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pplication and Analysis of Social Welfare Major Courses Linked to Local Communities

        조우홍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pplication and Analysis of Social Welfare Major CoursesLinked to Local CommunitiesWoohong Ch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of social welfare major subjects through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s th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used as the basic data of the study by searching the literature and data related to the subject and 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textbook, Step 1 Finding ways to connect with local communities, Step 2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and learners’ needs, Step 3 Welfare institution linkage activities, Step 4 It was carried out as a field practical applic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lass applying the community linked learning method increased the bond between the instructor, the learner, and the local welfare institution. Second, students’ participation was high in the classes that were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he major subjects. Third,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mmunity increased through exchanges between welfare institutions and college students. Fourth, the class applying the community-linked teaching method can maintain the experiential memory of the learning content for a long time. Key Words: Community, Welfare Major, Subject Linkage, Field Practice, Learning Participation 지역사회 연계 사회복지전공 교과목 적용 및 분석조 우 홍* Application and Analysis of Social Welfare Major Courses Linked to Local Communities Woohong Cho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learning effect of social welfare major subjects through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s th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method was used as the basic data of the study by searching the literature and data related to the subject and 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textbook, Step 1 Finding ways to connect with local communities, Step 2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extbooks and learners’ needs, Step 3 Welfare institution linkage activities, Step 4 It was carried out as a field practical applic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lass applying the community linked learning method increased the bond between the instructor, the learner, and the local welfare institution. Second, students’ participation was high in the classes that were applied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 the major subjects. Third,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 community increased through exchanges between welfare institutions and college students. Fourth, the class applying the community-linked teaching method can maintain the experiential memory of the learning content for a long time. Key Words: Community, Welfare Major, Subject Linkage, Field Practice, Learning Participation

      • KCI등재

        지역복지계획 내의 지역 중심형 케어매니지먼트시스템 고찰 : 한일 비교

        장경옥,백선아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08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 No.-

