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짜이딴야(Caitanya)의 박띠 사상

        장지영(Jang Ji Young)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4 요가학저널 Vol.2 No.1

        짜이딴야의 박띠는 구체적으로 인지하고 경험할 수 있는 최고 존재로서의 인격신인 끄리슈나를 전제로 하는 신앙의 형태로써 끄리슈나 박띠로 불린다. 끄리슈나 신의 이름을 찬양하며 춤을 추는, 강렬한 감정들로 박띠 추종자들을 이끈다. 이러한 감정에는 ‘무집착’에 근거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끄리슈나 신에게 집착하는 인도의 요가전통에서 가장 높은 가치로 여긴다. 짜이딴야는 브라흐만과 끄리슈나를 동일시하며, 모든 가능한 힘으로 화신을 통해 나타난 속성과 형태를 취한 인격신이라는 것을 ‘아찐뜨야 브헤다아브헤다’의 사상으로 설명하였다. 짜이딴야의 박띠가 비록 베단따 사상가로 잘 알려져 있다 하더라도 그는 단지 8개의 헌신적인 시만을 남겼다. 하지만 그는 철학 뿐만 아니라 경험 또는 체험을 중시하여 박띠의 실천적 수행이 오히려 박띠행자로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었고 실천하였다. 궁극적으로 박띠는 욕망이 내재된 감정을 신이란 한 지점에 몰두하게 하여 헌신자의 전 존재를 전적으로 신에게 몰입하는 과정을 통해 해탈에 이르기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헌신의 형태는 가우디야 바이슈나바로 이어지게 되었다. 결국 짜이딴야의 끄리슈나 박띠는 인도 종교의 궁극적 목표인 목샤 즉 해탈이 형이상학적 지식이나 금욕적 수행 그리고 과도한 의례와 같은 어려운 길이 아니라 비슈누나 쉬바 등 인격신에 대한 절대적인 봉헌과 사랑이라는 좀 더 수월하고 직접적인 방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도록 제시된 해탈의 길이라 할 수 있다. Caitanya s bhakti yoga is the so-called Kṛṣṇa bhakti whose followers should call the Lord Kṛṣṇa name, sing and dance with outpouring emotions. Thus, it is not based on detachment (vairāgya), which has generally been the highest value in Indian Yoga traditions, but based on attachment to the Lord Kṛṣṇa. Although Caitanya was well-known as a Vedānta philosopher, he left only eight devotional poems. He is, however, credited with propagating bhakti yoga for the common run of Indian people. The second chapter of Caitanya s bhakti, his principal thought can be characterized as the inconceivable non-dual monism (acintyabhedābheda).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Viṣṇu and his incarnations as well as the Gauḍīya Vaiṣṇavism to which Caitanya belongs. Gauḍīya Vaiṣṇavism, he form of Vaiṣṇavism, which grew in Bengal province developed a theology which laid great emphasis on devotion and the lov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otee and the Lord Kṛṣṇa.

      • 요가수뜨라의 무종삼매(nirbījasamādhi)에 대한 일고찰

        장소연(Jang So youn)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5 요가학저널 Vol.4 No.1

