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령화 국가에 대한 기대수명 증가의 연령별 사망률 개선과 기여도 비교 연구

        오진호 ( Jin-ho Oh ) 한국연금학회 2019 연금연구 Vol.9 No.2

        고령화는 세계적 추세이며, 그 결과로 인구구조 변화와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유발한다. 고령화 속도가 빠른 국가는 사망률 교대현상(mortality with rotation, 젊은 층의 사망률 개선은 예전과 다르게 점점 낮아지는 반면 고령층은 점진적으로 증가)과 연령별 사망률 개선에 차이를 보이고, 그 결과 기대수명 증가에 따른 연령별 기여도(Age-specific contributions to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여러 고령화국가를 선정해 사망률 개선과 기여도를 비교해 본다. 이를 위해 먼저 아시아 3개국(한국, 중국, 일본), 유럽 2개국(영국, 프랑스), 미국, 총 6개국을 선정해, HMD, UNPD의 WPPs 2019 Prospects, 한국의 KOSIS에서 자료를 수집한 후, 사망률 개선과 기여도를 시각적으로 표현가능한 R 프로그램의 ROMI.PLOT을 나타내어 비교한다. 연구결과 타국가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빠른 고령화를 보이는 한국과 중국은 80세 이상을 제외하고 전 연령에 걸쳐 빠른 사망률 개선과 특정 코호트별 사망률 개선을 보여주고, 6개국 모두 기대수명 증가에 따른 50대후반~80대후반의 높은 기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ging is a global trend, resulting in demographic changes and various social problems. In countries with a rapid aging rat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ortality with rotation (the mortality rate of young people gradually decreases, while the elderly gradually increases) and the improvement of age-specific mortality rate and as a result, age-specific contributions to the incresae in life expectancy are different. The study selects several aging countries and compares their mortality declined rate and contributions to the improvement of mortality. To analyze, first, three Asian countries (Korea, China, Japan), two European countries (UK, France), and the U.S. will select six countries to collect data from the HMD, UNPD's WPD's WPPs 2019 Prospects, and Korea's KOSIS, and compare them on mortality declined and contributions by visually expressing the ROMI.PLOT of the R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Korea and China, which are relatively aging compared to other countries, show rapid mortality declined rate and cohort mortality improvement across all ages, except for those aged 80 and older, while it is analyzed that the improvement of mortality among all six countries in their late 50s and late 80s has contributed relatively high to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 KCI등재

