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가 참여자의 신체 이미지 및 참여 동기

        강희선,서재성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요가 참여자와 비 참여자를 대상으로 부정적 신체이미지와 구별되는 긍정 신체이미지, 자기 객관화, 날씬함 욕구차이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중 요가 참여자는 서울, 경기, 충남, 전북지역의 여성 113명, 비 참여자는 서울, 전북지역 대학생, 대학원생 123명으로 선정하였다. 측정도구는 긍정신체 이미지척도, 자기객관화, 날씬함 욕구, 요가 참여 동기척도이다. 연구결과 긍정 신체이미지는 요가 참여자와 비 참여자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 며 요가 참여자의 긍정신체 이미지가 높은 평균을 보였다. 자기 객관화는 요가 참여자와 비 참여자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 었다. 자기 객관화는 요가 참여자가 비 참여자 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요가 참여자와 비 참여자간 날씬함 욕구차이는 비 참여자가 참여자에 비해 높은 평균을 나타냈다. 요가 참여자의 참여 동기는 건강과 체력을 높이기 위해서 문항이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요가는 신체와 긍정적 관계를 높이는 장점이 있으며 자기 객관화에 맞서 신체를 보호하는 힘이 있다는 것이다. 둘째, 요가는 자신의 신체를 더 사랑하며 존중하는 즐거운 신체활동 이라는 점이다. 셋째, 요가 참여자의 긍정신체이지는 자기객관화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itive body images, self-objectification, differences in desire for slimness, and positive body images of yoga participants on self-objectification and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yoga. Yoga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113 women in Seoul, Gyeonggi, Chungnam, and Jeonbuk, and non-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college students and 123 graduate students in Seoul and Jeonbuk. The measurement tools used a questionnaire on the positive body image scale, self-objectification, desire for slimness, and motivation for yoga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ositive body ima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yoga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and the positive body image of yoga participants showed a high average. In self-objectific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yoga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was confirmed. Self-objectification showed a higher average of yoga participants than non-participa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eed for slimness between yoga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The desire for slimness showed a high average of non-participants. The positive body image of yoga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objectification. As for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of yoga participants, the questions showed the highest average to improv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yoga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body and has the power to protect the body against self-objectification. Second, yoga is a pleasant physical activity that loves and respects one's body more. Third, the positive body of yoga participants plays a role in lowering self-objectivity.

      •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Ashṭāṇga Vinyāsa Yoga의 정체성에 대한 생각들

        서봉기 한국요가학회 2016 요가학연구 Vol.- No.1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Ashtanga Vinyasa Yoga that settled into the mainstream of current flowing through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since the 1930's. Let's start this article in doubt about belief that the current a way of training and theory of Ashtanga vinyasa yoga comes in Yoga Kurunta of Vamana Rish. I reveals that Krishnamacharia and Pattabi Joise were able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Ashtanga vinyas yoga leaning on the authoring process called "Yoga Qurunta". And a unique system of Ashtanga vinyasa yoga in the modern yoga tradition is tightly intigrating systems with the asana and Dand that appeared after the manner of the cultural program of the National Sports of kuvallayananda. It is also understood that Vinyasa yoga at that time been made under the influence of Wrestling literature and the wrestling practicing in gym of the Palace in Mysore.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current identity of Ashtanga vinyasa yoga focused on the beauty and the robust has the necesity to extend the outer to healing and meditation. 이 글의 목적은 1930년대 이후 현재까지 상당한 시간이 흐르는 가운데 세계요가계의 주류요가로 자리를 잡은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의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함이다. 우선 현행의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의 수련방식과 이론이 비롯되었다고 믿고 있는 바마나 리쉬Vamana Rishi의 저작인 『Yoga Kurunta 요가꾸룬타』에 대한 의심에서 본 논문을 시작한다. 스조만Sjoman과 싱클레톤Singleton의 연구를 통해서 필자는 『요가꾸룬타』라는 가공된 저작에 기대어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의 정통성을 세울 수 있었음을 드러낸다. 그리고 현대 요가전통에 있어서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의 독특한 체계는 꾸발라야난다Kuvalayananda의 국민체육의 문화 프로그램의 방식 후에 나타난 아사나āsana와 단다daṇḍa를 강력하게 통합시킨 체계에서 영향 받은바 크다. 또한 마이솔 궁전에서 보유하고 있던 레슬링관련 문헌과 실제로 궁전의 체육관에서 행해졌던 레슬링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요가와 레슬링의 혼합된 성격을 띠는 것으로 이해된다. 더불어 미용위주로 고착화된 현행의 아쉬탕가 빈야사 요가의 정체성은 치유와 명상으로 그 외연을 확장할 필요성을 갖고 있다고 보인다.