        한국과 일본은 다양하게 지역사회주민의 삶의 질을 제고시키기 위해 접근하고 있 으나 지역 안의 재가 대상자를 위한 활동 중 케어매니지먼트기법을 통하여 접근 시도 하고 있는 것이 보편적인 활동임을 많은 연구가들이 공감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과 일본의 지역복지계획을 전체적으로 비교하기에는 체제 등 다소 무리감은 있으 나 양국의 지역복지계획 안에서의 ‘지역중심형 케어매니지먼트시스템’을 비교하여 살 펴봄으로써 개선사항을 조망해 본 후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지역 중심형 케어매니지먼트시스템의 한일 비교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정리하여 다음 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일본의 치노시 경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노시 소재 스와 병원 관계자와 의사회 를 중심으로 한 재가의료의 실천과 그 실현을 향한 보건·의료·복지관계자들의 스스로 힘을 합쳐 지역케어를 했다는 점이다. 둘째, 치노시 신임시장을 리더로 새로운 자치단 체를 만들기 위한 행정직원들이 힘을 합했다는 것이다. 셋째, 자원봉사와 시민활동을 전개 해 나가는 시민의 힘이라는 것이다. 이는 국가가 정책적으로 접근해야 할 이론적 과제나 방안의 접근도 있겠지만 지자체 스스로 즉, 지역주민 스스로 참여하여 활동하 고 있는 실천적 방안의 접근이 훨씬 더 내재된 역량을 이끌어 가는 데 있어 원동력을 발휘했었을 것이라는 판단이 든다. 한국의 평택시 경우는 다음과 같다. 한국의 경우 일본과 달리 지역복지계획과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실시 전이기에 이론적 모델만 구축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음을 인 지하여야 하나 참고로 일본 치노시 모델을 지향하였다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 이해하 여야 한다. 첫째, 서비스 전달체계 개선을 통한 효율적인 복지행정이 이루어져야 제대 로 된 케어매니지먼트시스템이 정착될 것이다. 이는 케어대상자의 욕구와 서비스 내 용에 대한 전산화된 자료를 바탕으로 서비스 제공자간의 중복, 분절된 서비스를 방지하고 이용자 중심의 욕구에 부합되는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 이다. 둘째, 주민참여 촉진을 통한 효율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연계 와 통합이 이루어진 보건 ․ 의료 ․ 복지의 연계서비스를 이용 후 효율과 효과를 검증 하고 정보 및 홍보자료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사례를 기록하여 공유하기 위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널리 알려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치노시와 평택시의 경우 도시농촌 지역 이었기에 농촌지역일 경우 접근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역동적인 시스템을 제 공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농촌지역의 접근이 도시지역에 편중되어 있는 지역자원의 편중을 고려하여 농촌 이용자 중심의 이동 방문 보건복지센터이 형태를 갖춘 이동 차 량을 이용하여 해당 읍면동의 사회복지위원들을 적극 연계하여 홍보하면서 노인, 장 애인 즉 주 케어대상자와 함께 저소득 층, 아동, 청소년 등 기타 가족의 자세한 정보를 취합하여 정확한 정보체계를 통해 활용한다면 최소한의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하여 보 다 현실적인 보건·의료·복지서비스가 제공 될 것이다. 특히, 이동방문서비스 차량을 이용해 찾아가는 이용자 중심의 보건·의료·복지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대상자가 자기 케어능력이 고취됨으로서 지역사회 내의 재가에서 최적의 건강생활을 유지 증진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지역중심형 케어매니지먼트 구축’에 있어서의 향후 한국의 과제 방 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의 경우 양국은 각각 시기와 형태가 달리 케어매니지먼트시스템이 구축되어 도입되는 변화의 과정을 이루어 가고 있다. 일본의 지역복지계획과 개호보험 제도, 한국의 지역복지계획과 노인 장기요양보험제 도 등 새로운 제도와 함께 기존의 케어매니지먼트시스템의 부재와 문제점이 보완되어 양국의 지역복지계획과 함께 새로운 국가제도와 맞물려 보건의료 복지서비스를 강화 하여 서비스 전달체계를 개선되어야 한다는 점에서는 누구도 부인하지 않을 것이다. 특히, 보건의료복지에 관한 연계 ‧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각종 국가적· 지자 체적 제도와 함께 지역주민 스스로가 참여하여 실천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때 이용자 중심 즉, 효율적인 지역중심형 케어매니지먼트시스템이 정착될 것이다. Both Korea and Japan approach to meet the quality of life for the community residents in variety aspects, it is agreed by the researchers that within a community, a care management is one of the common way to provide care for the home-based care-needy population within a community. Even though it is extensive to compare an entire plans and systems of community welfare between the two countries, to compare the local-centered care management system within the both countries community welfare plan, after further improvement would be considered,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 will be discussed. Through completion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local-centered care management system in the two countries, some suggestive ideas were gathered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Detailed agendas of Chi-No-City in Japan are as follow: First, based on Suwa Hospital’s the parties interested in Chi-No-City and the medical association, the practice of home-based care and community care had accomplished by gathering manpower of the interested parties who are in the field of public health and welfare. Second, build up renovate self-governed organization under a newly elected mayor’s authority, all the staff of administration could gather manpower. Finally, the power of civilian was explored to volunteer activities and civil activity. To successfully perform the local-centered care management system, a politically approached theoretical task and suggestion that will be applied in nation-wide should be exist; moreover, the community residents’ self-motivation would be work as a hidden-empower to lead the local-centered care management system. It is pre-era of Korea to initiate community welfare plan and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t is important to kn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oretical model which is referred by Chi-No-City model in Japan. Detailed agendas of Pyung-Taek-City in Korea are as follow: First, through improvement in service deliverly system, the effective welfare administration needs to be accomplished to root care management system in Korea. Based-on computerized care needy person’s needs and contents of the service, a repetition of service provider and a segmental service need to be prevented. Therefore, an effective client-centered service which is met to client’s need should be provide. Second, having effective approach to local-centered care management system, the community residents participation need to be encouraged. After utilized accomplished liaison and integration of public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s,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services needs to be verified and the cases, which are both satisfied with information and advertising materials, need to be well recorded the purpose of sharing to community residents. Finally, both Chi-No-City and Pyung-Taek-City are urbanized-rural area, if it is applied to a rural area, a problem of accessibility needs to be resolved. In the rural area, a vehicle which is equipped with public health and welfare center would be consider as an option to maximize its accessibility to residents in rural areas. If we actively connect and advertise of the vehicle service to social workers in each district while we gathered information about primary care-needy person such as disabled and elderly to provide systematically planned service, it would be beneficial to provide sensible public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 to care-required person. Especially, for providing a client-centered service to care-required person while utilizing the vehicle, the care-required person’s self-care ability would be improved as well as the person would be able to maintain his/her life at home with maintain his or her optimum health status. Especially, to establish a local-centered care management for Korea, the further assignment will be suggested as follow. Both Korea and Japan have gone through changing period of the care management system for the aspect of establishment and initiation even the two countries present different period and form. All together with a new system such as the community welfare plan and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in Japan and the community welfare plan and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in Korea and the absence and problem of current care management system should be complemented to improve two countries community welfare plan. It is strongly needed to empower public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 under the newly developed nation-wide system, to improve service deliverly system. Moreover, to provide a connected and integrative service for the aspect of public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 the systems of governance and nation as well as community residents’ active participation, the client-centered which is effective local-centered care management system will be settled.

