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 한문교육의 방향과 한국의 역할

        심경호 동방한문학회 2018 東方漢文學 Vol.0 No.74

        This article surveys the current global directions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with several cases including Chin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nd suggests the role of Korea. The policies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in East Asia countries in modern period will be summarized and also the curricula and textbooks, dictionaries of each countries concerned including China, Japan, Taiwan, South and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ill be and also surveyed. It is at the moment estimated tha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in East Asia countries is in decrease in spite of their constant political efforts in each countries. It is needed to reconsider whether the current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in Korea reflects the true picture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its traditional methodologies. At last this article suggests the several henceforth tasks: (1) the examination of historical reality of the spheres of Sino-Korean literature, (2) the efforts to keep up with the global trend of classical studies, (3) the dissemination of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literature for the diffusion of Korean studies, (4) the aggressive strategies to meet the academic requests from the countries abroad. 본고는 현재 한국의 한문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넓은 시야에서 성찰하는 의미에서 해외 몇몇 국가의 사례를 토대로 ‘세계 한문교육의 방향’을 진단하고 ‘한국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곧, 중국․대만․일본․북한․한국 등 근세 이후 동아시아 각국의 한자교육 정책을 요약하고 중국․대만․일본․미국에서의 한자한문의 교과과정 및 교과서, 한자 사전 등의 한자한문교육 관련 제 상황을 개괄하였다. 동아시아의 각 지역, 각 국가는 한자교육에 일정한 관심을 쏟고 있지만 한자한문 교육은 차츰 감쇄하는 추세이다. 한국의 한자한문교육은 한국한문의 실상과 한국한문 연구의 전통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 현재의 세계 고전 연구 추세에 라인-업하고 있는가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 본고는 한국의 한자한문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1) 한국한문의 역사적 실상에 대한 고찰 필요, (2) 세계 한자한문 고전연구의 추세에 라인-업을 하기 위한 숙려 필요, (3) 한국학의 확산을 위한 한자한문 교육의 해외 보급, (4) 해외로부터의 학적 요구에 부응하려는 자세 전환 등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광복 이후 1970년대까지의 한글전용 논쟁과 한문교육(漢文敎育)의 위상(位相)