        This research paper is A Study for Nirbījasamādhi in YogaSūtra(YS), Nirbījasamādhi is the state of mind of the higher level. Samādhi in YS is a state of mind that is acquired through the subject of concentration. Thus, the object for achieving samādhi is from the rough to fine. As the object of concentrated fine, it is difficult to achieve samādhi. Nirbījasamādhi is the state of mind of the very higher level. In Yogasūtras bhāṣya(Ybh) Vyāsa explains to distinguish between Nirbīja Samādhi and Asaṃprajñāta Samādhi, explains that sometimes both at the same stage of Samā dhi.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amādhi. In this paper, I classify divided into Saṃprajñāta Samādhi and Asaṃprajñāta Samādhi. In YS Saṃprajñāta Samādhi is vitakka (尋), vicāra (伺), ananda (歡喜), asmita (自 意識) classified in four kinds of (YS Ⅰ.17) will be explained, this classification is understood to vary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quality of the mental state of meditation according to object concentrated. On the other hand Asaṃprajñāta Samādhi will not be described by classifying the separate step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object. It is only the state that has just explained saṃskāra. I study in relation to the subject of this paper Nirbīja Samādhi and Asaṃprajñāta Samādhi. As mentioned previously Asaṃprajñā ta Samādhi is a step which has only saṃskāra beyond the specific target. on the other hand Nirbīja Samādhi is a state even ceased saṃskāra. However sometimes YS used as same steps, the Nirbīja Samādhi and Asaṃprajñāta Samādhi, such that as the sentence are found, such an inconsistent Using makes guessed that their main concern is the samādhi itself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discrimination. Finally, YS comments on the ultimate stage of samādhi, dharmamegha Samādhi. so I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amādhi look at the relevance of the Nirbīja Samādhi and dharmamegha Samādhi, on the other hand dharma megha Samadhi means the end of the state of the ultimate the state in which we can be obtained through the performing. Both samādhi are the same as the state ceased even saṃskāra. but Nirbīja Samādhi have been described in terms of yogic recognition and saṃskāra. 본 논문은 요가수뜨라에서 무종삼매에 대한 고찰로 무종삼매는 수승한 단계의 마음상태이다. 요가수뜨라에서 삼매는 대상의 마음집중을 통해 획득되는 마음의 상태이다. 따라서 삼매를 성취하기 위한 대상은 거친 것에서 미세한 것까지이며 집중의 대상이 미세하면 미세할수록 삼매를 성취하기는 어렵다. 무종삼매는 매우 수승한 단계의 마음상태이다 그러나 요가수뜨라나 비야사의 주석서에서는 무상삼매와 무종삼매를 구별하여 설명하거나 때로는 같은 단계의 삼매로 설명하고 있어 삼매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먼저 삼매의 분류로 유상삼매와 무상삼매로 나눠 분류한다. YS에서는 유상삼매는 ‘심(尋). 사(伺), 환희, 자아의식’이라는 4종으로 분류(YS Ⅰ.17)하여 설명하는데 이러한 분류는 집중의 대상에 따라 그 정신적인 경지의 질도 달라진다는 명상의 원리에 따른 것으로 이해된다. 반면 무상삼매는 집중의 대상이 없으므로 따로 단계를 분류하여 설명하지 않고 잠세력만을 갖고 있는 상태로 설명한다. 본 논문의 주제인 무상삼매와 무종삼매의 관련하여 연구한다. 무상삼매는 앞서 언급했듯이 구체적인 대상을 넘어서 잠세력만을 가지고 있는 단계라면 무종삼매는 잠세력마저 멈춰진 상태이다. 그러나 요가수뜨라에서는 무종과 무상을 같은 단계로 사용하는 경구들이 발견되는데 이러한 일관성 없는 혼용은 그들의 주요 관심사가 삼매의 차별보다는 삼매 그 자체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요가수뜨라에서는 무종삼매와는 다르게 법운 삼매에 대해서도 언급하는데 무종과 법운 삼매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두 삼매의 차이점을 살펴본다. 두 삼매는 잠세력마저 멈춰진 상태이지만 무종삼매가 요가적 인식의 관점과 잠세력의 관점에서 설명되어 진 것이라면 법운 삼매는 우리가 수행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상태의 궁극의 최종의 상태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요가란 무엇인가? : 요가는 의식에 내재되어 있는 우주의 진동이다

        김미경(Kim, Mi kyung)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5 요가학저널 Vol.3 No.1