        2016년 장래인구추계 사망력 추계 개선 연구

        김수영(Kim, Sooyoung),한명직(Han, Myeongjik) 한국인구학회 2017 한국인구학 Vol.40 No.3

        이 연구는 통계청 2016년 장래인구추계 중 사망력추계에 가장 적합한 모형을 찾기 위한 연구이다. 2015년까지 기대수명과 연령별 사망률 실적치 추세를 2011년 추계결과와 비교, 추계모형을 개선하고자 한다. 2016년에 통계청에서 재작성해 발표한 생명표의 1970년부터 2009년까지 기대수명 및 연령별 사망률 자료를 이용하여 Lee-Carter 모델의 확장형인 다음의 5개 사망력 추계모형을 적합 시킨 후 2010-2015년 예측값과 실적치를 비교하여 모형별 예측력을 평가하였다: ① 기존 추계에 적용된 성별 통합 Li-Lee 모형(성별 통합 Li-Lee 모형) ② 장수 6개국 통합 Li-Lee 모형 ③ 장단기 결합 Li-Lee 모형(향후 5년간은 최근 10년간 단기추세, 이후는 40년간의 장기추세 적용) ④ Li-Lee-Gerland 모형 ⑤ 가산형 로지스틱 모형. 특히, ④번과 ⑤번 모형은 최근 나타나고 있는 사망률 개선의 교대현상(연령별 사망률 개선속도가 저연령에서는 둔화되고, 고연령에서 진전되는 현상)을 장래 사망력 예측에 반영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적합력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대수명 적합력은 장단기 결합 Li-Lee 모형이 가장 우수하고, 성별 통합 Li-Lee 모형과 Li-Lee-Gerland 모형이 다음 순이었다. 둘째, 연령별 사망률은 성별 통합 Li-Lee 모형, Li-Lee-Gerland 모형 순으로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Li-Lee-Gerland 모형은 기대수명과 연령별 사망률 적합력이 모두 우수한 편이고, 사망률 개선 교대현상을 잘 반영해 장기추계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Li-Lee-Gerland 모형에 의한 추계결과는, 기대수명은 2065년에 남녀전체 90세까지 증가하고, 연도별 증가폭은 2015년 0.3세에서 2065년 0.1세로 둔화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est model for the 2016 Korean mortality projection. We evaluate five variants of the Lee-Carter model by comparing the observed and projected mortality for the period 2010 to 2015; (1) Li-Lee model (sex coherent, 2011 Korean Model), (2) Li-Lee model (low mortality coherent), (3) Li-Lee model (short and long-term combined), (4) Li-Lee-Gerland model, (5) additive logistic model. especially, the fourth and fifth models are proposed to reflect the rotation of age pattern of mortality decli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orecasts of life expectancy by the Li-Lee model(short and long-term combined) performed the best, followed by Li-Lee model (sex combined) for the period 2010 to 2015. (2) In terms of age specific mortality forecasts, Li-Lee mode l (sex combined) performed the best, followed by Li-Lee-Gerland model. Finally, Li-Lee-Gerland model is prov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for Korean mortality forecasting in terms of goodness of fit and well reflection of the rotation of age pattern of mortality decline. The mortality projection results by Li-Lee-Gerland model presents that life expectancy at birth will increase by 90 years old in 2065 and the annual increase will decline from 0.3 years in 2015 to 0.1 years in 2065.

      • KCI등재

        기대수명의 연령별 사망률로의 전환에 대한 연구

        김성용 한국자료분석학회 201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3

        UN released probabilistic population projections for all countries in 2014. Previously, age-specific populations are projected after predicting age-specific mortality rates, but in the new projection, the life expectancies at births of all countries are predicted by using the Bayesian hierarchical models, then converted to age-specific mortality rates by using the Lee-Carter model, leading age-specific population projections. The new method has the advantage of resolving the problems in forecasting life expectancies for each country because the relevance of life expectancy with other countries can be considered. However, it has been known that the Lee-Carter model used in this method has serious limitations such as the crossover of oldest-old mortality rates between sex, jump-off bias, and invariability of age effects. In this study, the conversion of life expectancy to age-specific mortality rates by using rotated Lee-Carter model is introduced, and applied to Korea mortality data. To this end, the mortality rates are extended to oldest-old ages and the new method is implemented. Finally, the appropriateness of the method to Korean mortality data is evaluated. UN에서는 2014년 전 세계 국가들에 대한 확률적 인구 추계를 발표하였다. 기존 인구추계에서는 연령별 사망률을 예측하고 이에 기반하여 연령별 인구를 예측한데 반해, UN에서는 전 세계 국가의 기대수명을 베이지안 계층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하고 Lee-Carter 모형을 이용하여 이를 다시 연령별 사망률로 전환함으로써 연령별 인구를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은 다른 국가와의 관련성을 통해 기대 수명을 예측함으로써, 개별 국가별 예측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Lee-Carter 모형의 경우 여러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는데, 초고령 사망률의 성별 교차문제, 점프 편의 문제 및 연령효과의 고정 등의 문제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Lee-Carter 모형을 이용하여 기대수명을 연령별 사망률로 전환할 경우, 여전히 이러한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제안된 rotated Lee-Carter 모형을 이용한 기대수명의 연령별 사망률 전환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우리나라의 사망률 자료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초고령 사망률의 확장을 수행하였으며, rotated Lee-Carter 모형을 이용한 방법론을 구현하여 해당 방법론의 우리나라 자료에의 적합성에 대해 파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