      • 지역복지 전달체계 네트워크를 위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과 과제

        김형모,유정원,이귀애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9 임상사회사업연구 Vol.6 No.1

        본 연구에서는 지역복지 전달체계의 네트워크를 위한 시․군․구 단위에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바람직한 역할 정립과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복지 전달체계와 네트워크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으며,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역할과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연구 결과, 대다수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관의 영향력 하에 있으며, 그 결과 민관 협력의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관 주도형 전달체계가 되어 버릴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다수의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재정적 상황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고, 중앙 및 광역 시․도 사회복지협의회와의 관계가 밀접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지역복지 전달체계 네트워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시․군․구 단위의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가 각각 활성화되어야 하며, 각 지역에서 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체들로부터 대표성을 인정받는 사람들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가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역 내 복지문제에 대한 분석을 철저히 실시하고 가장 타당한 역할 모델을 찾아 해당 지역에 접근해야만 할 것이다.결론적으로 지역사회복지협의체 중심의 지역복지 전달체계 네트워크의 활성화에 대한 방향이 설정되어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시․군․구 단위의 지역사회복지협의회에서는 민관 협의체인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업무와 운영을 지역사회에 뿌리를 두고 있는 민간협의회 조직으로서 지원하고 보완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s and tasks of community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and community council on social welfare for community welfare delivery system network.This study examined the previous studies on community welfare delivery system and network. In addi-ti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community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and community council on social welfare in Seoul, Kyonggi, Incheon.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community associations of social welfare were under the influence of public sector. In addition, most of community councils of social welfare were under financial difficulty.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both community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and commun-ity council on social welfare needs to be consisted of representing people among the community. Second, each community needs to analyze the community problems and develop its own model for community wel-fare delivery system network.In conclusion, the center of community welfare delivery system network should be community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which consists of both the public sector and the private sector in the community. As a result, the role of community council on social welfare should be to support and supplement community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in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북한 나선경제무역지대의 지역사회복지 연구

