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단검사의학의 기원과 역사

        이현지,오승환,장철훈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7 Laboratory Medicine Online Vol.7 No.2

        진단검사의학은 의학적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장 먼저 사용된 검사는 소변검사로 환자의 진단에 소변의 양상을 이용하여 진단하였고, 이후 채취방법 및 검사법의 발전으로 20세기부터 검사실에서 정규검사로 사용되었다. 현미경의 발명으로 혈액학이 발전하여 혈액 내 성분의 검사들이 시행되었다. 17세기부터 임상화학검사의 요구가 있어왔고, 18세기부터는 환자 혈액을 이용한 화학검사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20세기에는 분광광도계의 발전으로 의학에서 사용하기 쉬운 검사법으로 화학검사가 시행되었다. 콜레라의 대유행 이후 많은 환자의 진단에 필요한 미생물 발견 및 검사법의 발전으로 검사실에서 미생물을 검출하는 데 기여하였다. 수혈의학은 혈액을 섭취하는 데서 시작하여 15세기 수혈이 시작되어 현재에는 의학의 치료요법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면역획득에 관한 가설이 18세기에 증명이 되면서 발전하여 다양한 면역측정법이 개발되었다. 19세기 멘델의 유전법칙의 발표 이후 20세기부터 발전된 현대 유전학의 기틀 위에 분자진단은 급속도로 발전하여 진단검사의학에서 현재 가장 발전하는 분야가 되었다. 이렇게 진단검사의학은 근간을 이루는 기초의학의 발전을 토대로 하나의 학문이 되었다. 인간 수명 100세를 앞둔 현 시대에 현대의학은 더욱 더 발전할 것이고, 그 발전의 길목에서 진단검사의학이 중요한 근거를 제시할 것이다. Medical diagnostics plays a significant role in clinical decisions. The first medical laboratory test to be developed was urine analysis, in which urine properties were analyzed for diagnosis. Urine analysis has been long used as a routine laboratory test that was improved with the development of sampling and test methods. As the field of hematology progressed with the invention of the microscope, blood tests were developed. Demands for tests based on clinical chemistry have existed since the 17th century, and research using patient blood began in the 18th century. In the 20th centur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pectrophotometer, chemical analyses were performed for diagnostic purposes. With the appearance of cholera outbreaks, the identification of microorganisms was necessary for patient diagnosis, and the development of specific test methods contributed to microorganism detection in the laboratory. Blood transfusion, which started with blood collection in the 15th century, is currently used as a therapeutic method in medicine. Moreover, once the hypothesis of acquired immunity was proven in the 18th century, various methods for measuring immunity were developed. Molecular diagnosis,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20th century after the presentation of Mendel’s Genetic Laws in the 19th century, developed rapidly and became the predominant field in medical laboratory diagnostics. Thus, medical laboratory technology became an academic field, with foundations based on basic sciences. Modern medicine will further progress thanks to medical advancements, leading to an extension of average human lifespan up to 100 years. Laboratory medicine will provide significant support for this development.

      • KCI등재

        고병원성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분자진단검사실 구축

        정태원 ( Tae Won Jung ),정재영 ( Jaeyoung Jung ),김성현 ( Sunghyun Kim ),김영권 ( Young-kwon Kim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21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3 No.2

        최근 SARS-CoV-2를 포함한 신종 및 변종 고병원성 바이러스의 확산과 이를 확진하기 위한 진단검사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분자유전검사실 구축 시 필요한 공간별 기능을 조사하고 임상병리사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설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검사과정 중 검체 전처리 및 핵산 증폭 전실 및 후실 분리와 함께 음압설비가 필요하며, 핵산 증폭 전 공간을 분리해 단방향 작업 흐름을 고려해 공간 구성을 하여야 한다. 검사 진행과정 중 검체 전처리, 핵산 증폭 전 단계에서 실 분리와 함께 음압시설이 필요하며, 공간구성은 핵산증폭 전실 및 후실 공간을 분리하고 검사진행 방향을 단방향 검사흐름(unidirectional work flow)을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안전관리 시설은 생물학적 안전기준 2등급으로 지정하고 그에 따른 안전보호구를 배치하고, 위험물을 취급하는 경우 생물학적 안전상자 내부에서 진행해야 하며, 전염성 오염물의 폐기를 위한 멸균기가 필요하다. 국내 분자 유전검사실 사례의 공통점은 검체 전처리공간을 -2.5 Pa 이하의 음압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검사과정상 전처리와 시약준비 공간에 대해서는 다른 공간에서 진행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검사과정의 세부흐름과 공간별 기능을 분리하고 안전관리 기준 적용한 검사실 구축 방향을 제시하였고, 임시시설과 결핵검사실을 변경하여 사용하는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자료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recent spread of novel and highly variant pathogenic viruses, including the coronavirus (SARS-CoV-2),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diagnostic testing for rapid confirmation. This has resulted in investigating the functional capability of each space, and preparing facility guidelines to secure the safety of medical technologists. During viral evaluations, there is a requirement of negative pressure facilities along with thread separation, during pre-treatment of samples and before nucleic acid amplification. Space composition therefore needs to be planned by considering unidirectional air flow. This classification of safety management facilities is designated as biosafety level 2,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is placed accordingly. In case of handling dangerous materials, they need to be carried out of the biosafety cabinet, and sterilizers are required for suitable disposal of infectious agents. A common feature of domestic laboratories is maintenance of the sample pre-treatment space at a negative pressure of -2.5 Pa or less, and arranging separate pre-treatment and reagent preparation spaces during the test process. We believe that the data generated in this study is meaningful, and offers an efficient direction and detailed flow for separation of the inspection process and space functions. Moreover, this study introduces construction of the laboratory by applying the safety management standards. Copyright Ⓒ 2021 The Korean Society f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ll rights reserved.

      • KCI등재

        SARS-CoV-2 감염의 진단에 이용되는 검사실 테스트의 비교

        이창근,Dongsup Lee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22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54 No.2

        COVID-19로 인한 높은 전염성과 호흡기 질환의 심각성 때문에, 전염의 확산을 더 잘 모니터링하고 예방하기 위해 경제적이고 정확한 검사가 필요하다. COVID-19 대유행의 초기 단계에서 SARS-CoV-2의 구조적 및 분자적 특성이 밝혀짐에 따라, 많은 COVID-19 진단 키트 제조업체들은 진단 테스트의 설계, 개발, 검증 및 구현에 적극적으로 투자했다. 현재, SARS-CoV-2 에 대한 진단검사로써 신속한 항원, 특정 IgG 및 IgM 항체검사를 위한 면역 혈청학적 검사 그리고 분자 진단 검사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검증된 기술이다. 분자 진단 분석법은 SARS-CoV-2 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는 개인에서 바이러스 RNA를 직접 검출하기 위한 gold standard이다. 항체 기반 혈청 검사는 지역사회에서 COVID-19 유병률을 결정하고 면역력을 획득한 개인을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간접 검사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판되고 FDA가 승인한 분자 및 면역학적 진단 측정을 평가하여 성능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