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계학습 분류기의 예측확률과 만장일치를 이용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

        천민아 ( Min-ah Cheon ),김창현 ( Chang-hyun Kim ),김재훈 ( Jae-hoon Kim ),노은희 ( Eun-hee Noh ),성경희 ( Kyung-hee Sung ),송미영 ( Mi-young S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5 No.11

        최근 정보화 사회에서는 단순 암기보다는 문제 해결 능력과 종합적인 사고력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인재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도 학생들의 종합적인 사고력을 판단할 수 있는 서답형 문항을 늘리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그러나 서답형 문항의 경우 채점자의 주관에 의존하여 채점이 진행되기 때문에, 채점 결과의 일관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외에서는 기계학습을 이용한 자동채점 시스템을 채점 도구로 사용하고 있다. 한국어는 영어와 언어학적으로 다른 분류에 속하므로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자동채점 시스템을 한국어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한국어 체계에 맞는 자동채점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 분류기의 예측확률과 만장일치 방법을 사용한 한국어 서답형 문항 자동채점 시스템을 소개하고, 자동채점 시스템을 이용한 채점 결과와 교과전문가의 채점 결과를 비교하여 자동채점 시스템의 실용성을 검증한다. 본 논문의 실험을 위해 2014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국어, 사회, 과학 교과의 서답형 문항을 사용했다. 평가 척도로 피어슨 상관계수와 카파계수를 사용했다. 채점자가 개입했을 때와 개입하지 않았을 때의 상관계수 모두 0.7 이상으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자동채점 시스템이 교과 전문가가 채점한 결과와 유사한 방향으로 답안에 점수를 부여한 것이므로 자동채점 시스템을 채점 보조도구로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mergent information society requires the talent for creative thinking based on problem-solving skills and comprehensive thinking rather than simple memorization. Therefore, the Korean curriculum has also changed into the direction of the creative thinking through increasing short-answer questions that can determine the overall thinking of the students. However, their scoring results are a little bit inconsistency because scoring short-answer questions depends on the subjective scoring of human raters. In order to alleviate this point, an automated scoring system using a machine learning has been used as a scoring tool in overseas. Linguistically, Korean and English is totally different in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s. Thus, the automated scoring system used in English cannot be applied to Korean. In this paper, we introduce an automated scoring system for Korean short-answer questions using predictability and unanimity. We also verify the practicality of the automatic scoring system throug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esults of the automated scoring system and those of human raters. In the experiment of this paper, the proposed system is evaluated for constructed-response items of Korean language, social studies, and science i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he analysis was use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Kappa coefficient. Results of the experiment had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t 0.7 or higher. Thus, the scoring results of the proposed scoring system are similar to those of human raters. Therefore, the automated scoring system should be found to be useful as a scoring tool.

      • KCI등재후보

        중학생 영작문 실력 향상을 위한 자동 문법 채점 시스템 구축

        김지은,이공주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7 No.5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ed English scoring system designed to help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Korean-speaking learners in particular. The system is developed to help the 3rd grade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improve their English grammar skills. Without human's efforts, the system identifies grammar errors in English sentences, provides feedback on the detected errors, and scores the sentences. Detecting grammar errors in the system requires implementing a special type of rules in addition to the rules to parse grammatical sentences. Error production rules are implemented to analyze ungrammatical sentences and recognize syntactic errors. The rules are collected from the junior high school textbooks and real student test data. By firing those rules, the errors are detected followed by setting corresponding error flags, and the system continues the parsing process without a failure. As the final step of the process, the system scores the student sentences based on the errors detected. The system is evaluated with real English test data produced by the students and the answers provided by human teachers. 본 논문에서는 중학생이 작성한 영작문에서 자동으로 문법오류를 검색하고 채점하는 시스템을 소개한다. 학생의 문장이 입력되면 형태소 및 구문 분석을 하고 오류를 검색한다. 문장 분석이 완료되면 교사들이 제공한 채점기준에 의해 자동으로 채점한다. 문법오류를 탐지하기 위해서 정문을 처리하는 규칙은 물론 오류를 포함하고 있는 문장도 처리하는 규칙을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영어를 제2외국어로 사용하는 학생들이 한국어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시키는 영어 구문오류를 집중적으로 처리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이 영작문에 대한 자동 채점은 학생들에게 오류에 대한 즉각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여 스스로 자신의 영어실력을 모니터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은 언제 어디서나 혼자서 영작문 공부를 할 수 있으며, 이는 학생들의 실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