        이현일 ( Lee Hyun-il ) 한국한문교육학회 2021 한문교육논집 Vol.57 No.-

        올해는 1981년에 설립된 韓國漢文敎育學會가 創立 40주년을 맞이한 해이다. 학회 설립의 기반인 각 대학의 漢文敎育科 중에는 조만간 학과 창립 50주년을 맞이하는 곳도 있다. 그러나 중등교육에서 漢文科의 位相은 상당히 嚴酷한 현실에 처해 있다. 이런 시점에 그 始源으로 돌아가 당시 한국 사회에서 우리 교과에 기대했던 바를 다시 되짚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근대전환기에 日帝의 식민지로 전락하여 급기야 말과 글을 빼앗겼던 우리 민족은 光復과 더불어 신속하게 일본어를 몰아내고 한국어를 부활시켰다. 한국과 북한이 재빨리 언어 독립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식민지 시기부터 한국어의 문법 체계를 체계화하고, 표준어를 査定하고, 맞춤법을 통일시키고, 한국어 사전을 편찬하는 등, 말글의 독립을 위해서 목숨까지 바쳐가며 헌신한 학자들의 노력이 중요한 주춧돌이 되었으며, 이들의 학문적 연원은 대체로 한힌샘 周時經(1876∼1914)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광복 이후 남과 북에서 한글전용론을 앞장서 주장한 학자들은 대체로 周時經을 淵源으로 하며, 광복 이후 남한에서 모든 논쟁은 崔鉉培(1894∼1970)가 軍政廳 學務局의 編修局長에 취임하여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교과서 편찬을 주도하면서 교과서의 한글 전용 및 가로쓰기와 풀어쓰기를 시도하면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최현배의 주장과 이에 반대하는 趙潤濟(1904∼1976)의 주장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검토해 보았다. 그 뒤로도 漢字 폐지 여부를 두고 국어학자와 다른 분야의 지식인들은 물론 일반 시민들 사이에서도 지속적인 갈등이 벌어졌고, 정권에 따라서는 이 문제를 정권의 정통성을 부각시키는 데 이용하려 하기도 하였다. 특히 1969년 三選改憲과 1972년 維新憲法을 관철시켰던 박정희 정부에서는 ‘한글전용 5개년 계획’이라는 稀有의 정책을 강력하게 집행하면서도, 그 반대 여론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어, 漢文科를 국어과에서 독립시키고 중등 교육에서 필수 교과로 자리 잡게 하였고, 이에 따라 漢文敎育科가 창설되었다. 곧 한글전용과 중등학교에서의 漢文 교육은 애초부터 相補的 관계로 설정되었던 것이다. 또 중등교육에서 漢文科를 독립시키고, 대학에 漢文學科를 창설하고, 동양고전과 우리 한문학 유산을 전문적으로 번역시키고, 이런 과업을 수행해야 하는 漢學者를 우대해야 한다는 의론이 한글전용을 주장하는 학자들로부터 먼저 나왔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무리 부분에서는 한글전용이 돌이킬 수 없는 대세가 된 지금의 시점에서 그 부작용을 최소화하려면, 중ㆍ고등학교에서 漢文科의 위상이 강화되어야 함을 주장했고, 마지막으로 “한글=국어”라는 뿌리 깊고 폭 넓은 오해에 대해서 변증하였다. This year is the fortieth anniversary of Society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e foundation of this society were composed of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mong them some department will be their fiftieth anniversary in two years later. But the develop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in Korea has been mediocre. In the transition period of modern society, Korea people were deprived of Korean speech and language by the colonialist, Japan. As soon as the liberation in 1945, the Korean revived the language and derived out the Japanese. During the crucial Colonial days the Korean Scholars systematized the Korean grammar, screened standard language, unified spelling, edited the dictionary of Korean laguage, in spite of their prisoning. After liberation, the advocate of using Hangul exclusively was followers of Ju Si-keyung. Representative hangul advocate was Choi Hyun-bae who supervised editing textbook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n and Citizenship. At that time, he attempted to write using Hangul exclusively. This paper reviews Choi Hyun-bae’s assertion and the oppositionist Jo Yoon-jae’s assertion. Choi’s assertion is well described in his Revolution of Letters And opposition party, Jo Yoon-jae’s The Immidiate Problem of Educating the Korean Language was representavie. Under the President Park Jeong-hee’s government, he announced 5 year plan of Hangul only use. And he make Chines Classics and Sion- Korean literature as compulsory subject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let establish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angul use only policy and Chines Classics and Sion-Korean literature education were not hostile, but complementary.

      • KCI등재

        대학 교육과 한문교육의 전망

        진재교 ( Jin Jae-kyo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7 한문교육논집 Vol.48 No.-

        대학교육과 한문(한문학 포함)의 문제는 대학 안과 밖의 숱한 현실적 난제와 연결되어 있다. 이 점에서 한문교육의 난제를 위한 근원적 해결책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시각과 방법으로 이 문제를 헤쳐 나갈 것인지 고민하고 실천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한문학 연구자와 학교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짊어져야 할 몫이다. 그리고 4차 산업 혁명의 시대가 오더라도 인간의 인성과 가치와 가장 밀접한 한문은 어떤 것도 대체할 수 없다는 점에서 경쟁력을 지닌다. 대학 내외에서 한문이 침체될수록 이 난관을 극복할 수밖에 없는 것 또한 우리 연구자가 감내할 수밖에 없다. The problems of university education and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re connected with many real problems in and out of the university. In this sense, the root solution for the difficulties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not realistic. In this situation,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Sino-Korean literature Chinese researcher and the teachers in the school field to think about what vision and method to overcome this problem and prepare a plan of action. And even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hinese characters most closely related to human personality and values are competitive in that nothing can replace them. Our researchers can not help but be forced to overcome this difficulty as the Chinese language decline from inside and outside the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