      • KCI등재후보

        요가의 치료적 관점과 효과에 대한 고찰

        왕인순(In-soon, Wang) 한국요가학회 2010 요가학연구 Vol.3 No.1

        현대 사회에서 요가는 심신의 다양한 질병과 스트레스 관리에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으며, 보완대체의학의 5대 영역 중 심신 치료개입 영역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요가의 치료적 관점과 치료적 효과를 고찰함으로써 전일 건강 모델로서의 요가를 조망해보았다. 판차 코샤 모델에 근거한 요가의 인간관과 전일주의 원리, 그리고 요가치료의 원리와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요가는 근골격계와 심폐 기능을 향상시키고 통증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부정 적인 정서를 완화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증진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데, 심신 의학과 통합의학에서 주목하고 있는 요가의 치료적 효과와 기전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실험 논문과 임상 결과들을 근거로 요가 자세와 호흡, 이완의 생리적・심리적 효과들을 살펴봄으로써 요가의 치료적 효과를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요가는 현대 의학의 통합적 접근과 현대 심리상담의 보완적 접근에 매우 유용한 분야로 평가할 수 있다. Yoga is used effectively for the management of various illness and stress in modern society and yoga is classified as mind-body intervention among 5 categorization of Alternative and Complimentary Medicine. This study researches yoga as a holistic health model by examining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yoga. This study reviews a view of human and a holistic perspective of yoga, and principles and methods of yoga therapy. Yoga is very effective on musculoskeletal and cardiopulmonary function, pains and fatigue, stress reduction, and emotional disorders. It presents the therapeutic mechanism of yoga that Mind-body Medicine is studying on the basis of clinical study outcomes. And it examines in a general way the therapeutic effects of yoga focusing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yoga postures, yoga breathing and yoga relaxation. It is concluded that Yoga is evaluated as a very useful method for integrative approaching of western medicine and for complimentary method of psychotherapy and counseling.

      • KCI등재후보

        빤짜꼬샤 모델의 치료적 적용에 관한 소고

        왕인순(Wang, In soon) 한국요가학회 2019 요가학연구 Vol.- No.22

        전 세계적으로 질환의 치료 및 웰빙 증진을 위해 자기치유 능력의 증진 및 전일적, 통합 적 방법론의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서구에서 통합의학과 신체심리치료의 발전으로 드러나고 있다. 전일주의(holism)에 기초하여 신체─호흡─정서─정신─영성에 대한 통합적 관점 및 다양한 방법론을 사용하고 있는 요가는 의학 및 심리학과의 만남을 통해 요가치료(yoga therapy)라는 전문 분야로 발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적인 치료를 지향하는 치료체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요가의 인간관에 대하여 빤짜꼬샤(pañcakośa)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건강과 치유에 관한 요가치료의 관점을 살펴보고, 요가의 전일적 관점과 방법론이 통합의학과 만나는 접점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빤짜꼬샤 모델의 치료적 적용 원리를 알아보기 위해, 요가치료분야에서 활용하는 통합적 요가치료모델을 제시하고, 요가기법 외에 통합의학 분야에서 제시하는 전일적 접근법을 살펴보았다. 건강과 웰빙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추세에서 심신건강분야의 전문가들이 요가의 통합적 접근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자기자각 및 자기조절력의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법인 요가를 심신건강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하기를 기대한다. Improvement of self-healing abilities and use of holistic and integrated methodologies are emphasized worldwide for treatment of diseases and well-being. This trend is evidenced by development of Integrative medicine and somatic psychotherapy in the West. Yoga, which uses a holistic view of body-breathing-emotion-mental- spirituality and a variety of methodologies based on holism, has developed into yoga therapy through the encounter with medical science and psychology. This study explores the pañca-kośa in order to understand yoga’s perspective on human, which pays attention to integrative healing-oriented treatment system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perspective of yoga therapy on health and healing, and suggests the point where the holistic view and yoga methodology meet the integrative medici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rapeutic application of the pañca-kośa model, this study presents an integrative yoga therapy model that is used in the field of yoga therapy and examined the holistic approach presented in the field of integrative medicine besides yoga technique. This study implies that experts in the field of mental and physical health need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integrative approach of yoga and apply yoga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self-awareness and self-regulation following the trend of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 integrative approach for health and well-being.