        최예서(Choi, YeSeo) 북한학회 2020 북한학보 Vol.45 No.1

        본 연구는 다가오는 통일복지시대를 대비하여 북한의 나선경제무역지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복지개발모델을 도출하고 분석하여 이에 따른 개발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북한의 지역사회복지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역사회복지관련 문헌연구와 나선경제무역지대 관련 선행연구고찰, 지역개발정책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나선시 거주 경험 있는 탈북민의 증언, 현재 나선시에 출입하고 있는 중국인 사업자들과의 인터뷰 및 증언을 통하여 나선경제무역지대의 제도, 정책, 복지현황, 사회환경 등 경제특구로서의 경제개발잠재력, 개발방향, 이에 따른 다국적기업 진출현황, 나선경제무역지대가 한국에 미치는 영향력 등을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분석틀은 로스만의 지역사회개발모델을 적용하여 지역사회의 활동능력과 통합에 관한 문제, 지역사회구조와 문제상황에 대한 가정으로부터의 실제적 문제, 변화의 매개체, 기본적 변화전략, 변화전술과 기법에 따른 지대의 현황, 권력구조에 대한 이해와 시장과 권력의 공생관계, 수혜자 범위, 수혜집단 인식, 수혜집단의 역할인식에 대한 상황, 임파워먼트에 대한 개념과 이해관계에 따른 사회 환경과 하위체계들을 분석하였다. 북한의 나선경제무역지대 지역사회복지 개발방안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경제무역지대로서의 특성에 맞는 지역사회복지개발을 위하여 지역사회복지정책 개발 분야에서 첫째, 사회안전망 및 사회보장협의기구의 구성에 대한 문제, 둘째, 지역사회복지서비스 네트워크 및 공공과 민간의 협력에 관한 대책적 문제와 지역사회복지망 구축에서 첫째, 사회복지파트너십을 어떻게 구축해야 될 것인지에 대한 문제, 둘째, 나선경제무역지대내의 지역공동체를 조성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 셋째, 주민조직화와 참여 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지역사회복지의 실현 가능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북한의 지역사회복지개발모델 또는 나선경제무역지대의 복지개발에 대한 선행연구가 수행되지 않은 첫 연구논문으로서 향후 통일복지시대에 북한의 지역사회복지개발관련연구의 첫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한다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laying the groundwork for North Korea s community welfare by deriving and analyzing community welfare development models based on North Korea s Rason economic and trade zone in preparation for the coming unification welfare er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research on local community welfare, previous studies on Rason economic and trade zone, and the theory and practice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Also, through testimony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who lived in Rason City and the interviews with Chinese business people currently entering Rason City, this study analyzed and considered the potential impacts of Rason special economic zone on South korea by considering its institution, policy, current community welfare situations, social environment, economic development potential,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nd the situation of the multinational corporations as a result of all of above situations. The analytic frame applied Rothman s community development model to address social situations and subsystems resulted from issues of community capacity and integration, practical problems from assumptions about community structure and problematic situation, media of changes, basic change strategies, change tactics and techniques, the understanding of power structure and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market and power, the scope of beneficiary, the recognition of beneficiary group, the situation of the role recognition of beneficiary group, the concept and interest of empowermen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and develop community welfare in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economic and trade zone as a way to develop social welfare for North Korea s Rason economic trade zone, this study focused on some issues in several areas to show the feasibility of local community welfare. First, in the area of community welfare policy development,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blems with the organization of social security and social security council. Second, in the area of constructing community welfare networks countermeasures about community welfare service networks and cooperaton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private companies, first, this study considered the problem of how to build the social welfare partnership, second, how to make and activate the local communities in the Rason economic and trade zone, Third, this study provide the way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This paper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preparing the first framework related to the research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in North Korea in the future of unification ear as the first research paper on North Korea s community welfare development model or welfare development in the Rason economic trade zone.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과제

        안윤숙(An Yun Sook),김흥주(Kim Hung Ju)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4

