가

        김병걸(Byeong-Gull Kim),강성일(Sung-Il Kang),박성모(Sung-Mo Park),이민우(Min-Woo Lee),김순배(Soon-Bae Kim)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6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6 No.1

        목 적 : 디지털 무선 검출기를 이용한 이동형 방사선 검사에서 튜브 각도 변화에 따른 노출지수를 평가하고, 환자의 방사선 피폭 선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이동형 방사선 발생장치와 디지털 무선 검출기(14″×17″)를 이용하였고, 흉부 팬텀을 사용하였다. 검사는 튜브 각도 0。기준으로 양극과 음극 방향으로 각각 30。까지 5±。증가시켜 변화를 주었고, 관전압과 관전류는 60kVp/ 2mAs, 60kVp/4mAs, 85kVp/4mAs, 85kVp/8mAs로 네가지 촬영조건을 선택하였다. 튜브 각도에 따라 각각의 촬영조건을 적용시켜 각 조건마다 10회씩 검사를 시행하여 노출지수 값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획득된 자료는 튜브 각도 0。기준으로 하여 동일 촬영조건에서 각도 변화에 따른 노출지수 값을 비교 분석하였고, 통계 프로그램(SPSS)을 이용하여 튜브 각도와 노출지수 값과의 상관관계 분석과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 튜브 각도 0。기준으로 각도 변화에 따른 노출지수 값의 비교 분석 결과, 85kVp조건에서는 양극과 음극 방향 모두에서 튜브 각도가 20。이상일 때 증감률이 ±5% 범위를 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60kVp에서는 양극 방향에서 20。이상일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음극 방향에서는 4mAs일 때 25。이상에서 노출지수 값의 증감률이 ±5% 범위를 넘었다 (p<0.05). 결 론 : 디지털 무선 검출기를 이용한 이동형 방사선 검사에서, 노출지수는 튜브 각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정 각도까지는 노출지수의 적정범위 내에서 감소하기 때문에 영상 화질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튜브 각도가 증가하는 축 방향 검사 등을 시행할 경우, 허용 가능한 노출지수 범위 안에서는 촬영조건을 높이지 않더라도 우수한 의료영상을 획득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이는 데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assess exposure index based on changes of tube angle in portable X-ray examination using digital wireless detector and suggest methods to reduce patients radiation exposure.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used portable radiation generator and digital wireless detector (14” ×17”) for torso phantom. Tests were conducted by increasing tube angle by 5 degrees each time from 0。 up to 30。to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les and by selecting the 4 exposure conditions of 60kVp/2mAs, 60kVp/4mAs, 85kVp/4mAs, 85kVp/8mAs for tube voltage and tube current. Applying each exposure condition to tube angles, the study measured exposure index values by performing 10 tests for each condition and calculated mean values. With acquired data, exposure index valu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nge of angles in the same shooting condition with tube angle 0。as its standard and, by using statistical program (SPSS), correlation between tube angles and exposure index values was analyzed and their significance was assessed. Result : As the result of comparison analysis of exposure index values based on the change of angles with tube angle of 0。as standard, in the condition of 85kVp, the rate of change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les exceeded ±5% when the tube angle was over 20。, which demonstrat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On the other hand, in 60kVp, the rate of change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 tube was over 20。in positive pole only and in the negative pole, rate of change in exposure index in 4mAs was over ±5% (p<0.05). Conclusion : It turned out that the bigger the tube angle, the smaller the exposure index in the portable radiation test using digital wireless detector. However, since the exposure index decreases in a proper range to a certain angle, there is no great difference in the image quality. Thus, excellent medical images can be acquired without having to increase shooting condition if the test is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with increasing tube angle, which is deemed to contribute to reducing patients radiation exposure.

      • KCI등재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을 이용한 누운자세의 Q-angle 측정의 양호도 평가