      • KCI등재

        요가와 위빠사나의 스므리띠(smṛti) / 사띠(sati) - 심리치료의 중요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조준호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9 禪文化硏究 Vol.27 No.-

        Currently, the term ’mindfulness yoga‘ is used in Korea. It is a translation of the Western ‘Mindful Yoga’ or ‘Mindfulness Yoga’. Here is the background of Vipassana. This term is a translation used in relation to Vipassana practices. Vipassana's key word is smṛti / sati, and the widely used English translation is mindfulness. At present, mindfulness is used in various ways such as psychotherapy, healing or counseling. Likewise, yoga is combined with the words mindful or mindfulness to represent a kind of new yoga practice. In Western psychotherapy, a combination of Vipassana and yoga is underway. By the way, the smṛti of yoga is mindfulness? This paper examines the mindfulness of ‘mindfulness yoga’ that has been progressed without academic review. It is ask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indfulness of yoga. For this purpose, I first critically examine the context of smṛti, which is explained in Yoga Sutra and the commentaries on it. It raises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ether mindfulness is applicable to yoga, as in “Mindfulness Yoga.” In conclusion, it is difficult to find a case where smṛti is used in the classical yoga tradition as a perceptual or practice method of meditation such as Vipassana's mindfulness. In classical yoga, smṛti means that the meaning of memory is central, but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mindfulness.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applicability of mindfulness would also be difficult in the current movement and posture-based yoga practiced in the contemporary world. It is clear that modern yoga adopts and uses the mindfulness used in modes of Vipassana. In this regar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lucidate the practice of yoga practice that can be used in the same meaning and content as Vipassana's mindfulness. In doing so, research on the therapeutic functions and effects of yoga based on Yoga Sutra and the yoga tradition will take a new step. 현재 한국에서 ‘마음챙김 요가’라는 말이 사용된다. 서구의 ‘Mindful Yoga’ 또는‘Mindfulness Yoga’의 번역어이다. 여기에는 위빠사나의 배경이 있다. 이 용어는위빠사나 수행과 관련하여 사용된 번역어이다. 위빠사나의 핵심어는 smṛti / sati 이고 널리 사용되는 영역은 mindfulness이다. 현재 mindfulness는 심리치료와 힐링 또는 상담 등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요가도 mindful 또는mindfulness라는 말과 결합되어 새로운 요가 수행의 한 종류를 보여주고 있다. 서구의 심리치료 입장에서 위빠사나와 요가의 결합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요가의 스므리띠는 mindfulness / 마음챙김인가? 본고는 그동안 학문적 검토없이 진행되어 왔던 마음챙김 요가의 mindfulness를 검토한다. 요가의 mindfulness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묻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먼저 『요가 수뜨라』와 이에 대한주석서에서 설명되는 smṛti의 맥락을 비판적으로 검토해 본다. 요가에서 ‘마음챙김 요가(Mindfulness Yoga)’처럼 mindfulness를 요가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고전요가 전통에서 위빠사나의 mindfulness과 같은 지각 방식이나 수행 방식으로 smṛti가 사용된 사례를 찾기는 어렵다. 고전요가에서 smṛti는 기억(memory)의 의미가 중심이지 mindfulness의 의미로 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나아가 현재 세계에서 행해지고 있는 동작과 체위 중심의 요가에서 mindfulness에 대한 적용가능성 또한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해 보았다. 분명 현대요가가 위빠사나에서 사용하는mindfulness를 채택하여 사용했음이 분명하다. 그러한 점에서 위빠사나의mindfulness와 같은 의미와 내용으로 쓸 수 있는 요가 수행의 행법을 구명해 낼후속연구가 필요하다. 그렇게 될 때 『요가 수뜨라』와 요가 전통에 근거한 요가의치료적 기능과 효과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단계로 나아갈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Patanjali Yoga Sutra에 나타난 문제 제기 ―Isvara, Vayu, Citta, Anga를 중심으로―