        최근 들어 한국의 복지환경이 크게 변화하면서 지역사회복지와 사회적경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유는 세가지다. 첫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국가와 시장이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들에 혁신적으로 대처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둘째, 지역의 일자리와 소득을 증대시켜 자원이 지역에서 선(善)순환하는 지역순환의 복지체제를 만들어간다. 셋째, 사회적경제 조직은 다중 이해관계자들의 협동과 호혜를 통해 지역사회에 필요한 사회서비스의 공공성(publicness)을 실천한다. 이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체 중에서 경제적 가치보다 ‘사회적’ 가치에 초점을 두고 활동하는 사례들을 검토하여 지역중심의 사회복지실천에 사회적경제가 어떻게 기여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회적협동조합은 공익적 경제활동과 제도적 지원, 그리고 공동체 돌봄 활동을 통해 사회서비스의 공공성을 실현하고 있다. 이탈리아 사회적협동조합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복지 증진과 지역사회의 보편적 이익을 확보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안산의 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은 의료서비스만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의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지역사회복지운동을 펼치고 있었다. 지역자활센터가 사회적협동조합으로 전환되면서, 자활사업 참여자의 역량이 강화되고, 탈(脫)빈곤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었다. 생협은 조합의 이익을 주민과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고자 하는 협동의 가치를 기반으로 사회적 돌봄을 실천하고 있었다. 울림두레생협은 주민의 참여와 사회적 자본을 바탕으로 지역이 중심이 되는 복지체계를 만들고 있었다. 한살림 생협은 조합원들을 효과적으로 조직화하여 지역의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공동체를 만들고 있었다. 일본의 복지클럽 생협은 마을 중심의 커뮤니티 케어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런 성과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적경제가 주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실천과제가 남아 있었다. 무엇보다도 제도화를 위한 정치적 의지, 시민사회의 연대,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였다. 사회적경제가 중심이 되는 지역사회복지는 주민의 참여로 시작되고, 연대와 파트너십으로 완성된다. 여기에 실질적인 지방분권, 신뢰와 호혜의 가치, 시민사회의 성숙, 살아있는 지역조직, 실천가의 적극적인 사회행동이 기반이 되어야 지속가능해진다. Recently, Korea’s welfare environment has changed dramatically, community welfare and social economy are receiving great attention There are three reasons. First,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have the characteristic of innovative coping with problems that the nation and market cannot solve. Second, by increasing social jobs and income in the region, creating a community welfare system in which local resources are positively circulated. Third, a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practic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at are necessary for the community through the cooperation and reciprocity of multiple stakeholders. The study examined cases of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focused on ‘social’ value rather than economic value. This is to find out how useful the social economy is for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Social cooperatives realize the publicness of social services through public economic activities, institutional support, and community caring activities. Italy’s social cooperatives were playing a leading role in promoting the welfare of the socially vulnerable and securing the universal interests of the community. The medical welfare social cooperative in Ansan was carrying out a community welfare movement to maintain the healthy lives of local residents as well as medical services. As the local self-support center was transformed into a social cooperative, the capacity of participants in the self-sufficiency project was strengthened and the possibility of deserting poverty was increasing. The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practicing social care based on the value of cooperation that wanted to share the interests of the union with the residents and the community. The Ulim-Dure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building a welfare system in which the region was centered, based on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social capital. The HanSalim consumers’ life cooperative was effectively organizing its members to create a caring community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in the region. Japan’s welfare club, the association, was conducting community care centered on villag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ere were still some practical tasks for the social economy to be situated as a center of community welfare. For example, political will, solidarity of civil society, and strengthening of the local community are necessary. Community welfare and practice, which is supported by a social economy, begins with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is completed by solidarity and partnership of civil society. In addition, for the sustainable community welfare system based social economy, the real decentralization, the value of trust and reciprocity, the maturity of civic consciousness, the active social behavior in the community are necessary.

      • 지역복지적 관점에서의 주민자치센터 기능 재정립 모색

        김정헌(Kim, Jeong-Heon),박명호(Park, Myeong-Ho) 한국복지행정학회 2006 복지행정논총 Vol.16 No.2

        주민자치센터의 활동은 지역주민의 참여하에 주민 스스로 지역문제를 연대해서 추진하도록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자율방범, 방재치안 및 교통․ 지역환경 보전, 마을환경 가꾸기 그리고 교육, 문화, 체육, 여가 등의 주민복지기능의 실천을 위해 주민이 주체가 되어 논의하고 결정하며 집행해 나가도록 해야한다. 이는 주민자치센터의 주요기능이 목적 기능인 ‘지역복지기능’의 실천을 위한 수단기능으로서의 ‘주민자치기능’이 강조되어야 함을 의미하므로 주민자치센 터의 기능과 역할상의 우선순위의 재정립이 모색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주민자치센터의 주요기능에 있어서 단순히 문화여가와 생활편의를 제공하는 주민자치활동의 장으로서의 기능과 지역복지 증진기능의 중요성을 동등하게 주장하거나 아니면 주민자치기능의 중요성을 더 강조하거나, 지역복지증진 기능을 더 강조하는 등의 혼란을 초래하는 주장들이 많았다. 하지만 이제 주민자치센터는 지역주민들에게 아동복지, 청소년복지, 노인복지, 여성복지 등의 다양한 주민복지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점차 그 기능을 전환하고 재정립하여, 앞으로 주민자치센터를 접근성(acceptability)이 가장 강화된 자치적 종합복지근린시설로 변모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ocal Welfare Function of Citizen s Community Center by Means of Survey Method and Present Practice Possibility of Local Welfare Program in South District Area of Daegu Metropolitan City. Decentralization and Citizen Participation is the Key Elements of Local Autonomy. Citizen Community Center is the Institutional Mechanism to Induce Citizen Participation in Which Local Governments and Citizens may Co-product and Build Community. The Main Contents of this Article are to Examine Various Functions of Citizen s Community Center, Analyze Local Welfare Functions of it for Resident, and Present Welfare Program for Normatively which are Possible to Practice in Citizen s Community Center.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Citizen s Community Center Performs Various Local Welfare Functions, Including Child Welfare, Youth Welfare, Woman Welfare, and Welfare for the Elderly. It must be Transformed with Comprehensive Welfare Center which Residents are Easily Accessible. Second, The Major Function of Citizen s Community Center must be Readjusted with Local Welfare Function by Ends Function, not be Citizen s Autonomy Function by Means Function. Third, It Citizen s Community Center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Local Welfare, Citizen s Community Center must Utilize Community Resources and Social Worker as Professional.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의 중심축이 되는 기관단체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협의회와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김범수 ( Bum Soo Kim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0 공공정책연구 Vol.27 No.2