        신창호(Chang Ho Shin),안의수(Eue Soo Ann),김종규(Jongkyu Kim),이남주(Namju Lee)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6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법(DEXA)으로 촬영한 X-선 이미지를 이용한 Q-angle측정법에 대한 신뢰성을 평가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남여 대학생 21명(나이:18.95±0.20, 신장:170.39±2.05, 체중:67.10±3.41, BMI: 22.94±0.88)으로 하였다. 각도기(goniometer)와 DEXA를 이용한 Q-angle 값의 신뢰성을 평가 하기위해 반복측정을 하였으며, X-선 촬영기법을 사용하는 DEXA의 Q-angle 값을 기준으로 각도기를 활용한 측정방법에 대한 오차발생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시행한 결과 각도기의 경우 왼쪽과 오른쪽 Q-angle 측정값 모두 신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왼쪽: t=-2.80,p=0.011, r=0.37, LOA, -4.93~9.41/오른쪽: t=-3.77,p=0.001, r=0.23, LOA, -5.64~13.83). 반면에 DEXA를 사용하여 Q-angle 측정한 경우 왼쪽과 오른쪽 모두 반복측정에 대한 신뢰성이 goniometer로 측정하였을 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왼쪽: t=0.47, p=0.643, r=0.45, LOA, -4.79~4.31/오른쪽: t=1.09,p=0.286, r=0.54, LOA, -4.38~3.42). 또한 각도기와 DEXA로 측정한 Q-angle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왼쪽과 오른쪽 Q-angle 모두 재검사에서 과대추정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왼쪽: t=2.33,p=0.03, r=-0.24, LOA, -5.30~9.01/오른쪽: t=3.55,p=0.002, r=-0.46, LOA, -9.79~8.35).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각도기를 사용한 측정값은 편향(bias)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재현성면에서 DEXA의 신뢰성이 높은 결론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누워있는 자세에서 Q-angle 측정 시 DEXA를 이용한 측정법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Q-angle by using a goniometer and DEXA. Participants in this study was 21 athletes (age: 18.95±0.20, height: 170.39±2.05, weight: 67.10±3.41, BMI: 22.94±0.88) from Yongin university. All data was analyzed by Bland & Altman (LOA), paired t-tests (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repeated Q angle was higher in DEXA (left: t=0.47, p=0.643, r=0.45, LOA=-4.79~4.31 / right: t=1.09, p=0.286, r=0.54, LOA, -4.38~3.42) when compared to a goniometer (left: t=-2.80, p=0.011, r=0.37, LOA,-4.93~9.41 / right: t=-3.77, p=0.001, r=0.23, LOA=-5.64~13.83). The reliability of measured Q-angle in the supine position using a goniometer and DEXA showed that there was an overestimation when DEXA values were set at the standard of conformity (left: t=2.33,p=0.03, r=-0.24, LOA=-5.30~9.01 / right: t=3.55,p=0.002, r=-0.46, LOA=-9.79~8.35). In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DEXA would be more efficient and exact measurement method for measuring Q-angle in the supine position.

      • KCI등재

        모니터 각도가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민동원(Min, Dongwon) 한국상품학회 2013 商品學硏究 Vol.31 No.5

        연구목적: 최근에는 다양한 크기나 멀티터치 등의 요인 뿐 아니라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지가 모니터 선택에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런데 모니터 각도와 같이 소비자가 컴퓨터 사용에 있어 쉽게 그 변화를 지각할 수 있는 요인은 기술의 변화로 인한 편인의 지각이 용이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제품 가치평가에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니터의 각도에 따라 모니터의 화면 속 내용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처리가 달라지는 지를 검증함으로써 과연 모니터 각도가 소비자의 지각적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체화된 인지'와 '심리적 파워'의 개념을 도입해 모니터 각도 조절에 따른 심리적 파워가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실험은 3(모니터 각도: 50o vs. 70o vs .90o)의 피험자 간 설계(between-subjects design)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로서 정보처리 성과는 주의와 기억으로서 측정되었다. 각 조건 간 주의와 기억에 차이가 있는지 보기 위해 ANOVA와 계획된 대조가 진행되었다. 분석 및 연구 결과: 실험 결과 모니터 각도가 작아질수록 화면을 내려다보게 되고 이로 인해 높아진 심리적 파워감이 후속 정보 처리를 방해함이 밝혀졌다. 화면 속 광고를 쳐다본 시간으로 주의를 측정한 결과, 5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는 7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 보다 짧게 광고를 쳐다보았으며, 9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는 7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보다 오랫동안 광고를 쳐다본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 각도에 따라 피험자가 화면 속 광고 정보를 기억한 정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7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보다 5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가 광고 속 정보를 덜 기억하였으며, 9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가 7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보다 광고 속 정보를 더 잘 기억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컴퓨터의 성능과 사양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모니터의 변화만으로 정보처리 능력이 달라짐을 보임으로써 컴퓨터의 활용에 있어 얼마나 사용자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다른 기기의 사용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지각적 반응이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모니터 각도에 따라 심리적 파워가 달라져 정보처리가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으나 실제 심리적 파워감을 측정하지 않았다는 점이 한계로 남는다. 향후 연구방향: 사용자의 체화된 인지가사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인 만큼 사용자 반응을 작업 능력이 아닌 신체 생리적 지수로 측정하게 된다면 체화된 인지의 핵심인 '두뇌-마음-신체'간 강력한 연결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일 수 있을 것이다. 공헌점: 향후 기술 발전에 따라 기술이 결국 사용자의 사용상황에 따라 작업능력이 달라질 수 있고, 이는 선호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공학 분야에서도 소비자 심리와 접목하는 융합연구가 필요한데 이에 좋은 연구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Recently, the adjustment of the monitor angle to fit with computer users' characteristics i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the choice of monitors. Factors, such as adjustment of monitor angle which users readily perceive the technical improvement, can significantly affect users' evaluation of the product because the benefit judgment is relatively easy.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monitor angle information processing(e.g., attention, recall) based on embodied cognition and psychological power perspective. Design/methodology/approach: An experiment used 3(Monitor angle: 50o vs. 70o vs .90o) between-subjects design with attention and recall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OVA(Analysis of Variance)and planned contras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nitor angle on information processing. Results/finding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using a fictitious advertisement showed that participants attention and recall performance worsened as the monitor angel was decreased(i.e., 90o→70o→50o).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Current research found that the powerful feeling powerful generated by the adjustment of the monitor angle affected further information processing, even though computer specification and target advertisement were the same. This implies how it is important that technology considers users' psychological states and usage circumstance. This work has a limitation on the mediating analysis, that the results did not show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power. Future work/research: Future work awaits for variou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itor angle and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the results, current research hopes that further studies investigate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consumer psychology in order to enhance users' satisfaction by consideration of users' characteristics and usage environment. Originality/value: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research regarding the convergence of engineering and consumer psychology.

