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삼국유사』 ‘향득 사지’조로 본 신라인의 효행

        김수태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9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

        이 글에서는 신라 중대말인 경덕왕대에 있은 향득의 효행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삼국유사』 효선편은 웅천주의 향득이 아버지가 굶어죽게 되어 할고, 즉 넓적다리 살을 베어 봉양하자 경덕왕이 이를 포상하였다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이것은 할고 효행의 첫 사례이다. 이후 신라 하대까지 할고 효행을 찾아볼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지방인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어 주목된다. 특히 향득의 효행에 대한 국가의 표창도 첫 사례이다. 이때 할고 효행이 유교의 효행으로 받아들이게 되기까지는 상당한 논란이 있었다. 할고는 본래 유교 윤리에 위배되는 것이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할고 자체가 유교적 효행이었기 때문에 포상을 한 것이 아니라, 그 행위에 대한 포상이 국가의 정치적 목적에 의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유교적 효행이 된 것이다. 즉 국가가 향득과 같은 지방인이 보여준 행위 저변에 깔린 효심을 주목하였던 것이다. 지금까지 『삼국유사』 효선편에 포함되어 있는 향득의 효행 기사는 불교와 관련된 이야기가 전혀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할고 효행은 본래 불교와 깊은 관련이 있었던 이다. 자기의 몸은 버리는 사신 공양과 관련된 것이었다. 여기에서 일연이 향득의 효행을 『삼국유사』에 기록한 이유를 살펴볼 수 있다. 할고 효행이 국가로부터 포상을 받으면서 유교적 효행이 되었지만, 실제로는 그 기원이 불교에서 비롯된 것임을 말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렇다면 향득의 효행 기사는 『삼국유사』 효선편의 설정목적과 마찬가지로 효(유교)와 선(불교)의 상호관련성을 잘 보여준다고 하겠다. 효선편의 다른 내용들이 모두 어머니에 대한 효행인 것과는 달리 아버지에 대한 효행으로서 유일한 사례인 향득의 할고 효행이 기록된 이유도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a few issues that are related to the filial piety of Hyangdeuk, who lived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in the late Middle Period of Silla. The Chapter of Filial Piety and Goodness of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records that Hyangdeuk from Ungcheon Province cut his thigh and offered flesh to his father when he was almost starving to death and that he was rewarded for his pious behavior by King Gyeongdeok. This is the first account of such filial piety involving cutting one's thigh to feed one's parent. Similar filial behavior continued to appear until the Late Silla period. It is noteworthy that all these pious offsprings were from the provincial areas. In particular, the Hyangdeuk's behavior was the first case of the royal praise and reward. There had been much controversy until the behavior of cutting one's thigh to feed one's parent was accepted as an action of Confucian filial piety, since cutting one's body was against the ethics of Confucianism. Thus, his action was rewarded not because his action of cutting his body was considered to be an action of Confucian filial piety, but because rewarding his action was in harmony with the political goals of the state at the time. In other words, the state took notice of the pious mind behind those actions of such local people like Hyangdeuk. So far, the account of filial piety of Hyangdeuk in the Chapter of Filial Piety and Goodness of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ad been understood as being completely unrelated to Buddhism at all. However, the pious behavior of cutting one's thigh appears to be closely related to Buddhism. This behavior is similar to the giving up one's body and offering it as alms. This is probably the reason that Monk Ilyeon recorded the pious action of Hyangdeuk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While the pious action of offering one's thigh was rewarded by the state and became a Confucian pious action, he wanted to tell that its origin was as a matter of fact in Buddhism. Therefore, the account of pious behavior of Hyangdeuk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demonstrates the close interrelation between the filial piety of Confucianism and goodness of Buddhism as seen in the purpose of creating the Chapter of Filial Piety and Goodness. It may also be the reason why Hyangdeuk's action was included here, although all the other accounts in this chapter deal with people's pious behaviors toward their mothers and his action was the only example toward one's father.

      • KCI등재

        신라 경덕왕대 백제 고지 정책의 시행과 그 배경

        金康勳 ( Kim Kang-hu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4 No.-

        이 글은 신라 경덕왕대 백제 고지 지역을 대상으로 시행된 정책을 검토하고, 그것의 시행 배경을 신라인의 발해 인식과 관련하여 살펴본 것이다. 신라 지배층은 발해에 대해 말갈이 주도하여 건국한 국가로 인식하였는데, 752년 김태렴이 이끈 대일 사절단이 귀국하면서 발해를 고구려계승국으로 파악하는 인식이 왕경에 확대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발해에서 시작하여 일본을 거쳐 신라로 유입된 것이다. 신라는 사회경제적으로 열악한 처지에 있던 백제 고지 지역민이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받아 백제부흥의식을 표출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었다. 웅천주정에 장군 3인을 두어 반란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체계를 갖추는 동시에 반란을 억제하는 효과를 노렸으며, 효행을 실천한 향덕을 포상하여 국왕에 대한 충성을 유도하였다. 경덕왕은 통제책과 회유책을 병행하여 백제 고지 지역을 안정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politics implemented toward old territory of Baekje in King Gyeongdeok era and examines its background through cognition on Balhae in Silla. Silla's ruling class recognized Balhae as a country founded by Malgal. However, it changed in 752 when Kim Tae-ryeom Mission returned from Japan. Cognition that Balhae is successor of Goguryeo had rapidly spread in capital. This cognition began with Balhae and had flowed Silla via Japan. The people of the old territory of Baekje were in poor socioeconomic conditions. Silla tried to suppress they have consciousness of succeeding Baekje by the information of 'Balhae is successor of Goguryeo'. King Gyeongdeok had implemented control and conciliation policies. He announced the establishment of Janggun to counter a revolt in Woongcheonju-Jeong. In order to induce loyalty to the king, he rewarded Hyangdeuk handsomely for filial p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