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CBCL 6-18 DSM 진단 척도의 진단 변별력: 아동복지시설의 심리장애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최승연,하은혜 한국놀이치료학회 201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장애 아동․청소년의 진단 변별력에 대한 K-CBCL 6-18의 DSM 진단 척도의 임상적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2017년까지 아동복지시설 치료․재활 지원 시범 사업에서 DSM-IV에 의해 불안장애, ADHD, 품행장애 진단을 받은 초등 및 중․고등학생(남: 262, 여: 144)을 대상으로 K-CBCL DSM 진단 척도에 대한 판별분석과 ROC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DSM 정서문제(67.7%)와 DSM ADHD(58.1%)의 분류정확도가 유의미하였고, DSM 정서문제의 변별력이 가장 높았다. 임상 진단 절단점의 경우, DSM 정서문제는 65T, DSM ADHD는 68T를 적용할 때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진단군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K-CBCL 6-18의 DSM 진단 척도에 대한 포괄적인 변별력을 규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creen the clinical utility of DSM diagnostic measure of K-CBCL 6-18 to discriminate psychological disorde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Discriminant analysis and ROC analysis on CBCL DSM diagnostic measure were done for elementary, middle․high school children and adolescents(male: 262, female: 144) diagnosed as anxiety disorder, ADHD, conduct disorder by DSM-IV in ‘Child-welfare institution psychotherapy․rehabilitation support program’ from 2013 to 2017. As a result of the research, classification accuracy of DSM emotional problems(67.7%) and DSM ADHD(58.1%) was significant, and the discriminating ability of DSM emotional problems was the highest. The clinical cut-off point for DSM emotional problems was 65T, DSM ADHD was 68T to have highes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e comprehensive discriminating ability was found on DSM diagnostic measure of K-CBCL 6-18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linically diagnosed group.

      • 심리적 복지 향상 방안 연구

        오정석 한국유럽경찰학회 2018 유럽경찰연구 Vol.2 No.1

        심리적 복지 수준을 증진하기 위해 과거의 경제, 물질 중심 경찰 복지 개념에 대 해 심리적 복지 개념을 새로운 페러다임으로 제시하고 Ryff의 심리적 복지 척도인 자기수용감, 긍정적 대인관계, 자기주도성, 환경적응, 삶의 목표, 개인의 성장 등 6 개의 하위 척도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천 중심 심리적 복지 척도를 재구성하였 다. 자기수용감에 대응한 척도는 참선수련, 명상, 요가, 긍정적 대인관계에 대응한 척도는 동호회, 친목회, 친구관계, SNS 활동, 자기주도성에 대응한 척도는 의사결 정 경험, 환경적응에 대응한 척도는 스마트폰과 인터넷 활용도, 삶의 목표에 대응한 척도는 노후설계, 경제계획 및 실천 정도, 개인의 성장에 대응한 척도는 연구 활동 실적이다. 이와 같은 실천 중심 심리적 복지 척도는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복지 평가 에 실천적, 동적 성향을 보다 잘 반영하고 심리적 복지 증진 대안 마련에 유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increase police welfare in term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I proposed to implement a new psychological welfare concept into police welfare, thereby proposing a brand new paradigm. The proposal of new police welfare system based on psychological welfare is based on through analysis of Riff’s six specified measure of psychological welfare, them being self 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and personal growth. The specific components to help develop these six measures are: self acceptance - zen-meditation, meditation, yoga.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 gatherings, friendly meetings, tight friendship, active social networking. autonomy – experience of decision making. environmental mastery – wise usage of smart phones and internet. purpose in life – retirement plan, making economic plan. personal growth – endless research. The above practice based psychological welfare measures deem to be a more realistic direction for police welfare due to the right implementation of the dynamic characteristics more suitable for real time police officers.

      •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복지 증진 방안 연구

        오정석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4 경찰복지연구 Vol.2 No.1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복지 수준을 증진하기 위해 과거의 경제, 물질 중심 경찰 복지 개념에 대해 심리적 복지 개념을 새로운 페러다임으로 제시하고 Ryff의 심리 적 복지 척도인 자기수용감, 긍정적 대인관계, 자기주도성, 환경적응, 삶의 목표, 개인의 성장 등 6개의 하위 척도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천 중심 심리적 복지 척도를 재구성하였다. 자기수용감에 대응한 척도는 참선수련, 명상, 요가, 긍정적 대인관계에 대응한 척도는 동호회, 친목회, 친구관계, SNS 활동, 자기주도성에 대 응한 척도는 의사결정 경험, 환경적응에 대응한 척도는 스마트폰과 인터넷 활용도, 삶의 목표에 대응한 척도는 노후설계, 경제계획 및 실천 정도, 개인의 성장에 대응 한 척도는 연구 활동 실적이다. 이와 같은 실천 중심 심리적 복지 척도는 경찰공무 원의 심리적 복지 평가에 실천적, 동적 성향을 보다 잘 반영하고 심리적 복지 증진 대안 마련에 유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order to increase police welfare in terms of psychological well being, I proposed to implement a new psychological welfare concept into police welfare, thereby proposing a brand new paradigm. The proposal of new police welfare system based on psychological welfare is based on through analysis of Riff’s six specified measure of psychological welfare, them being self acceptanc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utonomy, environmental mastery, purpose in life, and personal growth. The specific components to help develop these six measures are: self acceptance - zen-meditation, meditation, yoga.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 gatherings, friendly meetings, tight friendship, active social networking. autonomy – experience of decision making. environmental mastery – wise usage of smart phones and internet. purpose in life – retirement plan, making economic plan. personal growth – endless research. The above practice based psychological welfare measures deem to be a more realistic direction for police welfare due to the right implementation of the dynamic characteristics more suitable for real time police offic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