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활동역량 및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신수경(Shin, Su-kyung),최낙천(Choi, nag-ch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0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 자원봉사활동이 청소년 활동역량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다양한 자원봉사활동의 참여 유도 및 지도방안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있다. 본 연구는 G시에 위치한 N, S, K 고등학교 3학년 재학 중이며 유아교육과 진학을 희망하는 고등학생 13명을 대상으로 2016년 7월 4일부터 9월 24일까지 12주동안 1주에 3시간씩 총 36시간을 유아교육학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육학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 실시 전․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은 청소년 활동역량의 하위요인 중 ‘자아역량’, ‘문제해결역량’, ‘성취동기역량’, ‘대인관계역량’, ‘리더쉽역량’,‘시민성역량’을 비롯하여 전체적인 청소년 활동역량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학 전공연계를 통한 고등학생의 자원봉사활동은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다양한 활동영역에서의 참여 유도 및 지도방안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lies in analyzing the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 youth activity capacity and career maturity degree through the link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and utilizing it as basic data for inducing participation of various youth volunteer activities of youth and building guidance plan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13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3rd grade of N, S, K high schools located in G city and want to go on to study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was conducted from July 4 to September 24, 2016 with the total number of 48 hours of volunteer activities link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for 12 weeks, 3 hours a session per week. The results of analyzing collected data using the matching sample t‐test are as follows. First, the volunteer activities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linka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overall youth activity capabilities, including sub‐factors of youth activity capabilities such as ‘self competence , ’problem solving ability , ‘achievement motive competence , ‘interpersonal competence , ‘leadership competency, and ‘citizenship competence.’ Second, high school students volunteer activities through the linkage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degree.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ducing participation and guidance in various activity areas of youth volunteer activities.

      • KCI등재

        마을교육공동체 참여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자원연계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경험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현순,이희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effect of the distributed leadership, perceived by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working at education project participation schools that link Maeul educational community by mediating affection experience, and sense of community, upon resource-linking activity. The subjects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are 1,031 teachers work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carrying out an education project in which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must be closely linked, such as the Maeul educational community and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All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program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tools,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was reaffirmed through bootstrapping of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ed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affection experience,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and that affection experience h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while sense of community has a positive effect on resource-linking activity. Second, it is found that affection experien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Third, it is confirmed that sense of community has th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Fourth, it is revealed that affection experience and sense of community have the effectiveness of dual-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conclusions of the follow-up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irical research variables by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study of Maeul educational community which weighed on the qualitative aspect. Second, this study examined distributed leadership, affection experience,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recognized by teachers as important factors for activation of Maeul educational community. However,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factors driving the Maeul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more diverse research methods. Third, in order to enhance the participation of education projects that teachers need to be closely linked with the school-community as in the Maeul educational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teachers, to explore the role of changing teachers, and necessary to expand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for the integr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교육공동체 참여학교에 근무하는 초·중등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이 정서경험과지역공동체 의식을 매개로 자원연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유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최종 분석에 포함된연구대상은 마을교육공동체에 참여하는 초·중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1,031명이다. 모든 자료 분석은 SPSS 24.0과AMO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수행하였고,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접효과·간접효과의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분산적 리더십은 정서경험, 지역공동체의식과 자원연계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정서경험은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에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지역공동체 의식은 자원연계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서경험은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지역공동체 의식은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확인하였다. 넷째, 정서경험과 지역공동체 의식은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관계에서 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성적 측면에 무게를 두었던 마을교육공동체연구를 정량적으로 접근하여 실증적인 연구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교사가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 정서경험,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을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살펴보았으나, 좀 더 다양한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추진요인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마을교육공동체와 같이 교사가 학교-지역사회와의 긴밀한 연계성이 필요한 교육사업의 참여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인식제고, 변화하는 교사의 역할 탐색, 그리고 학교현장의 평생학습과 마을교육공동체 접목을 위한 학문적·실천적 연구 확장이요구된다.

      • KCI등재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의 구조적 관계

        배현순 ( Bae Hyunsoon ),이희수 ( Lee Hees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교육공동체에 참여하는 소규모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 간의 상관관계와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간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유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단위 소규모 초등학교(11학급 이하)에 근무하는 교사 212명이고, SPSS 26.0과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고,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분산적 리더십은 잡 크래프팅과 자원연계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지역공동체 의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나, 자원연계활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 활동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분산적 리더십은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를 통해 자원연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와 연계한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선행요인에 관한 다양한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측면의 잡 크래프팅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셋째, 소규모 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가 연동되는 학문적·실천적 연구의 확산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job crafting,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perceived b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mall-scale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ing in Maeul educational community,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ediating effects of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 linking activity. The study subjects were 2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t small-scale schools(11 classes or less) nationwide,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statistical program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y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re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distributed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but not on sense of communit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ut job craft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source-linking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Second, in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it was found that distributed leadership affects resource-linking activity through mediating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follow-up studie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 variety of research methodologies are needed to revitalize Maeul educational communities in connection with small-scale schools. Second, activation of job crafting research on the teacher side is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spread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that connects small-scale schools and Maeul educational community.

