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고대소설에서 ‘중복’의 서사론

        趙寬熙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49 No.-

        서사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중복repetition’의 문제는 동서고금을 통해 비평가들이 주목했던 주요 항목 가운데 하나였다. 청대의 소설 비평가critic들 역시 마찬가지였다. 중국 소설비평의 비조라 할 진성탄金聖嘆Jin Shengtan은 물론이고, 대표적인 평점가fiction commentator들인 장주포張竹坡Zhang Zhupo와 마오쭝강毛宗崗Mao Zonggang, 즈옌자이脂硯齋Zhi Yanzhai까지 ‘범to repeat’과 ‘피to avoid’의 문제를 언급했다. 이들은 ‘중복’, 곧 ‘범’의 문제를 소설 작자의 기량을 보여주는 하나의 척도criterion or measure로 보아, 훌륭한 작자일수록 ‘중복’을 피하지 않고 오히려 줄거리 구성이나 인물 형상을 빚어내는 데 적절하게 활용했다고 주장했다. 이들 가운데서도 ‘범피’에 관해 특히 심도 있는 논의를 진행했던 이들은 진성탄과 마오쭝강이었다. 진성탄의 ‘정범Major Repetition’, ‘약범Minor Repetition’ 논의도 정치精緻하지만exquisite,, 마오쭝강은 《삼국지연의》 전체에 대한 그의 비평 가운데 상당 부분을 ‘범피to repeat and avoid’에 할애할 정도로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러나 사실 이른바 ‘범필repetition’이 추구하는 바는 중국 고대소설 평점가들이 말했던대로 문장의 수사적인 차원에만 머무는 것은 아니다. 문학의 본령은 항용 독자들에게 새로운 정감을 제시하고 독자의 기대 지평을 뛰어넘는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에 있기도 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하는 것이다. 곧 유사이래 끝없이 만들어지는 이야기들이 항상 독자들의 기대를 배반하고 새로운 감각을 제공하기보다는 늘 뻔한 내용이 반복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은 게 사실이다. 지금도 수없이 만들어지는 일일 드라마 등을 보더라도 그 내용은 항상 거기서 거기인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판에 박은 드라마가 만들어지는 것은 앞서 말한 대로 창작상 불가피한 측면이 있어서이기도 하지만, 독자나 관객 또는 청중들이 그것을 원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곧 서사의 수용자는 새롭고novel 기이한queer 것도 추구하지만, 자신들에게 익숙한 그 무언가something familiar에 안주하고자 하는 양면적인 심리를 갖고 있는 것이다. 그 과정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일단 그와 같은 상투적인 이야기가 만들어지고 그것이 반복되면 하나의 관습Custom이 된다. 이미 하나의 관습이 된 서사는 추종자들에 의해 하나의 의식Ritual으로 승화하며, 이것이 극단적으로 나아가면 컬트Cult가 되는 것이다. 이야기의 ‘중복’ 또는 ‘반복’이야말로 이러한 과정을 주도해 가는 가장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 곧 이야기의 ‘익숙함familiarization’이야말로 ‘낯설게 하기’와 함께 소설 작자가 이야기를 만들어 가면서 채용하는 주요한 서사 전략 가운데 하나인 것이다. The problem that ‘repetition’ often appears in the narrative works is the major component that critics focused on through all times and places. The critics of Qing dynasty also were without exception. The founder of Chinese fiction criticism, Jin Shengtan金聖嘆, the representatives of fiction commentators, Zhang Zhupo and Mao Zonggang, and even Zhi Yanzhai commented the issues of ‘repeating犯’ and ‘avoiding避’. Because they regarded ‘repetition’, that is, ‘repeating’ as a measure showing the writer’s ability, they argued that great writers did not avoid ‘repetition’ and rather properly utilized it in organizing a plot or shaping features of characters. Among them, those who profoundly discussed ‘repeating’ and ‘avoiding’ were Jin Shengtan and Mao Zonggang. While Major Repetition正犯 and Minor Repetition略犯 that Jin Shengtan addressed were exquisite, a large part of Mao Zonggang’s criticism on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演義 reflected his high interest in ‘repeating’ and ‘avoiding’. However, in fact, the aim to employ ‘repetition’ was not only for rhetorical expressions as ancient fiction commentators said. The characteristic of literature presents readers with fresh emotion and defamiliarization different from readers’ expectation, but the opposite effect is produced, as well. Since the dawn of history, make-up stories had always gone against readers’ expectation and a cliche synopsis had been recursive rather than a different storyline. Even countless modern soap operas always have the same plot. Nevertheless, such stale soap operas are being made because not only do writers lack in creativity but readers or audience also want it. Namely, those who accept narration pursue ‘novel and queer’ things. Simultaneously, they have double-faced psychology to stick to something familiar. The process is schematized as follows. Once a cliche story is made and repeated, it becomes kind of custom. The customary narration is sublimed as a ritual by followers, and, in an extreme case, becomes a cult. The ‘redundancy’ or ‘repetition’ of a story plays a critical part in leading to such a process. In other words, familiarization of stories, along with defamiliarization, is one of the main narrative strategies that writers make use of when creating a story.