        요가의 깨달음은 특별한 사람들만 느끼는 어떤 상태가 아니다. 요가의 지식은 육체뿐 아니라 마음에서 일어나는 생각에너지를 조절함으로써 누구나 개별적인 인간의식을 우주의식과 결합하여 확장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론이다. 깨달음을 위한 방법 중에서 소리에 대한 지식은 우주와 공간의 차원을 이해하는 토대이다. 요가의 영성은 요가의 본질적인 힘이 시작되는 우주공간과 의식이 상응하는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시작된다. 그리고 우주에 내재하는 진동을 의식과 연결하여 변화된 인식으로 인도하는 과정을 탐구함으로써 점진적으로 확장된다. 우주공간에 대한 인식은 몸, 마음 그리고 생각이나 언어에 대한 모든 집착을 내려놓을 때에만 접근이 가능하다. 우주공간에 내재한 의식과 에너지에 관한 지식은 어떤 과학의 한 측면이 아니라 인간 본래의 창조적 지성을 일깨우는 오랜 지식이다. 우주의식의 본성은 고요함이다. 의식은 어떤 활동도 하지 않고 오로지 관찰한다. 반면에 에너지는 창조의 토대가 되어 활동적으로 움직인다. 이러한 의식과 에너지가 공간의 본질이다. 공간에 내재한 의식과 에너지는 물질이나 형상을 이루는 모든 원자에 최상의 요소로 존재한다. 인간의 지각과 이해 너머에 있는 인식할 수 없는 무수한 힘은 인간의 이성을 넘어선 것이지만 마음이 이들 힘을 경험하기 시작하면 그 힘의 정체가 무엇인지 지각할 수 있다. 의식과 에너지가 미치는 보편적인 힘의 영향과 효과를 깨닫기 위해서는 우주의 힘과 진동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주에서 움직임, 활동성, 운동이 없다면 고요할 것이고 고요한 상황에서는 진동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의식과 에너지로 나타나는 진동은 마음과 몸의 결합을 위한 원인이기도 하다. 우주수준에서는 우주의 미세한 진동이 바로 만트라이다. 물리적인 층에서는 현상계의 자연. 의식과 마음 또는 물질과 에너지에 영향을 미치는 진동이 만트라의 형태로 나타난다. 어떤 소리나 만트라를 반복적으로 발음하거나 기억하게 되면 무의식적으로 그 소리의 진동과 의식이 동일시된다. 마음은 항상의존할 대상을 찾고 있기 때문에 이때의 반복적인 발음은 마음이 집중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요가전통에서는 우주의 진동이 곧 만트라이고 그 진동을 느낄 수 있는 마음이 만트라이다. 우리는 그 과정의 인식을 명상으로 부른다. 명상 중에 반복되는 만트라의 진동을 통해서 우주의 진동을 동일하게 느낄 수 있다. 규칙적인 명상수련은 감각에 제한된 통상적인 인식에서 벗어나는 마음의 훈련이다. 만트라에 대한 집중은 더 높은 인식수준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요가의 길은 몸, 마음을 연결하는 호흡을 통해서 우주의 생명력을 재확인하는 과정이며 우리의 삶에 불멸의 안전망을 구축하는 작업이다. The Realization of Yoga is not a certain state only for the special people. The knowledge of yoga is the practical methodology that can expand the individual consciousness to the cosmic Consciousness by controling the thoughts rising in the mind as well as the body. One of the method for the realization, the knowledge of sound is the foundation to understand the Universe and Space level. The spirituality of Yoga begins by understanding the principle corresponding the universal space and Consciousness that starts the essential power of yoga. And then it can expand gradually by searching for the processes leading to the awareness that transforms connected with the individual consciousness and the vibration inherent in the Universe. The awareness of the Universe can approach when we abandon all the attachment of body, mind and thoughts and languages. The Consciousness and the Energy inherent in the Universe is not one aspect of the certain science but the long knowledge that awake the creative intelligence of the human nature. The nature of the Consciousness is stillness. The Consciousness only observes without any action. While the Energy becomes the base and move actively. This Consciousness and Energy is the essence of the Space. The Consciousness and Energy exist in the highest element which forms the material or formation in every atom. The innumerable powers those beyond ou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which we can not perceive, are beyond our rationality. However, if our mind begin to experience them, we can perceive what they are. We ne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power of universe and the vibration in order to realize the influences and effects of universal power affected by the Consciousness and the Energy. If there are no activities, no movements, no motions in the universe, there will be still and in that state the vibrations will not arise. The vibrations appearing in the Consciousness and Energy cause for the union of mind and body. The subtle vibration of universe is indeed mantra in the universal level. The vibration that affects the nature of the phenomenal world, the individual consciousness and mind or material and energy appears the form of mantra. When we pronounce or remember a certain sound or mantra, it become identified the vibration of the sound with the consciousness. Our mind always look for the objects to rely on that moment the repetitive pronounce becomes the object that mind can concentrate. In yoga tradition the universal vibration is mantra and the mind which can feel that vibration is mantra. We call the perception we recognize in that process as the meditation. We can have same feeling of universal vibration through the repeated mantra vibration during the meditation. The regular meditation practise is training of the mind to free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limited by the senses. The concentration on the mantra leads us the higher level of awareness. The path of yoga is the process that reconfirms the life force of the universe and establishes the immortal security in our lives through the breath interconnect body and mind.

