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척박성 담론`의 재검토

        김석준 ( Kim Suk-joo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7 탐라문화 Vol.0 No.54

        이 글은 제주도의 척박성 담론의 실체와 문제, 형성 배경 등을 검토하고 있다. 탐색적이고 시론적 수준이지만, 제시된 반론과 반증들은 이 섬 제주가 결코 척박했다고 할 수 없으며 현재도 그럴 수 있음을 말해준다. 오히려 풍요의 섬 제주라고 불러야 더 정확하다는 주장이다. 그리하여 척박하지만 아름다운 섬 제주가 아닌 풍요롭고 아름다운 섬 제주를 위한 담론 형성 작업과 연구들이 새로이 시도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결론으로 척박성 담론에 기댄 개발주의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이른바 풍요의 담론에 의한 새로운 생태주의 패러다임을 구축해나가자고 제안한다. The exploratory approach that this paper suggests is that the discourse around Jeju`s natural resources in terms of economic productivity should be reconsidered. In particular, the focus is on the sterility discourse. It might be argued that, even if not having in-depth theoretical support, empirical and historical evidences demonstrate that Jeju Island was never sterile as much as we have commonsensically thought. In this sense, it could be hypothetically argued that the Jeju Island is affluent rather than sterile. Criticizing the sterility discourse and developing an alternative discourse through which we can newly recognize the Jeju Island can represent it as affluent and beautiful island. In reality, since the sterility discourse has provided the excuse for development, a critical reconsideration of it can give a chance for a new ecological paradigm inspired by the affluence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