      • KCI등재후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가격프리미엄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세진 ( Se Jin Lee ),최동원 ( Dong Won Choi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27 No.2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이전 연구들은 주로 기업이미지의 향상 효과에 초점을 두었으나, 이 연구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직접적인 가격요인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또한 줄 수 있다면 어느 정도인지를 밝혀내어, 가격프리미엄을 설정하는데 하나의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가격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시 말해,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기업의 제품이 가격프리미엄을 형성할 경우 사회공헌활동 여부와 가격프리미엄은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의 효과가 소비자가 인식하는 기업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뿐 아니라, 더 나아가 기업의 가격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면, 이는 사회공헌활동이 기업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연구결과, 첫째,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유형은 가격프리미엄 지불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자원봉사활동의 경우 동일가격과 가격프리미엄 간의 구매의도 차이가 CRM보다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자원봉사활동이 CRM보다 가격프리미엄에 대한 지불의도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둘째, 제품의 가격프리미엄은 기업이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경우에도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는 사회공헌활동을 하는 기업의 제품에 대해서 준거가격의 약 3% 가격프리미엄수준까지는 타사제품과 동일가격인 경우와 비교해 구매의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studies support tha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has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s’ perceptions, attitudes toward that company, and finally purchase intension. This study focused the influence of CSR on the price premium strategy.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2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experiment 1, the effects of the type of CSR (volunteering activity vs. CRM) and the price level (equal pricing vs. premium pricing) on purchase intention were examined. In the experiment 2,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price premium on purchase intention were examined to find the appropriate level of price premi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the types of CSR on purchase intention for the premium priced product. Rather, the price leve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the premiu priced product. Also, this study suggested an appropriate level of price premium, about 3 percent of the reference pric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t the end.

      • KCI등재

        유아교육학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이 취업준비생의 진로의식과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최경남,신수경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volunteer activities connected with child education major students on career consciousness and job‐seeking stress of job‐seeking students, and to make it possible to use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guidance plan that could improve career consciousness and reduce job‐seeking stress. On the subjects of 32 students who attended N University majoring in child education located in G city, this study conducted volunteer activities connected with child education major students for a total of 72 hours, 6 hours a week for 12 weeks between October 1, 2018 and December 28, 2018.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before and after performing volunteer activities connected with child education major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found that volunteer activities connected with child education major stud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career consciousness of job‐seeking students. Second, volunteer activities connected with child education major student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he job‐seeking stress of job‐seeking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과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이 취업준비생의 진로의식과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진로의식을 증진시키고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지도방안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G시에 위치한 N대학교 유아교육과 4학년 재학 중인 32명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 1일부터 12월 28일까지 12주 동안 1주에 6시간씩 총 72시간을 유아교육과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유아교육과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 실시 전․후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대응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육과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은 취업준비생의 진로의식을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과 전공연계 자원봉사활동은 취업준비생의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유형에 따른 광고모델의 효과 연구

        이세진(Se Jin Lee),정진완(Jin Wan Jung),방혜진(Hye Jin Ba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1 광고연구 Vol.0 No.88

        기업가의 자발적 기부행위로 시작된 사회적 책임 활동은 기업이 마케팅적 효과를 인식하게 됨으로써 더 이상 선의의 자선행위에 머무르지 않고, 마케팅 전략의 하나로 자리 잡은 추세이다. 이 연구에서는 CSR활동의 형태 중, 기업에 대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자원봉사활동과 공익연계마케팅(CRM)의 광고에서 모델 유형(유명인/일반인)의 차이가 소비자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해보았다. 연구결과, CSR유형과 광고모델의 유형이 광고에 대한 태도, 기업에 대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CSR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데에 효과적인 광고 모델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즉, 자원봉사활동 광고에는 일반인 모델을, 반면 공익연계마 케팅(CRM)의 광고에는 유명인 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긍정적 소비자 태도를 형성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CSR and the type of advertising endorsers influence CSR advertising effect. In this study, two types of CSR activities were examined, volunteering activity and CRM (Cause-Related Marketing) which are the most common types of CS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SR activities and the type of advertising endorsers o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corporate and purchase intention. Specifically, subjects perceived the volunteering activity advertising more favorably with ordinary person endorsement rather than celebrity endorsement. However, in the case of CRM advertising, celebrity endorsement was more effective. Finally, this study provided strategic implications on how to develop CSR advertising. Limitation of this paper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