        임동호 ( Dong Ho L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위대한 성자 빠딴잘리(Patanjali)는 인도철학서와 고대 경전들로부터 그 자신의 철학적인 사상들과 의견이 일치하는 본질적인 원리만을 받아들였다. 오직 이들 정수만이 그의 저서 ``요가 수트라(Yoga Sutra)``에 포함한 것으로 보인다. 빠딴잘리는 상키야의 형이상학적인 토대를 받아 들이고 그것을 후에 아스탕가요가(Astangayoga)라고 불리는 요가 기법의 실용적인 측면과 종합화시켰다. 그러한 새로운 형언할 수 없는 섬세한 철학적인 요가의 저작에 대한 결과로 “아스탕가 요가 전통”이 세워지고 요가가 인도의 철학적인 문학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성자 빠딴잘리는 끄리야요가(kriyayoga)와 아스탕가요가 그리고 쌈야마요가(Samyamayoga) 등의 요가가 그의 ``요가 철학’을 통해서 요가의 싸마디 (Samadi) 단계를 얻기 위해서 인도되는 찟따(Citta)의 모든 브릿띠(Vrtti)에 대한 제어의 과정을 서술했다. 이들 다양한 수련 중에서 “아스탕가 요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매우 적합하고 알맞은 것이기 때문에 유용한 수련법이 되었다. 이러한 형식으로 기원전 3세기에 생긴 아스탕가요가인 이 요가 전통은 ‘빠딴잘라요가(Patanjalayoga)’혹은 ‘요가’라는 이름을 낳게 되었고 다소 동일한 기본적인 철학 사상을 보유하게 되었다. Patanjala의 『Yoga Sutra』의 주석가들은 빠딴잘리의 요가를 발전시키고 정밀화 시키려 노력했으며 다양한 주석들을 통하여 몇몇의 새로운 요소들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그라나 요가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수용 및 전달을 위하여 장애로 부각되고 있는 논점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논의할 필요가 있다. 학자들은 현 시대에 맞게 인식론과 심리학, 형이상학에 대한 해석의 변모를 시도함으로써 어려운 철학의 체계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많은 문제들은 미해결된 상태로 남아서 우리들을 당혹하게 만든다. 사실상 이러한 제안들에 대해 그 동안 수없이 많은 논제와 논의를 거쳐 왔고 수많은 학자들이 철저히 연구하려 노력해 왔다. 이러한 측면에서 요가의 체계를 좀 더 잘 이해하도록 빠탄잘리(Patanjali)의 요가 수트라(Yoga Sutra)에 나타난 이슈와라(Isvara), 바유(Vayu), 씻다(Citta), 앙가(Anga) 의 체계적인 문제점을 제기하고 본질을 해석 하는데 그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This great saint Patanjali accepted from these texts only those essential principles which were in agreement with his own philosophical thoughts. Only these essences can be seen include in his text ``Yoga Sutra``. Patanjali also accepted the Sankhya metaphysical framework and synthesised it with the practical aspect of Yoga technique which was later on called Astangayoga. The result of the creation of such a new indescribably fine philosophical Yoga text was that the ``Astangayoga tradition`` was established and Yoga attained a special position in the philosophical literature of India. Patanjali has described the procedure of control of all the Vttis of Citta, the kriyayoga, Astangayoga, Samyamayoga, and thus guided the Yogi so as to attain the Yoga Samadi stage through his Yoga philosophy. Out of the all these various practices, ``Astangayoga`` is the most popular practice as it is very convenient and suitable for all sort of people and hence is the most useful practice for everybody. Such a way, this Yoga tradition as Astangayoga which was born in the 3rd century B.C. became popular by the named Patanjalayoga or just Yoga. It has retained more or less the some basic philosophical thought. The commentators of the Yoga Sutra of Patanjali tried to develop and elaborate Patanjali`s Yoga. Patanjali is very rich and has its independent standing, there are many problems to understand it. In fact, what is required for systematizing such a discourse is clarity, precision, rigour and a few more similar things. Of course we do not want to claim that these requirements are seldom available in Patanjali Yoga. But we do face several problems to understand even the basics of his system. So Patanjali Yoga Sutra come to the issues presented Isvara, Vayu, Citta, Anga, which the nature of the systemic issues raised and the interpretation is to give meaning.