      • KCI등재

        두상영역분할, 각도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 형태선 변화에 관한 연구

        국혜란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4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2 No.1

        목적: 본 연구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영역분할, 각도 그리고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선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커트 디자인의 변화를 실증하여 헤어커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포인트 기점을 탑 포인트, 탑 골든 백 포인트, 백 포인트를 기점으로 두상을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하였다. 두상 상단은 두상시술각도 45°, 두상 하단은 두상시술각도 75°를 사용하였다. 모발 길이는 네이프 포인트에서 5 cm를 기준으로 하였다. 슬라이스 라인은 두상 상단만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을 적용하였다. 결과: 두상분할 시 분할 지점을 위에 두면 볼륨감과 생동감이 증가하였다. 반면 분할 지점을 아래에 두면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이 증가하였다. A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이 길어져 차분함, 가름함, 샤프함이 발생한다. 평행라인은 평범함, 단정함, 반듯함 형태를 의미한다. V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이 짧아져 귀여움, 볼륨감, 생동감이 발생한다. 그래쥬에이션 커트 두상시술각도 45°와 두상시술각도 75°의 공통점은 무게 선이 있었다. 높은 각도일수록 매끄러운 질감은 줄고 층이 많아지면서 거친 질감이 늘어났다. 결론: 커트 시 모근에서부터 빗질, 몸 위치가 정확해야 커트 선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각도 선정 시 튀어나온 곳은 높은 각도, 들어간 곳은 낮은 각도를 권장한다. 탑 포인트, 골든 포인트 시술 시 세밀하고 디테일하게 섹션을 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코너 포인트처럼 평평한 곳은 무게선이 겹쳐짐으로 질감 처리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커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hange in the shape line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the head area, angle, and slice line by the gradation cut.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haircuts by demonstrating changes in the cut design. Methods: The head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based on the top point, top golden back point, and back point. The top and bottom of the head were 45° and 75°, respectively. The hair length was based on 5 cm at the nape point. In the slice line, only the top of the head was applied with A, parallel, and V lines. Results: When dividing the head, the volume and vitality increased when the division point was placed on the top. Conversely, when the division point was placed at the bottom, the weight, volume, and sense of expansion increased. Line A had longer hair as it went to the face line, resulting in calmness, thinness, and sharpness. Parallel lines indicated plainness, neatness, and straightness. The V line had shorter hair as it went to the face line, resulting in cuteness, volume, and liveliness. A weight line in common was observed between the gradation cut head angle of 45° and head angle of 75°. The higher the angle, the less smooth the texture was; the more layers, the coarser the texture was. Conclusion: At the time of cutting, combing from the hair root and body position must be accurate to subsequently make the cut line accurate. When selecting an angle, it is recommended to have a high angle where it protrudes and a low angle where it enters. Creating detailed sections during top point and golden point procedures is recommended. Moreover, flat areas including side corner point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natural cuts by textured by overlapping weight lines.

      • 사이클링 시 페달각도와 족관절 각도의 관계에 대한 시뮬레이션 연구

        형준호,김사엽,정경렬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4

        사이클링 시 족관절각도의 운동학적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사이클링시 족관절각도 변화는 정량적으로 통제하기가 어려워 실험적인 연구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모델을 이용하여 페달이 일회전하는 동안 페달각도의 변화폭이 족관절각도 변화폭과 경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 보았다. 페달각도 변화폭을 20°부터 60°까지 5단계로 설정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족관절각도의 변화폭을 측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페달각도 변화폭이 작아질수록 족관절각도 변화폭은 커지고 동시에 발목신전근인 가자미근에 작용하는 텐션은 작아져 효과적인 근육 동원이 이루어졌다. 이 같은 결과는 성적이 우수한 선수일수록 사이클링 시 족관절각도 변화폭이 크게 나타난다는 기존연구와 일치하여 인체모델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연구의 유용성을 보여주었다.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on cycling postures particularly concerning with the variation of ankle angle.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nkle joint of cyclist so the experimental study has its limitation. In this study mathematical human model was used to sim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tion of pedal angle and the variation of ankle angle during cycling. Five steps of variation of pedal angle were set up from 20 to 60 degree and the variation of ankle angle was calculated during cycling simulation. The results say that the smaller variation of pedal angle is, the greater variation of ankle angle was shown. And also the tension of soleus muscle which is ankle extensor was small. This result was corresponding to the existing study and this means human model was effective in cycling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