      • 고전우빠니샤드에 나타난 아난다의 다양한 의미

        임세린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5 요가학저널 Vol.4 No.1

        Ānanda is generally said a state of bliss with full of pleasure and, in various Indian traditions, Ānanda is usually defined the state beyond every desire, pain, and commonly physical and emotional happiness, nirvana. Upaniṣad relied on by Indian philosophy and religion teaches, if one realize ultimate truth reality, Brahman, the one becomes Brahman who is full with ānanda without falsehood and judgement and the one escapes from every social attribute and confounds every sorrow. ānanda is used as a synonym of human nature of the absolute being but is also said as blissful emotion from communion with God or a sexual ecstasy. like this, while there is a room for savoring through various uses and differences of ānanda, or through a lesson of stages of ānanda, debates that ānanda has been rare with professional and unprofessional discussion. Ānanda from Upaniṣad is read in divergent ways, however, ānanda can be uncritically accepted as a adjective to emphasis some states of joy or the best existence. This being so, I set a ultimate goal of this study to call attention to understanding ānanda and I suggest there is a need of a new way to understand ānanda by analysing the examples which I will show with a method of classification and being based on a association among the examples. The origin of ānanda can be found in Veda which is basics of Indian religions, myths and philosophies. In the early veda text, ānanda was rarely used and it meaned the explanations of relatively simple pleasure associated with human body parts(especially, a penis of male), an intense expression of pleasures, usually sexual ecstasy. Becoming Brāhmaṇa period, ānanda had gotten more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showed implicative meaning sense with a association of contexts and terms to try to emphasize. the sexual ecstacy of ānanda is compared with and‘unconscious’state of a deep sleep and a point of view that it is derived from common pleasures coming‘food’implies that there is a huge impact on understanding ānanda as the term, flavor(rasa), having complex meaning. As passing to Upaniṣad period from Veda period, hatred toward complexed and complicated ceremonies leads to a unworldliness from the mundane world from desires and to transcendence from a adaptation. And, as compounded to ultimate one, Brahman, from many Gods in Veda, ānanda which is a state in ultimate pleasures started being sued as essence of Brahman to adjectively emphasize Brahman while its role had been decreased. While, before Upaniṣad, ānanda was considered a direct expression of a state of a strong ecstacy through sexual organs or an eager desires to an object, with the start of Upaniṣad period, it emphasized a sense of division to get pleasures and involved the one who gives pleasures, or Brahman, the absolute. I suggest the seasons why it is hard to understand ānanda in a way of vertical stages by considering six-ways through segregation process for clear understanding. With the beginning, a complex correlation among(more than two ways), brings impractical occasion to define in a only way. Secondly, the point that ānanda is used as same meaning of the perfection of a state itself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the best pleasure in a state of a sexual ecstacy which is No. 1 stage, the lowest one. At the last, if we limit the term of complex context under just one context, we can make an error accept a fragmentary state. As I said, with that there is a limitation to understand ānanda through on way, or considering vertical stages, it needs a new way for an overall understanding. Therefore, I suggest that we should open the possibilities to interpret through attempts from various points including a lateral thinking. 환희(ānanda)는 일반적으로 즐거움이 가득한 행복한 상태로, 인도의 여러 전통에서 아난다는 인간의 모든 욕망, 모든 고통,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일반적인 기쁨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상태, 해탈로 정의되기도 한다. 인도의 철학과 종교의 대부분이 의지하게 되는 공통적인 기반인 우빠니샤드에서는 궁극적 실재인 브라흐만을 알게 되면 모든 허망 분별을 벗어나 환희로 충만한 브라흐만과 하나가 되어 모든 세상의 속성을 버리고 슬픔을 여의어이룰 것을 이룬 자가 된다고 가르친다. 환희는 절대자의 본성을 나타내는 동의어로 쓰이기도 하지만 일상적인 즐거움에서부터 신과의 교감에서 얻어지는 황홀한 감정, 성적 쾌감의 절정상태로도 사용된다. 이처럼 환희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단계별로 증가하는 환희의 차이, 즉 환희의 단계에 대한 가르침을 통해 음미해볼 수 있는 여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희에 관한 논의는 전문·비전문적인 것을 더하여 굉장히 드물었다. 우빠니샤드 문헌에서 아난다는 문맥에 따라 다양하게 읽혀지지만 통상적으로 아난다는 어떤 즐거움의 상태이거나 최고의 존재를 강조하기 위한 수식어로 무비판적으로 수용될 소지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아난다에 대한 이해에 주의를 환기시키고 아난다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일차적인 목적으로 하며 한걸음 더 나아가 우빠니샤드 문헌 속에 사용된 아난다의 풍부한 의미들을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분류의 방법을 통해 용례들을 분석하고 용례들 간의 밀접한 연관성을 근거로 환희의 이해에 새로운 방향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아난다의 기원은 고대인도로부터의 지혜가 그대로 담겨 있는 인도의 종교와 신화 및 철학의 기초라 할 수 있는 베다에서부터 찾을 수 있다. 초기베다 문헌에서 아난다는 드물게 사용되며 비교적 단순한 즐거움이거나 몸의 부분(주로 남성의 페니스)과 연관하여 진행되는 격렬한 기쁨의 표현, 주로 성적 황홀감으로 쓰인다. 브라흐마나 시대로 와서 아난다는 점차 비유적인 표현이 늘고 문맥 안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내용 및 용어와의 연관성을 통해 함축적인 의미로 나타난다. 아난다의 성적 황홀감은 깊은 잠의‘의식이 없는’ 상태와 비유되고, 모든 즐거움들이‘음식’이라는 공통된 것으로 부터 파생되었다는 점은 맛(rasa)이라는 용어가 갖는 복합적인 의미에 따라 아난다의 이해에 영향이 있음을 암시한다. 베다에서 우빠니샤드 시대로 이행되면서 브라흐마나시대의 복잡하고 까다로워진 제의식과 형식주의에 대한 혐오는 세속적인 것에서 탈속으로, 욕망에서 금욕으로, 순응에서 초월로의 전환을 이끌었으며 베다의 여러 신들에서 브라흐만이라는 궁극의 일자(一者)로 통일되어감에 따라 아난다는 브라흐만을 강조하기 위한 형용사로 그 역할이 축소되어 궁극의 환희 상태는 브라흐만의 본질로 쓰이기 시작한다. 우빠니샤드 이전에 아난다가 성적 기관을 통해 얻어지는 격렬한 즐거움의 상태, 대상을 향한 강렬한 갈망의 직접적인 표현으로 사용된 것과는 달리 우빠니샤드 시대에서는 즐거움을 가지게 하는 자, 즉 브라흐만이라는 절대자를 내포하며 즐거움을 갖기 위한 분별력이 강조되면서 아난다와 성적 기관과의 연결이 보다 간접적으로 표현된다. 본 논문에서는 아난다라고 하는 하나의 용어가 가지는 다양한 의미를 조명하고 보다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6가지의 유형을 단계 구분의 방법을 통해 살펴보면서 환희가 오직 수직적인 단계로만 이해하기에 힘든 이유를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두 개 이상 유형들 간의 복합적인 연관성은 하나의 유형으로 확정하여 이해하기에 무리가 따른다. 둘째, 환희가 상태자체의 완전함으로 동일하게 쓰였다는 점은 환희가 오직 수직적 단계의 차이로 이해하기 힘들며 오히려 가장 낮은 단계인 ①번 유형, 성적 황홀감의 상태가 최고의 환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복합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용어를 하나의 의미로 제한할 경우 환희를 단편적인 상태로 한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희를 한 가지의 방법, 즉 수직적인 단계를 통한 이해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환희의 전체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새로운 방식이 요구된다. 그렇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이를 보완하여 수평적 이해를 포함한 다각도의 여러 시도를 통한 가능성들을 열어 두어야 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 요가, 방치된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

