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희(椿姬)』의 번역 계보와 문학사적 의의

        김영애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9 한국어문교육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nd reveal the genealogy of the translated novel, Chunhee. Chunhee is a translated work of La Dame aux Camélias by Alexandre Dumas Fils, a French novelist (1848). During the Korean colonial period, Jin Hakmun, Na Dohyang, Shimhyangsanin, Kim Jahye, and Park Luweol translated some works of Dumas Fils. Especially, Park Luweol's work is a film novel. Not much has been known about this work until recently. This paper deals with the translation genealogy and literary historical meaning of Chunhee. Except for The Hongru by Jin Hakmun,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on other works.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study of the translation genealogy of Chunhee. Thus, this paper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orks, an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literary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genealogy. When translating Japanese works, Jin Hakmun and Na Dohyang modified titles or names, making them Korean ones, and translated the whole original works. Shimhyangsanin, Kim Jahye, Park Luweol, on the other hand, accepted the title of Japanese version, ‘Chunhee’, and made a condensed transl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식민지시기 번역소설 『춘희(椿姬)』의 계보를 밝히고 그 문학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있다. 소설 『춘희』는 프랑스 소설가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Fils)의 『La Dame aux Camélias』(1848)를 번역 번안한 작품이다. 뒤마의 원작을 번역 번안한 작품으로 진학문의 『홍루』(1917), 나빈의 『동백꽃』(1927), 심향산인의 『춘희』(1929), 김자혜의 『춘희』(1933) 등이 소개된 바 있다. 본고는 여기에 박루월의 『춘희』(1930)를 추가하여 『춘희』의 번역 번안 계보와 그 문학사적 의미를 다루었다. 특히 박루월의 『춘희』는 지금까지 번역소설이나 영화소설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분석된 적이 거의 없고, 진학문의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번역소설에 관한 개별적인 연구 또한 찾아보기 어렵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고는 『춘희』가 우리 문단에 번역 소개되어 온 역사적 정황을 작품별로 제시하고, 그 계보의 문학사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식민지시기 『춘희』의 번역사를 조망하고자 했다. 진학문, 나도향은 일본소설을 대본으로 번역 번안했으나 제목이나 인명 등을 조선적인 표현으로 바꾸었고 축역이나 경개역이 아닌 완역에 해당하는 작품을 선보였다. 반면 심향산인, 김자혜, 박루월은 공통적으로 일본소설 제목 ‘춘희’를 그대로 수용하고 줄거리 중심의 축역, 경개역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고쳤다는 점에서 앞선 작가들과 변별된다.

      • KCI등재

        ≪춘희≫의 번역과 식민지 조선의 ‘연애’ - 진학문의 ≪홍루≫를 중심으로

        전은경 한국언어문화학회 2009 한국언어문화 Vol.0 No.39

        A term ‘love’ was a concept that Empire Japan had transmitted western term ‘love’ to colonized Chosun. The word ‘love’ symbolizes modernity in western. Chunhee(La Dame aux camelias, 1848, by Alexandre Dumas Fils) is a issuing novel. The work, Chunhee is a story not dealing with normal men and women, but prostitutes. Chunhee had carried in the newspaper, ≪Maeil-sinbo≫ from September 21, 1917. to January 16, 1918. This novel had already flow into Japan and China. It had influenced them the sensation of ‘Modern Love’. However since the space was different, it was different to be influenced. The term ‘love’ had translated as ‘to love’ in colonized Chosun in 1910's. It means not as a noun, but as a verb. Therefore ‘to love’ is totally different from an concept ‘love’ in the past. It was included all of behaviors that loved and acted between men and women. The term, ‘love’ was changing owing to the term of modern love, ‘to love’. In the first place, ‘love’ was just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emotions. As time goes by, It had been turned into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love behaviors. After all, this term had begun to include the eruption of desires in colonized female readers. ‘To love’ that mixed with behaviors and desires in 1910's had prepared 1920's, as a era of ‘to love’. A term ‘love’ was a concept that Empire Japan had transmitted western term ‘love’ to colonized Chosun. The word ‘love’ symbolizes modernity in western. Chunhee(La Dame aux camelias, 1848, by Alexandre Dumas Fils) is a issuing novel. The work, Chunhee is a story not dealing with normal men and women, but prostitutes. Chunhee had carried in the newspaper, ≪Maeil-sinbo≫ from September 21, 1917. to January 16, 1918. This novel had already flow into Japan and China. It had influenced them the sensation of ‘Modern Love’. However since the space was different, it was different to be influenced. The term ‘love’ had translated as ‘to love’ in colonized Chosun in 1910's. It means not as a noun, but as a verb. Therefore ‘to love’ is totally different from an concept ‘love’ in the past. It was included all of behaviors that loved and acted between men and women. The term, ‘love’ was changing owing to the term of modern love, ‘to love’. In the first place, ‘love’ was just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emotions. As time goes by, It had been turned into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love behaviors. After all, this term had begun to include the eruption of desires in colonized female readers. ‘To love’ that mixed with behaviors and desires in 1910's had prepared 1920's, as a era of ‘to love’.