      • 고전요가와 하타요가 정화법의 현대적 적용

        김미경(Kim, Mee Kyung) 한국요가학회 2016 요가학연구 Vol.- No.16

        요가철학에서 정화의 개념은 수련 과정이나 수련으로 얻은 결과에 용해되어 있다. 그것은 특정한 수련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요가 이론에 편재하는 개념이며 폭넓게 적용되는 수련의 토대다.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도덕관념이 희박해지는 현상을 흔히 목격한다. 학교나 직장에서의 따돌림은 인간관계에서 자기제어와 공감의 상실 등으로 도덕적 인지력의 문제점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흔히 현실성이 없는 것으로 인식되어 수련자의 관심에서 벗어날 수 있는 요가의 덕목을 정화의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다양한 기법으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 요가수련에 적용할 수 있는 요가 정화법 의 본래 목적을 환기하는데 중점을 둔다. 고전요가의 정화법은 도덕적 훈련을 강조하는 10가지 수련덕목에서 시작된다. 이들 수련덕목이 잘 훈련되면 정화된 신체와 마음작용의 제어에서 비롯된 집중의 힘이 생긴다. 그 힘은 좌법과 호흡수련 등으로 이어지고 삼매를 위한 밑거름으로 작용한다. 하타요가 정화법은 신체적, 생리적 정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Hathapradipika(이하 HP) 4.25에서 해탈의 경지는 쿰바카를 통해 프라나와 마음이 소멸할 때 성취된다고 말한다. 요가의 도덕적 덕목들은 수련자가 해야 할 기초훈련이지만 요가자세나 호흡훈련에 비하여 그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은 고전요가의 8가지 요가수행법을 정화의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요가수련이 부여하는 다각적인 정화의 개념을 부각시킨다. 한편 신체적, 생리적 정화의 중요성과 방법론을 밝힌 HP 정화법에서는 이들 정화법이 현대인의 일상적 질병을 예방하는데 기여하고 완전한 건강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In Yoga philosophy, the concept of purification has been dissolved in the process of the practices or the result of that practice. It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actices but widespread concept in all yoga theories and widely applied foundation of practice. We often observe the phenomenon that the moral sense has be-come diluted in the modern society. Ostracizing at schools and workplaces shows the problems in the moral cognition because of loss of self-control and sympathy in human relations. This study is focused on reminding us of the original purpose of yoga purificat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yoga practice, which has been developing with various techniques by illuminating the virtue of yoga, which may be out of yoga practitioner’s interest as it is commonly considered not to be realistic. The purification of the classical yoga begins with 10 virtues of practice, which emphasize the moral training. If the virtues are well trained, the power of concentration is generated from the purified body and the control of mental factors. The power leads to asana and pranayama practices and works as a foundation for samadhi. The purification of hatha yoga is focused on physical and physiological purification. In Hathapradipika(Ⅳ.25), it is told that the state of nirvana is reached when prana and mind dissipates through kumbhaka. While the ethical virtues of Yoga are the basic training for the practitioners, it tends to overlook the importance compared with the yoga poses or breathing training. This paper emphasizes the multi-faceted concepts of purification given by yoga training through considering 8 yoga practice methods of the ancient yoga from the perspectives of purification. Meanwhile, the HP purification that identified the importance and method of physical and physiological purification suggests the possibilities that these purification methods will contribute to preventing general diseases of the modern people and can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complete health.