        박효엽(Park Hyo yup)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5 요가학저널 Vol.3 No.1

        To answer the question ‘What is yoga?’ is to define yoga. Although it is almost an impracticable task to define yoga, if an attempt is mad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ditions, yoga is ‘active intervention in the neglected life’. As yoga is applied in controlling the sense-organs, concentrating the mind, and being familiar with a certain work in the period of ‘Early Yoga’ mostly represented by Upaniṣads and Bhagavadgītā , it can be called a special art to exalt the life. And yoga can be a sort of art to rule over spirits in the period of ‘Classical Yoga’, since it is a process for attaining the ideal spirituality from the existentially given actuality of pain. Besides, yoga can be an art to hold and discipline one’s body sacred in the period of ‘Haṭha Yoga’, since it is a tool of intervention to prevent human body being profaned. Lastly, because yoga is mainly related to management, relaxation and therapy in the period of ‘Modern Yoga’, it can be an art of recovering the health of life. In this connection, yoga of each period is an outcome of changing one’s life condition artificially under the world view of those days without exception. Thus, granting that ‘active intervention in the neglected life’ is incomplete to define yoga, this definition is able to awaken to some extent what the basic spirit of yoga is. And this kind of the spirit of yoga suggests a new direction for contemporary yoga, that is to say, yoga should proceed to intervene the outer world actively through the yoga community. ‘요가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답하는 것은 요가에 대한 정의를 시도하는 일이다. 비록 요가를 정의하는 일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울지라도, 여러 조건을 고려한 채로 시도해 본다면, 요가란 ‘방치된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이다. 우빠니샤드와 『바가와드기따』로 대변되는 초기요가 시대에 요가는 감관을 제어하고 정신을 집중하고 특정한 일에 정통하는 것을 의미했으므로, 요가란 삶을 고양시키고자 하는 특별한 기술이다. 고전요가 시대에 요가는 실존적으로 주어져 있는 고통의 현실로부터 벗어나 이상적인 정신세계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었으므로, 요가란 일종의 마음을 다스리는 기술이다. 하타요가 시대에 요가는 인간의 육체가 세속화되는 것을 거부하면서 그것을 신성하게 만들고자 적극 개입하는 것이었기에, 요가란 육체를 신성하게 단련하는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현대요가에서 요가는 주로 관리, 휴식, 치유와 관련되기 때문에, 요가란 삶의 건강성을 회복하려는 기술이다. 이상과 같이 각 시대의 요가는 모두 당대의 세계관 아래 삶의 조건을 인위적으로 바꾸려고 시도한 결과이다. 따라서 요가를 ‘방치된 삶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기’라고 정의하는 것이 온전하지 못하더라도 이 정의는 요가의 근본정신을 어느 정도 일깨워 줄수 있다. 그리고 요가의 이러한 정신은 오늘날 요가가 ‘요가하는 공동체’를 통해 세계를 변화시키려는 움직임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 고전 우빠니샤드에 나타난 따빠스의 두 가지 용례

        임세린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6 요가학저널 Vol.6 No.1

        고전 우빠니샤드에 나타난 따빠스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해할수 있다. 먼저 따빠스의 열에 관한 용례는 창조의 원천 그 자체로서 신(쁘라자빠띠)의 창조행위와 연결된다. 그러나 열의 창조력이 주는 섹슈얼한 이미지는 윤리적인 문제와 결부되어 오히려 수행으로서의 고행의 가치를 주목하게 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따빠스의 고행과 연관한 용례는 제의에서 정화와 관련한 역할이 중요해짐에 따라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해탈에 이르기 위한 방편으로서 행위(제식)와 지혜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전개된다. 따빠스는 제식에서 주로 신체청결 및 호흡조절, 단식(또는 금식)등의 외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지혜와 관련해서는 베다학습 또는 내적명상을 위한 전제조건인 감각 조절 등의 심리·정신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따빠스의 두 용례는 선명하게 구분하여 이해하기에 어려운 지점이 있다. 본고는 고행의 두 수단인 행위, 지혜와 연관한 게송에서 불이 가지는 속성인 파괴를 통한 정화, 변형의 과정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따빠스의 열과 연관한 용례와 상호호환 가능하여 창조(또는 재탄생)로 귀결된다는 가정 하에 따빠스에 대한 통합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는 다음의 세 가지를 근거로 한다. 1) 해탈에 도달하기 위한 두 수단, 고행과 연관한 용례의 이면에는 불이 가지는 속성인 파괴를 통한 정화, 변형, 창조라는 과정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2) 쁘라자빠띠의 열이 가지는 섹슈얼한 창조의 이미지는 브라흐마짜르야에게서 동일한 문제를 이유로 수행된다. 3) 우빠니샤드에서 불이 의미하는 것은 외부의 불즉, 대우주의 신격적인 측면이 인간의 개별적인 측면에 내재해있다는 가르침을 주기위한 상징으로 이해하는 것이 적합해 보이기 때문이다. 우빠니샤드는 따빠스라는 연결고리를 가지고 인간이 신격과 동일해질 수 있는 적극적인 방안을 쁘라자빠띠라는 모델을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쁘라자빠띠는 만물이 창조되기를 결심(욕망)하고, 내적인 열을 일으킴으로써 자발적으로 고행에 참여하고 창조의 결과를 누린다. 우빠니샤드는 인간 또한 결심으로 된 존재이고, 결심은 행하는 대로 창조될 수 있음을 확정한다. 결과적으로 인간 또한 쁘라자빠띠처럼 고행을 통해 신성을 획득(창조성)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가르침은 아슈라마에서 구체적인 수행방법으로 나타난다. 브라흐마짜르야는 열을 모으고 열을 일으키는 고행을 배우다가 임주기에 열기를 서서히 늘린 후, 아그니를 자신 안에 옮겨 놓고 유행자(saṃnyāsa)가 된다. 마누는 이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 이 세상에서 모든 죄를 털고, 저 세상에서 지고의 브라흐만의 목적지에 도달하게 된다고 한다. 다시 말하면 고행을 통해 열을 일으키고 축적하여 얻은 창조의 에너지는 죽음을 극복하게 하는 동시에 열의 힘이 내재함으로써 획득된 창조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따빠스의 수행으로서의 가치는 재탄생(또는 창조)이다. 쁘라자빠띠가 제사에서 자기 자신을 희생함으로써 제사를 가장 완전하게 실현한 것처럼, 인간은 자기희생의 정신 속에서 삶이라는 무대에 모든 욕망을 바쳐 참여해야만 한다. 제사의 의미가 창조와 창조의 순환이듯 결심을 행하는 인간은 삶이라는 무대를 바탕으로 따빠스라는 실천행위를 통해 간절히 바라는 불사를 얻게 되며 이로써 그는 창조를 실현하게 된다.