      • KCI등재

        반복적 부정사고의 가능한 발생 기원과 완화 요인

        이윤숙,황성훈 한국건강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6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re repetitive negative thinking (RNT), a cognitive vulnerability resulting from various pathologies, and looks at different strategies to alleviate the condition. Other studies have found that emotional inhibition is a dondition which precedes the occurrence of RNT, and mindfulness acts as mitigating facto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both the role of attachment beyond emotional suppression as the starting point of RNT, and studied which specific components of mindfulness, a multi-faceted construct, contribute to decrease RNT. Korean versions of the Intimacy Experience Scale in Adult Attachment, Korean versions of Self-differentiation Scale for Emotional Avoidance, Perseverative Thinking Questionnair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Self-assessment Anxiety Scale, and Experienc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a group 353 adults. As assumed, the indirect effect of avoidant attachment, leading to depression through emotional avoidance and RNT, was significa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ecentering upon this serial indirect effect measured as significant as well. Moreover, the same effects were observed in an analysis where anxiety was the dependent meas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f a person with avoidant attachment selects emotional avoidance as a control strategy, paradoxical activation of RNT can occur, leading to emotional disorder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at decentering may alleviate these pathological processes. Furthermore,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 show that decentering intervention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each variable may s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RNT and pathological conditions. Lastly,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다양한 병리의 인지적 취약성인 반복적 부정사고(Repetitive Negative Thinking: RNT)는 어디서 생기며, 어떻게 완화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했다. RNT의 발생에 선행하는 요인 중 하나가 정서적 억제이며, 마음챙김이 그 완화 요인으로 작용함이 이미 밝혀진 바 있다. 본 연구는 RNT의 기점으로서 정서의 차단과 억제를 넘어서 애착의 역할을 알아보고, 다측면적 개념인 마음챙김 중 어떤 성분이 RNT의 완화에 기여하는지를 명료화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애착 회피에서 출발해 정서 교류의 차단과 회피를 거치면서 발생한 RNT가 우울과 불안 등 정서장애에 이르는 과정을 마음챙김의 핵심성분인 탈중심화가 완화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했다. 성인 363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을 측정하는 한국판 친밀관계 경험척도(K-ECRS), 정서적 회피를 평가하는 한국판 자기분화 척도(K-DSI), 한국형 지속적 사고질문지(K-PTQ), 통합적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CES-D), 한국판 자가평가 불안척도(SAS), 그리고 탈중심화를 측정하는 경험질문지(EQ) 등을 실시했다. 그 결과, 가설대로 애착회피가 정서적 회피와 RNT를 순차적으로 경유해 우울에 이르는 직렬매개효과와, 이에 대한 탈중심화의 조절된 직렬매개효과가 각각 유의했다. 불안을 종속측정치로 한 분석에서도 동일한 효과가 모두 지지되었다. 이는 회피애착을 가진 사람이 조절전략으로 가까운 관계에서 정서적 표현과 교류를 차단하고 피하면, 역설적으로 내적인 사고 활동인 RNT가 활성화되어 우울, 불안 등 정서장애로 이어질 수 있으되, 이러한 병리화 과정을 탈중심화가 완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RNT가 병리로 이어지는 기제를 차단할 수 있는 탈중심화 개입과 각 변인에 대한 치료적 개입의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西周金文用字避複再研究

        劉志基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12 한자연구 Vol.0 No.7

        Scientific sampling principle to determine the material scope, complete Western zhou Dynasty Bronze script inscriptions and writing with the word heterogeneous quantitative analysis. Yin-Shang Dynasty Oracle bone script to avoid repetition of words for reference, reveal Western zhou Bronze script’s writing to avoid repetition feature: writing to avoid repetition means diversification, character element block surface changes become new heterogeneous manner, to avoid repetition frequency of keeping pace with the times.

      • KCI등재

        西周金文用字避複再研究

        劉志基·鄒燁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12 한자연구 Vol.0 No.7

        Scientific sampling principle to determine the material scope, complete Western zhou Dynasty Bronze script inscriptions and writing with the word heterogeneous quantitative analysis. Yin-Shang Dynasty Oracle bone script to avoid repetition of words for reference, reveal Western zhou Bronze script’s writing to avoid repetition feature: writing to avoid repetition means diversification, character element block surface changes become new heterogeneous manner, to avoid repetition frequency of keeping pace with the times.

      • KCI등재

        “去”與墓誌程式及修辭“避複”

        劉元春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2017 한자연구 Vol.0 No.17

        All elements evolution of Chinese was very intensive from Han to Tang dynasty. The interruptive interrelationship about the shapes, sounds and semantics of Chinese language and characters could be reconnected through the social material object. Stone inscriptions about ancient China are valuable material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culture. Basing on a large amount of stone inscriptions from Han to Tang dynasty, this paper straightened out the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Qu” (去) as preposition in ancient China. We discussed Writing style reflected in epitaphs and the avoidance of word‟s repetition in stone inscrip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