      • KCI등재

        근대 계몽기 번역문학과 독자층 연구

        전은경(Jun, Eun-kyung) 우리말글학회 2012 우리말 글 Vol.56 No.-

        본 논문은 근대 계몽기의 번역 문학을 살펴보면서 독자층의 형성에 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 문학의 태동과 근대 독자의 출발 및 성장을 보기 위한 서설이 되는 작업이다. 같은 서양의 문학을 가지고 오고 있지만, 한, 중, 일은 그 각자의 내적 토대와 상황에 따라서 다른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 즉 그 당시 유행했던 작품도 다르고, 번역된 작품도 다르며, 독자들의 반응 역시 달랐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정은 주어진 텍스트가 동아시아 각 나라의 내적 토대를 만나면서 각장의 방식대로 변환되어 독특한 특징을 양산해내고 있다. 또한 이러한 근대 문학의 토양을 만들어내는 것은 텍스트에 반응하며, 텍스트를 해석하고 즐기고, 또 그 가운데 배움을 이어가고 있는 독자들에 의해서 가능한 것이다. 결국 이러한 면에서『춘희』를 번역한 동아시아 삼국의 환경과 독자들의 성향은 비슷하면서도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파리차화녀유사』가 『홍루몽』의 계보를 이으면서 가장 폭발적인 인기를 누렸다. 그리고 번역어 자체도 한국이나 일본에 비해서 좀 더 함축적이고 생략이 된 것이 많았다. 그러나 그 속에서 독자들은 서양의 연애를 문명으로 받아들여 배우고자 하는 의식은 은연중에 가지고 있었다. 이와는 반대로 일본은 신문매체가 급격하게 발달하여, 대신문과 소신문으로 명확하게 구분되었다. 그 가운데 소설독자 역시 양분되었다. 즉 남성적인 소설 경향과 여성적인 소설 경향으로 나뉘어 남성 독자와 여성 독자들이 구분된 채로 자신들의 욕구를 정반대로 드러내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춘희』는 『만조보』가 지식인 독자층을 확보하려던 상황과 맞물리면서 동아시아 삼국 가운데 독자들의 호응이 가장 적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여성 독자들은 가정 소설에, 남성 독자들은 복수 스릴러물들에 흥미를 느끼고 있는 상황에서 ?춘희?가 큰 관심을 끌기에는 부족했던 것이다. 근대계몽기 조선에서는『홍루』가 일본의『춘희』처럼 연재 중단이 될 정도로 흥미를 못 끌지 않을까 지레 짐작하고 있었다. 그래서 소설 예고를 해서 전체 내용 줄거리를 미리 안내했다. 또한 작가 스스로도 큰 인기를 끌지 못할 것이라 확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지식인 독자들은 이『홍루』 ?의 연애의 세계를 중국처럼 일종의 서양 문명을 배우는 하나의 장치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기에 더 나아가 중국의 감각적인 영역, 통속적인 영역과는 달리, ‘愛’의 과정을 행동의 영역에서 ‘지적 영역’으로 상승시켜 개념을 좀 더 지적인 영역으로 옮겨 놓았다. 결국 동아시아 삼국의 내적 토대와 독자들의 경향, 매체의 변화 과정속에서 『춘희』라는 텍스트와 그 텍스트의 영향력은 각 나라별로 미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그 속에서 결국 식민지 조선의 경우, 이러한 영향 속에서 근대문학이 성립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근대를 맞닥뜨린 한, 중, 일 각각의 차이를 바라보는 것은 한국의 근대문학을, 또 근대독자를 객관적으로 분석해 낼 수 있도록 하는 큰 틀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ompare readers of Modern Korea with those of Modern China and Modern Japan. It is very important to compare readers among the literatures in East Asia. East Asia had received so called “Western Literatures” as a Modernity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In China, <巴黎茶花女遺事>, translated La Dame aux camelias(1848, by Alexandre Dumas Fils), was most popular of East Asia. Chinese people fell in love with <巴黎茶花女遺事>. because it had taught real western love. The love from love was very different from old chinese love. Hoewever in Japan, <椿姬> was stopped in serial novel in the newspaper <Manjobo> La Dame aux camelias. Because Japanese readers had divided two types; one was the male-type reader, the other was the female-type reader. Therefore <椿姬> was disregarded by both of all. A term ‘love’ was a concept that Empire Japan had transmitted western term ‘love’ to colonized Chosun. The word ‘love’ symbolizes modernity in western. Chunhee(La Dame aux camelias, 1848, by Alexandre Dumas Fils) is a issuing novel. The work, Chunhee is a story not dealing with normal men and women, but prostitutes. Chunhee had carried in the newspaper, ?Maeil-sinbo? from September 21, 1917. to January 16, 1918. This novel had already flow into Japan and China. It had influenced them the sensation of ‘Modern Love’. However since the space was different, it was different to be influenced. The term ‘love’ had translated as ‘to love’ in colonized Chosun in 1910"s. It means not as a noun, but as a verb. Therefore ‘to love’ is totally different from an concept ‘love’ in the past. It was included all of behaviors that loved and acted between men and women. The term, ‘love’ was changing owing to the term of modern love, ‘to love’. In the first place, ‘love’ was just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emotions. As time goes by, It had been turned into the concept of presenting about love behaviors. After all, this term had begun to include the eruption of desires in colonized female readers. ‘To love’ that mixed with behaviors and desires in 1910"s had prepared 1920"s, as a era of ‘to love’. This concept is “love of sphere of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