      • 요가행법이 월경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 임상논문 고찰

        김태희(Kim Tae Hee)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4 요가학저널 Vol.2 No.1

        1990년부터 2014년까지 출간된 국내논문을 한정하여 요가(yoga), 월경통(생리, 월경, 생리통, 월경곤란)으로 하여 두 가지 검색어를 동시에 만족하며 본 연구에 부합하는 논문을 검색 엔진을 통해 단 2편으로 선정된 논문을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1) 적절한 피험자 수를 산출하는 과정이 묘사되지 않았다. 2) 연구가 단기간에 이루어져서 장기적인 효과는 알 수 없었다. 2편의 논문 모두 유의한 호전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나 요가행법의 좀 더 문헌적인 근거 부족과 여러 동작으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썼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어떤 동작에 의해 효과가 났는지 파악하기 어렵다. 앞으로 월경통 치료에 있어서 요가의 유효성을 입증할 수 있는 아사나, 호흡법, 명상 등 세분화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우선 요가행법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 할수 있는 기준에 대한 연구가 선행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요가행법 종료 후 추후 관찰이 이루어진 경우는 없었고 윤리성 제고를 위한 IRB통과 등 관련연구 설계에서 미흡한 점으로 파악 되었다. 향후 근거중심의학의 측면에서 높은 가치를 지닌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월경통 관련 연구 설계과정에서 1) 전향적 연구 여부, 2) 대조군 연구 여부, 3) 피험자 수와 산정 근거, 4) 무작위 배정 여부와 방법, 5) 맹검 여부와 방법, 6) 주 치료법 내용과 근거, 7) 부가 치료 여부와 효능, 8) 평가 척도, 9) 탈락자 처리 기준, 10) 추후 관찰 여부와 방법, 11) 통계분석 방법, 12) 예상 부작용과 처치 및 보상대책이 필요하고, 논문 작성시에는 1) 연구 설계에 따른 연구 과정의 기술, 2) IRB통과 여부와 시기명시, 3) 연구 일정의 명시, 4) 연구 흐름도에 의한 연구 과정의 도식화, 5) 탈락자 사유 분석, 6) 부작용 유무와 유형 및 인과관계 분석, 7) 타당한 경과 분석과 관련 연구와의 비교, 8) 추후관찰 결과의 분석과 관련 연구와 비교 9) 연구 결과 해석의 제한점 제시, 10)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성 제시가 필요하겠다. 월경통 관련 연구 설계과정에서 이러한 점이 보완되면서 논문 기술 과정의 방법론이 정확한 기술과 결과의 정확한 해석이 중시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현재까진 절대적인 연구의 수가 적은 것도 큰 문제점일 수 있으나 앞으로 좀 더 다양한 요가행법 체계를 임상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밝혀진다면 요가의 다양한 행법들을 월경통을 호소하는 여성들에게 일상생활에 불편함 없이 가정 내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대상자 스스로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본다. This essay studies two theses selected among the published domestic theses from 1990 to 2014 because they are content with key words, Yoga and Dysmenorrhea. As a result. they do not 1) describes about producing process of the proper number of examinee and 2) we do not know the long term effects because their studies had been made concluded a short period of time. Both of them show the significant results but expose the lack of literature ground of yoga practices and they applied the program composed with many movements so it could not grasp which movements were effect on the dysmenorrhea. In the future the studies have to be accomplished the treatment for the dysmenorrhea which can prove the effectiveness of āsana, praṇayama, meditation and so on. For these, first there will be a leading study for the basis evaluating the effect of yoga practices objectively. There are not any cases of observations after the examination of effects of yoga practice and also we grasp the insufficiency on the planning of involving researches for example a passage of IRB and the forth for increasing the ethicality. After this, in order to deduce the high valued consequences, there will be needed whether there are 1) some forward studies, 2) control group, 3) the number of examinee and the basis of estimate, 4) random assignment and the methods, 5) blinded experiment and the methods, 6) the contents of main treatment and the ground, 7) additional treatment and efficacy, 8) the measure of assessment, 9) the handling standard of people who are not selected, 10) later observation and its methods, 11) the methods of a statistical analysis, 12) the expected side effects and the treatment as well as the compensation in the planing process of studies related with dysmenorrhea. When writing the essay, there will be needed 1) the description of research process according to research planing, 2) whether it passes the IRB and specifies the time, 3) specifies the research schedule, 4) the diagraming of the research proces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research, 5) the analysis of the reason for not selected people, 6) with or without side effects and some pattern as well as the causation, 7)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oper analysis of the progress and the involving research, 8) the comparison between later observation result and the involving research, 9) describing the limitation of the interpretation on the result, 10) suggesting the thought-provoking of the research and the direction from now on. In the planing process of the research related with dysmenorrhea, it takes seriously the methodology in the essay description course with correct description and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From this study we can apply the various yoga practices to the women who complain the dysmenorrhea.

