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우울 수준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일반가구와 저소득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규민 ( Kim Kyu Min ),김재학 ( Kim Jae Hak ),이현실 ( Rhee Hyun Sill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에 주목하여 일반가구와 저소득가구에서의 우울 수준과 영향요인을 비교ㆍ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일반가구와 저소득가구로 구분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는데 이는 기존 연구들에서 노인의 소득수준 차이가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의 발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확인되어 우울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차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 11~1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일반가구 1,428명, 저소득 가구 2,257명을 추출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일반화추정모형(GEE: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일반가구와 저소득가구 노인의 우울 영향요인은 서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일반가구에 비해 저소득가구의 우울 수준이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구 공통적으로 삶의 질이 노년기 우울을 예측하는 가장 주요한 지표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가구 유형과 특성을 고려한 통합적인 우울 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depression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in older adults from households of different income level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households into low-income and ordinary-income households. This is because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differences in income levels among older adults as factors that increase the incidence of mental illness, such as depression, which has led to the need for a discriminatory approach to organizing programs to prevent and manage depression. 1,428 ordinary-income households and 2,257 low-income households were sampled using the data used in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11-13th waves). Data were analyzed with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 Our analysi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depression between low-income households and ordinary-income households. Second, low-income households as compared to ordinary-income ones were at higher risk of suffering depression. Third,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of old-age depress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need and policy implications of an integrated management program were presented, taking into accoun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 KCI등재

        가구의 경제적 수준이 출산행위에 미치는 영향

        김선숙(Sun Suk Kim),백학영(Hak Young Baek) 한국사회정책학회 2014 한국사회정책 Vol.21 No.3

        본 연구는 가구의 경제적 여건, 즉 소득과 자산 등의 경제적 수준에 초점을 두고 첫째 자녀, 둘째 자녀, 셋째 이상 자녀 출산행위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소득계층별 차별화된 지원 정책 마련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경제적 수준과 여성의 출산행위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복지패널에 의해 2005년부터 2011년까지 7차에 걸쳐 측정된 종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차년도의 20세~49세의 기혼여성을 기준으로 매년 20세~49세의 연령대에 진입하는 기혼여성을 추가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녀, 둘째 자녀, 그리고 셋째 자녀 이상의 출산에서 각기 다른 영향요인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경제적 수준의 영향도 출생자녀의 순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which make people have the first child, second one and the third and more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focused on household`s economic status measured by its income and wealth. The study employed 7-year longitudinal data from 2005 to 2011 provided by Korea Welfare Panel,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household`s economic status and female childbirth decisions. The target group of the study was 20-49year-old married women which was constructed by adding 20-49 year-old married women of each panel year to the corresponding group of the first panel year. We found that different factors influenced women`s childbirth decision amo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and more children. Moreover the study has shown that the influences of household`s economic status were different from each childbirth decision according to its order. Base on these findings we proposed the need to deliver childbirth support policies differentiated by people`s economic str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