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공산당 100년과 중국 근현대문학 — 선전선동의 도구에서 개조와 검열의 대상으로

        임춘성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21 中國現代文學 Vol.- No.97

        Since its foundation,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has focused its efforts on promoting literature through the pro-literature movement so that the subaltern people can be the main agents of literary creation and appreciation.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demanded that literature be an agitation-propaganda tool for the “New Democratic Revolution” before the founding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led literature by the policy after its founding, and controlled by censorship after its reform and opening. Agitation-propaganda theory was promoted through the Revolutionary Literature Debate in 1927, followed by the Left-wing Writers' Union in the 1930s and the Chinese National Association of Literature and Antiquities in the 1940s, and was standardized as the “People's Literature” in Yan’an. Since national foundation, “People's Literature” has been implemented as a policy through the “National Congress of Literature and Arts of China.” In the early days of reform and opening, the phase of liberation of thought was temporarily faced, but after the suppression of the Tiananmen Incident in 1989, censorship has been strengthened. In this article, on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the Communist Party, I would like to examine several points about how the Communist Party's literary policy was reflected and influenced literary creation and research.

      • KCI등재

        중국 공산당 100년 외교의 유산과 진화: 외교 목표, 담론, 국제체제의 인식과 전략을 중심으로

        이동률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1 중소연구 Vol.45 No.1

        For the past 100 years, China’s leaders have consistently recognized the realization of a prosperous and powerful nation as the highest goal and value. China’s diplomacy has also developed a strategy for realizing a prosperous and powerful n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ircumstances of each era, and has resulted remarkable achievements. This article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and continuity by looking at the strategy for goals, discourses, and systems in China’s diplomacy over the past 100 years in a macroscopic and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at a time when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is more intense than ever. And based on this, this article tried to find clues to predict the future of Chinese diplomacy. China has seen remarkable changes in its diplomatic goals, discourse, and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order and system over the past 100 years. In particular,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immediately advocated for the “great revival of the Chinese nation” immediately after taking office in 2013, and in fact expressed its willingness to become a “powerful nation” more strongly than any other government. However,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is in chaos as it faces challenges to break through complex new difficulties and dilemmas on the road to the next 30 years based on diplomatic achievements over the past 100 years.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은 지난 100년간 일관되게 부국강병과 체제 안전을 최고의 목표이자 가치로 인식해왔다. 중국외교는 상기 양대 목표의 실현을 위해 각 시대 상황에 부합하는 전략을 구상하고 전개해 왔으며 결과적으로 주목할 만한 성취를 이루었다. 이 글은 미중간 전략 경쟁이 그 어느 때 보다도 격렬하게 진행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과거 100년 중국외교에서 목표, 담론, 국제체제에 대한 전략의 변화를 거시적이고 입체적으로 조망하여 변화, 지속, 그리고 특징을 도출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중국 외교 행보를 예측하는 단서를 발견하고자 했다. 중국은 지난 100년 사이에 외교 목표, 외교 담론, 그리고 국제질서와 체제에 대한 인식과 참여에서 점진적이지만 괄목할만한 변화가 이어졌다. 따라서 이 글은 상기한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중국 외교전략이 국력의 증강과 연동되어 진행된 지속과 변화의 동학을 파악하고자 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부상하는 중국이 미래 국제사회에 어떠한 위상과 영향력을 모색하고자 하는지를 가늠하고자 했다. 특히 시진핑 정부는 2013년 집권 직후 곧바로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주창하면서 사실상 역대 어느 정부보다도 강력하게 ‘강국화(强起来)’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고 다양한 비전과 외교 담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시진핑 정부는 지난 100년의 외교성과를 기반으로 미래 30년을 향하는 길목에서 오히려 복잡한 새로운 도전과 딜레마를 돌파해야 하는 난제에 직면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