      • 요가의 길 삶의 길

        김형준(Kim Hyeong june)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5 요가학저널 Vol.3 No.1

        요가는 일반적으로 빠딴잘리의 요가수뜨라를 기점으로 이전의 고전 이전요가와 이후로 구분한다. 이 경우 고전 이전의 요가를 통해서는 요가의 기원을 파악할 수 있는 반면 이후의 요가를 통해서는 요가의 다양한 변화와 발전을 살펴볼 수 있다. 고대 고행주의에서 비롯된 요가의 출발은 후기 베다 시대에 이르러 명상의 방식이 도입되면서 일차적인 변혁기를 맞이했다. 명상의 수행방법은 육체의 억압을 통해 영혼의 해방을 추구한 고행주의와는 달리 인간내면의 의식을 향한 직접적 성찰이라는 새로운 수행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속에는 고대의 고행주의의 흔적이라고 할 수 있는 도덕적 금욕주의는 지속되고 있었다. 고행주의에서 비롯된 요가에 명상이라는 내면의식의 성찰이라는 방식이 도입되고 나서 양자가 결합된 방식은 이제 빠딴잘리의 요가 수뜨라에서 종합된 모습으로 나타난다. 도덕적 금욕에 기반한 명상수행은 다시 딴드리즘의 등장으로 또 다른 변화를 맞이한다. 이를 통해 요가는 고행주의와 금욕주의적 명상에서의 육체에 대한 무관심을 벗어나 오히려 일반적 관심을 포용하면서 몸에 대한 새로운 이해로 나아간다. 딴뜨리즘은 베단따철학을 통해 그들의 수행의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론적 바탕이 되었다. 이후에 나타나는 다양한 분파의 요가는 모두 딴뜨라에 속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발전과정 속에서도 요가를 일관되게 지속시켜온 힘은 바로 깨달음 해탈이라는 궁극목표이다. 다시 말해서 요가는 해탈을 추구하는 수행방식이다. 따라서 이 핵심을 놓치는 순간 요가는 그 의미를 잃고 만다. 요가는 살아있는 유기적 생명체이다. 그렇기 때문에 끊임없는 자기 발전을 꾀하면서 성장한다. 이러한 사실은 요가의 수행방식이 시대와 환경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스스로 다양하게 진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만일 궁극의 목적을 잃은 요가를 진정한 요가라고 할 수 없다면 현시대의 우리의 요가는 과연 어떠한가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해봐야할 것이다. Yoga generally divided into pre- and post-classical yoga base on The Yoga Sutra of Patanjali. Through Pre-classical yoga, we can grasp the origins of yoga, on the other hand, Post-classical yoga, we come to know the various change of yoga and its development. The start point of yoga on the ground of ancient asceticism met primary transforming in the later Vedic period when it accepted method of meditation. Meditation adduced new practical method forward to the inner consciousness of human. It differs from asceticism, which pursued the enlightenment of soul through repressed body. Nevertheless, in the method of meditation, there was the concept of moral asceticism as the trace of ancient asceticism. Yoga Sutra of Patanjali resulted from that combined with meditation and ancient asceticism. Practice of meditation based on moral asceticism meets again another change through the apperance of Tantrism. Tantra yoga broke bounds the indifference of body and accepted new apprehension about the body. Vedanta Today, various brenches of yoga belongs to Tantra Yoga. Even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yoga did not miss the final goal as the enlightenment or the moksa. In other words, yoga pursues the moksa. Consequently, when we miss the point, yoga will be meaningless. Yoga is the living organism. With this reason, it grows consistently self-development. This fact means the practical method of yoga evolves variousely in itself with many factors according to it s environment. Today, if yoga cannot be found its original goal, we think about it seriously.

