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 교육의 음악창작활동에 대한 현황 및 방향성 모색

        김강원 ( Kangwon Kim ) 세계음악학회 2023 음악과 문화 Vol.-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usic-creating activities in South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music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Korean music textbooks and music teachers’ practices and perceptions, and to discuss potential challenges and explore its future directions. The realm of music-creating activities had been more poorly presented than other musical activities in Korean school music textbooks and also rarely taught in the music classroom. The researcher discussed the phenomenon of this poor music-creating education and its potential reasons, challenges, and difficultie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music teachers’ understanding of music-creating activities and creativity should be developed as well as related musical competences through teacher education. Second, music teachers’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music-creating activities besides its importance is related to whether they teach them or not. Third,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as well as music teacher education should develop both a systematic curriculum and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romote music-creating activities. Lastly, Korean school music textbooks should incorporate a higher proportion of music-creating activities than present.

      • 초등 국악교육과정에 관한 분석연구

        원영실(YoungSil Won) 낭만음악사 2008 낭만음악 Vol.20 No.3

        국악은 학습자의 인지적, 정의적 발달 측면에서 보았을 때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 교과임에도 불구하고 현행 국악교육의 성과는 그리 낙관적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미 초등 음악교육과정에서 국악교육의 비중이 40%이상에 이르고 있지만 국악교육 자체에 대한 교수자의 동기는 매우 저조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국가의 통제를 강하게 받는 교육적 현실 속에서의 교육과정은 어찌 보면 그 자체가 해당 교과교육의 성패를 가르는 중대한 변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초등 국악교육과정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시도한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연구자는 이 글을 통하여 초등학교 국악교육과정에 관한 전반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글의 분석범위는 초등학교 전학년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이다. 분석방법 및 절차는 우선 각 학년별 국악교육의 내용을 음악교육의 하위영역인 가창, 기악, 감상, 창작, 이론 영역의 분포도에 따라 분석한 다음, 각각의 국악 제재곡들에 대한 세밀한 내용 분석을 하였고, 그 분석결과에 따라 향후 국악 교육의 개선방향에 관한 논의를 하였다. 이 글이 단초가 되어 초등 국악교육의 질적인 발전 방향에 관한 논의들이 더욱 활발해지기를 바라며, 나아가 초등과 중등 간의 연계성 있는 국악교육과정의 개발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Music is a very attractive and effective subject at the aspect of learner's cognitive & affective developments. But it does not obtain good result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t present. So I analyz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as the first step toward the solutions of these problems. This article covers the whole learning &instructional contents of state-designated textbooks for all grades(from 1st grade to 6th grade) and the teacher' manual. The method and process of this article is as follows. The first step, I analyzed the distribution chart on the ground of subordinate 5 scopes of music education(Vocal, Playing instrument, Listening the music & Audiation, Composition & Expression, Music theory). The second step, I made a detail content analysis about korean traditional music subject matters. The third step, I presented several issues for debate about improve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I hope that this article will be helpful for discussing qualitative improvements of the music curriculum in primary education and developing curriculum connected with the secondary education.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고찰