        본 글은 사회복지영역의 중심축이 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의 중심기관단체인 사회복지협의회(Council on Social Welfare)와 지역사회복지관(Community Welfare Center)의 발전과정 속에서 나타난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영역의 가장 중심축의 역할을 수행해온 기관은 사회복지협의 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000년대가 되면서 사회복지협의회는 커다란 혼란에 접어들게 된다. 바로 명칭도 유사한 지역사회복지협의체(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가 등장하였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최근에는 광역시는 물론이고 일부 기초자치단체까지 지역복지재단의 건립이 증가하고 있다. 지역 내에 건립되고 있는 지역복지재단도 기존에 설립 운영되고 있는 사회복지협의회의 역할과 기능적인 측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는 점에서 사회복지협의회가 앞으로 지역사회에서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예측된다. 또한 지역사회복지의 최일선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도 최근에는 많은 수의 노인종합복지관이나 장애인종합복지관이 건립 운영되면서 일부지역에서는 업무의 중복으로 고민하고 있다. 때문에 보건복지부에서는 2010년도에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 연구용역을 의뢰해 사회복지시설의 다기능화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사회복지협의회는 이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설치 운영과, 일부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에 지역복지재단의 설립이 증가하는 상황 속에서 지역 내에서 중복되는 당면과제와 업무의 문제점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지역사회복지관도 2010년도에 진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시설의 다기능화에 관한 연구와 모델사업이 앞으로 어떻게 제도화되느냐에 따라 지금까지 가까운 지역에 건립 운영되던 노인종합복지관과 장애인종합복지관의 통합적인 사업진행의 방향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 등에 관한 내용들을 논해 보았다.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issues and future of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are the central part of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has been playing the key role in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in Korea. However, in 2000s,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faced a great challenge because 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which is similar in name to Council on Social Welfare, appeared. In metropolitan areas and local smaller communities, in addition, Local Welfare Foundation increased in number recently. There are expected great difficulties for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to work in the community because the newly being established Local Welfare Foundation have the similarity in their role and function. There are duplicate issues facing local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 in recent years, which provide welfare service prior to any other organization, because so many new welfare centers for the senior and the handicapped have been established and have become competitors in providing welfare service. Therefore,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requested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to do a research project on multi-functionaliz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2010. At this time,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urgent issues and problems the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faced while the Public and Private Joint Commiss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and many local welfare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in metropolitan areas and other local communities. In addition, this article trie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the integrated programs of social welfare centers for the senior and the handicapped, which will be dependant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and model program on multi-functionaliza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태영(Park, Tae-You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3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의 문헌과 실천현장의 상황들을 조망하여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을 도출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안함으로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복지학상의 지역사회복지 정체성과 현장에서의 지역사회복지 정체성을 동시에 검토하여 그 정체성을 주체성, 지역성, 종합성, 양면성으로 도출한 후, 이를 더욱 강화해 나가기 위한 방향으로 주민참가의 강화, 지역사회복지에서 다루는 이슈의 확대, 지역사회복지로의 실천 프레임워크의 전환, 지역사회복지 실천기술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이라는 큰 흐름을 타고 있는 시점에 지역사회복지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는 지역사회복지의 학문적 기반강화와 더불어 실천현장의 방향성 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iterature of community welfare and its conditions of practice fields to yield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and by suggesting directions of community welfare as a way of its reinforcement, an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 framework for community welfare of the country.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both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in the current literature and that of the fields at the same time to derive subjectivity, locality, integration, and ambidexterity from the identity, and then proposed strengthening of citizen participation, expanding the issues tended by community welfare, the switchover of practice framework to community welfare, development of practice skills for community welfare, etc. as directions to reinforce community welfare. In this moment with a ride on a bid stream of community welfare practice centered by the community, the discussion of the identity of community welfare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orientation for the practice fields as well as firming up of an academic framework for community welfare.