      • KCI등재후보

        한국개신교의 현대요가 수용에 대한 고찰 :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예장통합) 교단의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심준보(Sim, Junbo) 한국요가학회 2020 요가학연구 Vol.- No.24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TongHap) adopted the research report on yoga that prohibits the yoga practice of Presbyterian, 3 years ago(18, September, 2017). The acceptance or prohibition of yoga practice may differ along with doctrines of religions or orders. However, when they judge the acceptance or prohibition of it, the judgement must be based on objective and correct facts. But the prohibition of yoga practice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TongHap) was judged on an inaccurate facts. This prohibition may distort the facts on yoga, and lead to misunderstandings on yoga in Presbyterian, by extension, the public. This paper first criticizes the non-objectivity and insufficiency of reference materials used in The Research Report on Yoga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The Report), and the lack of academic base. Next, this paper points three inaccurate facts of The Report : ① the origin of yoga, ② the period of important classic texts in India, ③ the theory on the origin of Korean yoga, and by above criticism,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Report has not academic bases. In the last,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Report has mistaken not to understand what yoga that the Report prohibit is, because the Report not differ modern yoga from traditional yoga practices. By this paper, I demonstrates an example of acceptance of modern yoga in modern korean protestantism, and wish that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TongHap) study on modern yoga more objectively and correctly. 2017년 9월 18일 한국 개신교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예장통합)교단은 교단 내 신자들의 요가를 금지하는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를 받아들였다. 각 종교나 교단의 요가 수용은 각 종교들의 교리 차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요가를 평가할 때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와 사실을 기반으로 해야 함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금 번 예장통합의 결정은 주관적이고 부정확한 정보와 사실들을 통해 이루어 졌고, 이것은 요가의 본질에 대한 왜곡을 가져옴으로써 개신교도는 물론 일반인들에게도 요가에 대한 오해를 일으킬 소지가 없지 않다. 본 논문은 먼저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가 이용한 참고문헌의 객관성 및 학문적 불충분성을 비판했다. 다음으로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가 ① 요가의 기원, ② 인도 중요 문헌의 연대, ③ 한국요가 기원설에 대해 심대한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지적함으로써 이 보고서가 학문적인 신빙성을 가지지 못한 것임을 논증했다. 마지막으로 <요가에 관한 연구보고서>는 현대요가와 전통요가의 개념을 구분하지 못함으로써 그들이 금지시키려 하는 요가가 어떤 요가인지도 구분하지 못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음을 논증하여 보고서의 논지가 처음부터 성립되지 못함을 보였다. 이를 통해 현대 한국에서 현대요가가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보이고, 요가 왜곡에 대한 시정을 엄정한 학문적 기준을 가진 학회의 논문을 통해 예장통합 측에 엄중히 요구하려 한다.

      • 요가, 방치된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박효엽(Park Hyo yup)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5 요가학저널 Vol.3 No.1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yoga?’ is to define yoga. Although it is almost an impracticable task to define yoga, if an attempt is mad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ditions, yoga is ‘active intervention in the neglected life’. As yoga is applied in controlling the sense-organs, concentrating the mind, and being familiar with a certain work in the period of ‘Early Yoga’ mostly represented by Upaniṣads and Bhagavadgītā , it can be called a special art to exalt the life. And yoga can be a sort of art to rule over spirits in the period of ‘Classical Yoga’, since it is a process for attaining the ideal spirituality from the existentially given actuality of pain. Besides, yoga can be an art to hold and discipline one’s body sacred in the period of ‘Haṭha Yoga’, since it is a tool of intervention to prevent human body being profaned. Lastly, because yoga is mainly related to management, relaxation and therapy in the period of ‘Modern Yoga’, it can be an art of recovering the health of life. In this connection, yoga of each period is an outcome of changing one’s life condition artificially under the world view of those days without exception. Thus, granting that ‘active intervention in the neglected life’ is incomplete to define yoga, this definition is able to awaken to some extent what the basic spirit of yoga is. And this kind of the spirit of yoga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contemporary yoga, that is to say, yoga should proceed to intervene the outer world actively through the yoga community. ‘요가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답하는 것은 요가에 대한 정의를 시도하는 일이다. 비록 요가를 정의하는 일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지라도, 여러 조건을 고려한 채로 시도해 본다면, 요가란 ‘방치된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이다. 우빠니샤드와 『바가와드기따』로 대변되는 초기요가 시대에 요가는 감관을 제어하고 정신을 집중하고 특정한 일에 정통하는 것을 의미했으므로, 요가란 삶을 고양시키고자 하는 특별한 기술이다. 고전요가 시대에 요가는 실존적으로 주어져 있는 고통의 현실로부터 벗어나 이상적인 정신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었으므로, 요가란 일종의 마음을 다스리는 기술이다. 하타요가 시대에 요가는 인간의 육체가 세속화되는 것을 거부하면서 그것을 신성하게 만들고자 적극 개입하는 것이었기에, 요가란 육체를 신성하게 단련하는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현대요가에서 요가는 주로 관리, 휴식, 치유와 관련되기 때문에, 요가란 삶의 건강성을 회복하려는 기술이다. 이상과 같이 각 시대의 요가는 모두 당대의 세계관 아래 삶의 조건을 인위적으로 바꾸려고 시도한 결과이다. 따라서 요가를 ‘방치된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라고 정의하는 것이 온전하지 못하더라도 이 정의는 요가의 근본정신을 어느 정도 일깨워 줄수 있다. 그리고 요가의 이러한 정신은 오늘날 요가가 ‘요가하는 공동체’를 통해 세계를 변화시키려는 움직임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 KCI등재후보

