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제주도 `척박성 담론`의 재검토 = Reconsidering the `Sterility Discourse` on Jeju Island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제주도의 척박성 담론의 실체와 문제, 형성 배경 등을 검토하고 있다. 탐색적이고 시론적 수준이지만, 제시된 반론과 반증들은 이 섬 제주가 결코 척박했다고 할 수 없으며 현재도 ...

      이 글은 제주도의 척박성 담론의 실체와 문제, 형성 배경 등을 검토하고 있다. 탐색적이고 시론적 수준이지만, 제시된 반론과 반증들은 이 섬 제주가 결코 척박했다고 할 수 없으며 현재도 그럴 수 있음을 말해준다. 오히려 풍요의 섬 제주라고 불러야 더 정확하다는 주장이다. 그리하여 척박하지만 아름다운 섬 제주가 아닌 풍요롭고 아름다운 섬 제주를 위한 담론 형성 작업과 연구들이 새로이 시도되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결론으로 척박성 담론에 기댄 개발주의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이른바 풍요의 담론에 의한 새로운 생태주의 패러다임을 구축해나가자고 제안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ploratory approach that this paper suggests is that the discourse around Jeju`s natural resources in terms of economic productivity should be reconsidered. In particular, the focus is on the sterility discourse. It might be argued that, even if ...

      The exploratory approach that this paper suggests is that the discourse around Jeju`s natural resources in terms of economic productivity should be reconsidered. In particular, the focus is on the sterility discourse. It might be argued that, even if not having in-depth theoretical support, empirical and historical evidences demonstrate that Jeju Island was never sterile as much as we have commonsensically thought. In this sense, it could be hypothetically argued that the Jeju Island is affluent rather than sterile. Criticizing the sterility discourse and developing an alternative discourse through which we can newly recognize the Jeju Island can represent it as affluent and beautiful island. In reality, since the sterility discourse has provided the excuse for development, a critical reconsideration of it can give a chance for a new ecological paradigm inspired by the affluence discour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완주, "흙, 아는 만큼 베푼다" 들녘 2012

      2 김도형, "한말 친일파의 등장과 문명개화론" 역사문제연구소 1993

      3 정덕영, "토양과 생활"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4 조성식, "척박함... , ‘척박(瘠薄)담론’의 재검토"

      5 권인혁, "조선후기 제주지역의 수취체제와 주민의 경제생활"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 : 1998

      6 조성윤, "조선시대 제주도 인구의 변화 추이"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6 : 2005

      7 김동전, "제주지역 목장사와 목축문화"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8 현혜경, "제주지역 ‘우영’의 전통과 현재적 지평에 대한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39) : 413-468, 2011

      9 송성대, "제주인의 해민정신" 제주문화 1996

      10 김태옥, "제주인, 제주도 정신" 75 : 1979

      1 이완주, "흙, 아는 만큼 베푼다" 들녘 2012

      2 김도형, "한말 친일파의 등장과 문명개화론" 역사문제연구소 1993

      3 정덕영, "토양과 생활" 충남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4 조성식, "척박함... , ‘척박(瘠薄)담론’의 재검토"

      5 권인혁, "조선후기 제주지역의 수취체제와 주민의 경제생활"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9 : 1998

      6 조성윤, "조선시대 제주도 인구의 변화 추이"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6 : 2005

      7 김동전, "제주지역 목장사와 목축문화"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8 현혜경, "제주지역 ‘우영’의 전통과 현재적 지평에 대한 연구" 탐라문화연구원 (39) : 413-468, 2011

      9 송성대, "제주인의 해민정신" 제주문화 1996

      10 김태옥, "제주인, 제주도 정신" 75 : 1979

      11 제민일보곶자왈특별취재반, "제주의 허파 곶자왈" 도서출판 아트21 2004

      12 김문홍, "제주식물도감" 제주도 1992

      13 최병길, "제주섬 정체성 변화에 관한 비교 연구" 제주학회 15 : 1998

      14 신행철, "제주사회와 제주인" 제주대학교 출판부 2004

      15 이상철, "제주사회론2" 한울 1998

      16 조성윤, "제주사회론2" 한울 1998

      17 이창기, "제주사회론" 한울 1995

      18 이상철, "제주사회론" 한울 1995

      19 강문규, "제주문화의 수수께끼" 도서출판 각 2006

      20 제주도, "제주도지(1), (2), (3)" 제주도 1993

      21 김석준, "제주도의 기후 생태학적 변화와 사회문화변동"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6 : 2016

      22 제주도, "제주도민의 삼무정신" 제주도 1986

      23 양정필, "제주도 척박성 담론 토론, In ‘척박(瘠薄)’ 담론의 재검"

      24 김항원, "제주도 주민의 정체성" 제주대학교 출판부 1998

      25 고석형, "제주도 곶자왈의 토양특성" 한국환경농학회 2015

      26 "제주곶자왈도립공원 홈페이지"

      27 김치완, "제주-섬 정체성과 ‘척박성’ 담론, In ‘척박(瘠薄)’ 담론의 재검토"

      28 현해남, "제주 토양 환경을 알면 제주의 사회문화를 안다"

      29 허남춘, "제주 신화 속의 해양교류와 해양문화" 탐라문화연구원 (52) : 7-41, 2016

      30 강만익, "일제시기 목장조합 연구" 경인문화사 2015

      31 최열,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돌베개 2014

      32 김찬영, "부탄의 관광과 관광정책에 관한 고찰 - 부탄관광과 제주관광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관광산업학회 (34) : 163-181, 2012

      33 정광중, "곶자왈과 제주인의" 제주교육대학교 33 : 2004

      34 윤용택, "곶, 자왈, 곶자왈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제주학회 41 : 2014

      35 "고희영 감독, 물숨(Breathing Under Water), 2016년 9월 29일 개봉"

      36 김일우, "고려시대 탐라사 연구" 신서원 2000

      37 강만익, "고려말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 탐라문화연구원 (52) : 67-106, 2016

      38 진영일, "고대 중세 제주 역사 탐색" 보고사 2008

      39 김경주, "고고자료(考古資料)로 살펴 본 원(元)과 탐라(耽羅)" 탐라문화연구원 (52) : 129-163, 2016

      40 강정효, "강정효의 한라산 이야기(25): 사라진 아름드리 나무들"

      41 제주시 우당도서관, "朝鮮의 寶庫濟州島案內 (1905)" 제주시 우당도서관 1905

      42 박찬식, "19세기 제주 지역 진상의 실태"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16 : 1996

      43 양진석, "18, 19세기 제주의 수취제도와 특징"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4 : 2004

      44 한금순, "17세기 제주도 여정(女丁)의 성격-군역(軍役) 부담에 대한 고찰-" 탐라문화연구원 (53) : 47-82, 2016

      45 이영권, "15∼17세기 제주유민의 사회사적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05-1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AMLA CULTURAL INSTITUTE -> Research Institute for the Tamla Culture KCI등재
      2017-06-1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탐라문화연구소 -> 탐라문화연구원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4 0.62 0.91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