        정은경(Jung, Eun-Gyeo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7 No.37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해금 관련 내용들을 고찰해 보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범위는 2013년부터 사용하고 있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음악교과서 총 17종이며, 연구 내용과 방법은 우선, 음악과 교육과정의 해금 관련 내용들을 살펴보고, 두 번째는 음악교과서의 해금 내용 수록 현황을 점검하며, 세 번째는 해금과 관련된 지도내용들을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표현, 감상, 생활화의 내용 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금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는 출판사는 총 17종 가운데 세곳을 제외한 14종의 음악교과서에서 해금과 관련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었다. 특히 표현, 감상, 생활화의 영역 중에서 감상 영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은 표현 영역이었으며, 생활화 영역에서는 직접적으로 해금과 관련해 다루어진 내용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교과서에서 제시된 해금 관련 학습활동을 보면, 대부분 해금이 포함된 악기 편성을 알아보는 활동과 음악을 들으며 악기 음색을 구별하는 활동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하기 위한 관련 제재곡으로는 정악에서는 수제천과 가곡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고, 민속악에서는 시나위와 산조, 창작국악곡에서는 이성천 작곡의 ‘청소년을 위한 국악관현악 입문’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금의 영역별 지도내용은 표현 영역에서는 주로 노래 부르기와 악기 연주하기 활동이 제시되었는데, 특히 가곡과 관련한 노래 부르기 활동에서 가곡 연주에 해금이 편성되는지를 알아보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악기 연주하기 활동으로 해금이 제시된 음악교과서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해금 운지법에 대한 설명이 없어 현실적으로 수업이 가능할지 우려된다. 또한, 감상 영역에서는 주로 악곡의 특징과 국악사와 관련해 해금의 내용이 기술되어 있지만, 대부분 간단한 악보 소개와 더불어 음악을 감상하는 단순 활동이 많았으며, 국악사에 있어서는 고려 시대에 등장한 해금을 소개하는 내용이 매우 간단히 제시되어 있었다. 이상으로 현대에 들어 해금이 학교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학습내용과 학습활동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을 연구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nt related to haegeum -a traditional Korean string instrument- in secondary school music textbooks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ith 17 music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corresponding to the 2009 revision that have been in use since 2013, the study reviewed the content on haegeum, examined the inclusion of the haegeum-related content, and then analyzed instructional content regarding haegeum by content section (expression, appreciation, and practice in daily lif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n haegeum was contained in 14 among 17 music textbooks from different publishing companies. In particular, the appreciation was the largest part in the related content, followed by the expression section, and the practice in daily life secti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on haegeum. Seco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haegeum-related activities suggested in the textbooks, it is found that the most frequent activities were recognizing the instrumental organization that includes haegeum, and distinguishing the tones of the instrument while listening to music. As related musical pieces, Sujecheon and Gagok were used most frequently in court music, Sinawi and Sanjo in folk music, and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for Young Persons by Seong-cheon Lee in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as for instructional content of haegeum by each section, sing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were mainly presented in the expression section, and in particular, the activity of singing Gagok-related songs consisted largely of identifying whether haegeum is included in playing Gagok. Since music textbooks proposing haegeum for an activity of “playing an instrument” didn’t include any basic explanation on haegeum fingering, there is a concern about applying it to actual classes. In addition, although the appreciation section described haegeum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pieces and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music, it mainly contained simple activities of appreciating musical pieces with a brief introduction. Regarding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music, a very brief introduction was provided on haegeum that first appeared in the Koryo Dynasty. As a result, haegeum was found to be used in varied learning content and activities in the school curriculum.