      • KCI등재

        지역복지거버넌스의 가능성과 한계

        류진석(Jin-Seok Ryu)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사회과학연구 Vol.22 No.4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as mechanism and process of problem solving in the field of welfare administration is being emphasized the new paradigm of community welfare. Network and co-operation between welfare organizations including local government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in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is characterized by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continuing interactions rooted in reciprocity and trust between network actors, use of welfare resources.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focusing on the Rainbow Project in Daejeon, which is new antipoverty program for poverty area regeneration and integrated welfare servi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factors of the Rainbow Project in Daejeon are outstanding leadership of welfare officer,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community welfare organizations, the establishment of welfare governance, etc. In order to activate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it needs pro-welfare policy of local government based on governance, participation of welfare organizations, building network and partnership among public and private sectors, empowerment of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and community residents.

      • KCI등재

        영유아보육사업에 관한 지역사회복지계획 -천안시를 중심으로-

        도미향 ( Mi Hyang Do ),윤지영 ( Ji Young Youn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8 아동복지연구 Vol.6 No.1

        영유아보육사업은 집 가까이에서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측면과 지역의 욕구를 반영한 다양한 보육서비스제공, 그리고 보육 정책의 시행기관이 자치단체라는 점에서 지역사회의 보육 현황 및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에 기초한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복지계획수립의 사례로서 「천안시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영유아보육서비스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향후 많은 시?군?구의 보육에 관한 지역복지계획수립 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는 지역복지시대에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복지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사회복지관계자들 사이에 확신시킬 수 있을 것이며, 지역복지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해 나갈 때 각자의 영역에서 적극적인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유아보육사업에 관한 지역사회계획의 분석 결과, 천안시는 보육시설이 가정과 민간에 집중되어 있다. 도농복합도시인 도시의 특성을 볼 때 정부지원 아동보육시설의 확충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본다. 또한 지역복지서비스가 저소득층 중심의 구빈적 성격이 아닌 일반 아동이 이용하는 보편적 서비스가 될 때 이용자의 권리의식은 비약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그리고 시?군?구 복지행정이 어떠한 민간 시설과 파트너쉽을 형성하는가가 지역주민의 만족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민간 시설도 지금보다 한층 높은 전문성으로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면 경쟁에서 도태될 것이다. 지역복지계획을 함께 수립하는 민관은 이러한 새로운 환경변화에 보다 적극적인 지역대응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In the young children welfare, the child care service must be provided child care service near home, as a self-governing body put in operation the child care service polity have to establish the community welfare plan based the present situation and demand of the child care. This study is going to form basic concept of establishing community welfare plan through theoretical and principle examination of community welfare plan. Moreover,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is study progresses case study on community welfare plan of the young children welfare of Cheonan City. The central government, which has tried to transfer public assistance centered social welfare to community centered social welfare, makes it obligatory that local government should develop community welfare plan in 2003 under the social welfare act. Local governments with little experience for community welfare plan have trouble with establishing community welfare plan influenced by public opinion. Through this study, social workers hear to establish community welfare plan reflected a local feature at a local welfare time, and expected to establish a constituency the common action in each field according to establish in the concrete community welfare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