        힐링의 시대와 요가의 미래

        곽미자(Kwak, Mija) 한국요가학회 2013 요가학연구 Vol.- No.10

        본고에서는 웰빙 문화와 요가를 다시 되짚어 보면서 힐링 시대에 앞으로 요가가 나아갈 방향성을 모색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웰빙 시대의 경우 요가는 대중화와 요가학문의 발달로 볼 수 있다. 요가의 대중화는 요가의 양적팽창을 가져온 대신에 질적인 저하를 가져왔으며, 요가학문의 발달은 요가의 전문성이 강조되었으나, 대중 속으로 그 전문성이 파고들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웰빙에서 힐링열풍이 일어나게 된 배경을 살펴본 결과, 힐링은 웰빙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것과, 시대적인 상처의 치유의 필요성과 웰빙의 지나친 상업화가 그 원인이었다. 이를 토대로 힐링 시대에 나아가야 할 요가의 방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힐링 시대의 요가의 미래는 질적 인 성장에 있으며, 그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통합코드가 제시되었다. 첫째, 요가의 치유적 가치의 재발견으로서, 요가 속에 깃든 치유를 인식해야 한다. 둘째, 질병 혹은 고통의 뿌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이는 요가의 경전에서 제시하고 있듯이 무지, 혹은 참나와의 분리감에서 보는 영성치유와 연결되어 있다. 셋째, 전일건강으로서의 요가의 이해가 필요하다. 넷째, 아사나 중심에서 벗어나 다양한 요가를 바르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요가의 다양한 기법을 통합하는 방법의 통합요가와, 하나의 기법을 적용하더라도 전일건강을 염두에 두고 적용하는 통합 요가를 제시하고 있다. 여섯째, 힐링 시대에서 요구하는 것은 마음치유 에 더 초점을 두고 있다. 이에 마음요가 혹은 요가명상으로 일컬어지는 내면요가가 강조되어야 한다. 일곱 번째는 통섭의 요가를 말하고 있다. 통섭은 학문 간의 교류 혹은 통합을 의미한다. 세 가지 차원에서 통섭을 제시하였다. 요가와 밀접하게 연결된 아유르베다와 탄트라와의 통섭, 요가전공자들이 타 학문을 배우고 요가에 적용함으로써 요가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통섭, 마지막으로 요가의 응용차원에서 다른 분야와 협력하고 함께 연구해야 한다는 통섭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ight direction of yoga in the healing of the times. Through the culture of wellbeing, yoga has become very popular and the researches on yoga has increased. However, popularization of yoga reduced the essence of yoga and researches on yoga could not apply to its practice. There are three reasons that wellbeing trend has changed to healing trend; healing should be prerequisite to wellbeing, and is necessary in the present age to heal people,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wellbeing. Through these results, we consider following things for the future of yoga. Frist, we should rediscover the value of healing in yoga. Second, we should recognize the fundamental cause of disease or suffering, which is connected to spiritual healing. Third, we need to understand the yoga as holistic health. Fourth, we need to know the different type of yoga. Fifth, we need to understand the integral yoga in terms of one yogic discipline appling to holistic health as well as unit of different yogic discipline. Sixth, we need to keep focus on inner yoga which is called as psychological yoga or yogic meditation because mental healing is important in the healing of the times. Seventh, we need the consilience of yoga which means unit of yoga and ayurveda or tantra, which yoga teacher study widely by making academic exchange between. All these are connected each other for developing yoga in the healing of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