      • 행복을 준비하는 요가

        박효엽(Park Hyo Yeop)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6 요가학저널 Vol.5 No.1

        현대요가는 인간이 행복을 성취하는 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까?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전에 먼저 요가는 일상으로 들어올 필요가 있다. 요가가 일상으로 들어오는 것이란 요가가 머나먼 초월이나 미래의 유토피아가 아니라 현재에 더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다. 또한 그것은 ‘요가 속의 삶’이 아니라 ‘삶 속의 요가’를 추구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요가의 역할을 과도하게 제시하지는 말아야 한다. 긍정심리학의 어법을 빌리자면, 요가는 보다 지속적인 행복을 목적으로 내적 환경을 개선하는 데만 특정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내적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란 곧 전 존재의 생태적 정화이다. 전통적 요가의 핵심개념이 정화라면, 행복담론에서 요가는 생태적 정화를 통해 행복을 위한 예비수단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바로 이 점이 다른 수행 전통들과 비교할 때 요가가 가지는 특별성이자 고유성이다. 그리고 이러한 생태적 정화는 요가를 명사적 관점이 아니라 동사적 관점에서 즉 목적적 관점이 아니라 과정적 관점에서 바라볼 때 더 잘 이해된다. 결국 요가는 목적 그 자체인 행복을 담기 위한 존재의 그릇 만들기라는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What kind of the role can be played by Modern Yoga to attain happiness? Before answering this question, first of all, Yoga is called on to come into daily life. To come into daily life in Yoga is meant to be more concerned about the present time rather than the transcendental or Utopian state of future time. And it is also meant to pursue ‘Yoga in life’ instead of ‘life in Yoga’. To borrow the expression of Positive Psychology, Yoga should carry out a special function alone that can improve inner environment in aid of more consistent happiness. To improve inner environment is nothing but an ecological purification of the whole being. If ‘purification’ is basic key concept of the traditional Yoga, Yoga in the discourse about happiness is to be a preliminary step for happiness through that ecological purification. This is the speciality and peculiarity of Yoga compared to other training traditions. And ecological purification is known better not from the viewpoint of goal or ‘noun’ but from the viewpoint of process or ‘verb’. After all, it can be said that Yoga is the making a vessel of being which stands for process to put in happiness, ie. the goal itself.

      • 행복한 마음을 디자인하는 아유르베다와 요가

        문을식(Moon Eul sik) 원광대학교 요가학연구소 2016 요가학저널 Vol.5 No.1

        이 글은 아유르베다와 요가를 통해 어떻게 행복한 마음을 디자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아유르베다가 건강증진과 장수를 목표로 한다면, 요가는 신체적 몸의 한계를 벗어나도록 돕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한다. 요가와 아유르베다는 함께 완전한 하나의 수련법을 제공한다. 우리가 이 둘을 함께 수련하면 우리의 존재를 신체적 수준으로부터 영적 수준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요가는 몸에 관해서는 아유르베다의 관점이 없이, 아유르베다는 마음에 관해서 요가를 이해하지 않고서는 완전할 수 없다. 따라서 요가의 기초는 아유르베다이어야 하고, 아유르베다의 열매는 요가이어야 한다. 행복한 마음을 디자인하기 위한 기본 이론에는 몸을 이루는 물질적 거친 원소와 세 체질과, 마음을 이루는 의식의 세 속성, 다섯 층, 그리고 몸의 세 상태를 살펴보았다. 행복을 디자인하는 길에서는 아유르베다에서 삿뜨바적 식이요법을, 요가에서는 요가자세, 호흡법, 감각철회 그리고 명상을 통해 행복한 마음을 디자인 하는 길을 모색해 보았다. 그 결과 우리가 여러 종류의 명상수련을 통해 현실세계에서 ‘행복한 마음’은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생활에서 기쁨과 만족감을 느껴 흐뭇한 상태’라는 사전의 정의에 따르면, 세 체질의 조화로운 균형과 조리된 삿뜨바적 식이요법을 비롯하여 요가자세, 호흡법, 감각철회, 명상 등을 통해 행복한 마음으로 가는 길로 디자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This article looks at how we can about happy heart through yoga and āyurvedic design. If the āyurveda aim athealth and longevity, yoga is helping to escape the limitations of the physical body as the ultimate goal. Yoga and āyurveda provide a complete one practice method. When we practiced this two together, we can transform from the physical level to the spiritual level, the level of our existence. As for the body, yoga can not complete without the perspective of āyurveda, as for mind, āyurveda can not complete without understanding yoga. Therefore, the basics of yoga must be the āyurveda, the fruit of āyurve da should be yoga. We looked at the basic theory for the design of happy heart, the gross material elements, the three doṣas, and the three guṇas, five kośas make up his mind. In the way to design your happy heart, we looked to find a way to design happy heart through sattvic diet in āyurveda, and āsana, prāṇāyāma, pratyāhāra, and dhyāna in yoga. As a result, through meditation practice in the phenomenal world, we can get happy heart.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a korean language dictionary, we have been seen that can be design the joy and satisfaction through dhyāna practice et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