      • KCI등재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전공 수업 실태 연구

        김경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급격하게 변화한 교육환경에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국악 전공 실태를 분석하고, 원격 국악 전공 수업 방법에 대한 방향성 등에 대한 논제 선정과 앞으 로 이뤄질 다양한 후속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4개의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에서 원격과 대면 전공 수업의 경험이 있는 교사 및 강사 37명 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 전공 수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플랫폼은 ZOOM이었는데 전체 응답자의 45%가 사용한다고 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음악 전용 플랫폼이 아닌 회의나 대화를 위해 구현된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원격 전공 수업은 시간과 장소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하며 개인 맞춤형 수업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원격 전공 수업은 통신장애와 통화 품질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들이 많아 수업 집중력 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자들은 변화된 환경에 발맞춰 다양한 원격 전공 수 업 교수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안전한 대면 수업을 위해 수업 공간 환기, 마스크 착용, 안전거리 유지, 가림막 설치와 같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실기 전공 수업은 장소와 시간의 효율적 사용, 개인 맞춤형 수업을 장점으로 응답한 반면 이론․작곡은 다양한 화면공유, 판서공유, 효과적인 자료 전송이 장점 이라 응답하였다. 또한, 다른 전공에 비해 타악전공 같은 경우 원격수업시 수업 공간을 찾아 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면수업에서 안전을 위한 방안으로 관악, 성악 전공은 가림막 활용을, 현악, 타악 전공은 마스크 착용, 안전거리 유지, 손소독과 같은 방법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악 전문 중등교육기관의 원격 전공 수업 실태를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원격 국악 전공 수업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distance learning for major classes at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has rapidly changed due to COVID-19, selects topics on the direction of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major classes in distance learning, and provides basic data for various follow-up studies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argeting 37 teachers and instructors who had experience in remote and face-to-face major classes at four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used platform for distance major classes was ZOOM, and 45% of the tota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using it. This finding confirmed that they were using a platform implemented for a meeting or conversation, rather than one dedicated to music.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distance major classes allowed efficient use of time and place and were effective for personalized classes. Third, distance major classes had many problems caused by communication failure and call quality,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 and students’ attention in class were low.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ers were using various teaching strategies for distance major classes in line with the changed environment. Fifth, for safe face-to-face classes, it was confirmed that they were actively taking measures such as ventilation of the classroom space, wearing a mask, maintaining a safe distance, and installing a screen. Lastly, they responded that the advantages for instrumental teaching were efficient use of place and time and personalized classes while those for theory and composition teaching were sharing various screens, sharing a whiteboard, and effective data transmission. Also, compared to other majors, it was confirmed that percussion majors had difficulty finding a class space during remote classes. As a measure for safety in face-to-face classes, wind and brass and vocal majors answered that they needed use of a screen while string and percussion majors answered that they needed wearing a mask, maintaining a safe distance, and use of hand sanitiz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remote major classes in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Korean music. Based o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various studies on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major classes in distance learning will be conducted.

      • KCI등재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의 ‘산조’ 내용 고찰

        육지용 ( Jiyong Yuk ),박혜리나 ( Haerina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산조’를 학습내용, 악보의 형태 및 내용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10종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2015 개정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감상영역에 ‘산조’가 수록된 교과서는 8종이었으며 둘째, 학습내용으로는 산조의 유래와 발전 양상, 산조의 유파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제시한 곳은 4-5종에 불과하였다. 셋째, 악보의 형태 및 내용을 살펴본 결과 오선보로 산조 악보를 제시한 교과서는 5종으로 악기별, 장단별로 차이가 났다. 또한 주법을 오기한 악보가 여전히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개정될 음악 교과서에서는 국악 연구자와 교육자들의 더욱 세심한 노력이 요구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analyze ‘sanjo’ included in high school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o learning contents, form and content of sheet music, etc. The study method was a literature study, 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ere analyzed for 10 kinds of textbooks.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8 textbooks with ‘sanjo’ in the appreciation area of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music textbook. Second, as the learning contents,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sanjo, and the school of sanjo were shown, and only 4-5 species were specifically suggest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rm and content of the score, there were 5 textbooks that presented the sanjo score as the staff score, which differed by instrument and rhyth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heet music with incorrect performance method was still used, and more meticulous effor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searchers and educators are required for the revised music textbook.

      • KCI등재

        중·고등학교의 국악교육 실태 분석

        곽인선,조성기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2 음악교육공학 Vol.- No.52

        본 연구는 음악 수업에서 국악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중·고등학교 현장의 실태와 음악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고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음악교사 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 내용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 교사들은 음악 수업에서 국악 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악 수업의 비중은 적게 운영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로는 학생들이 국악 교육을 원하지 않고 있으며, 국악에 관심과 흥미를 느끼지 않기 때문으로 밝혀졌다. 감상 영역의 국악 수업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창작과 생활화 영역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장구 반주로 가창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기악 수업에서도 장구를 가장 많이 다루었고 감상 수업에서는 판소리가 주요 제재로 다루어졌다. 수업에서 활용할 국악기나 국악 교육자료가 충분하지 못하다고 지적하고 있었으며, 대개는 유튜브나 국악 방송의 자료를 수업에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악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의 참여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국악 연수의 기회가 매우 적고 이에 대한 정보도 부족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