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사의 영어 사용 외국인환자 간호 업무 경험

        유미자(Yoo, Mi-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간호사의 영어 사용 외국인 환자 간호 업무경험을 토대로 영어사용 외국인 간호업무 개선을 위해 시도된 질적연구이다. 이를 위해 C시 소재 D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중 영어사용 외국인 환자를 간호한 경험이 있는 6명을 대상으로 2017년 2월부터 2017년 4월까지 면담과 관찰법을 사용하여 자료수집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영어를 사용하는 외국인 환자를 간호한 업무경험이 있는 참여자들은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두려움’을 느꼈으며, ‘의사소통의 어려움’, ‘외국인 환자와 문 화적 차이’, ‘외국인 환자 간호를 위한 자원 부족’ 의 문제로 인해 간호업무 수행시 어려움을 겪었다. 반면에, 외국인 환자 간호 경험이 쌓이면서 자긍심이 생기고, 외국인 환자에게 먼저 다가가고, 다양한 생각을 존중하고 받아들이며, 상황에 따른 대처 능력을 키우고, 영어 공부를 시도하는 등 ‘외국인 환자 간호를 통한 역량증가’ 가 나타나기도 했다. 본 연구 결과는 영어 사용 외국인 환자 간호업무를 하는데 있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와 올바른 간호사의 업무 수행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되 며, 영어 사용 외국인 환자 간호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is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ed to improve nursing practicefor foreign patients who speak English, based on nurses’work experience of providing nursing practice for English-speaking foreign patients. The interview and observation method were used in order to collect data from February 2017 to April 2017 for six people who worked for the D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the C city and had the experience of nursing English-speaking foreign patien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subjects who had experience of nursing English-speaking foreign patients felt ‘fear for nursing foreign patients’, and the subjects had difficulties in nursing foreign patients due to ‘difficulty in communication, ’‘cultural difference with foreign patients’ and lack of resources for nursing foreign patients.’Meanwhile,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subjects led to ‘improving their capabilities.’For instance, by building upon their experience of nursing foreign patients, the subjects felt pride in nursing foreign patients, reached out to foreign patients, apprised and accept eddiverse ideas, enhanced skills to deal with situations, and tried studying English. This study would help examine what is needed to better nurse English-speaking foreign patients. Further, this study would be helpful in nurses’ performing desirable nursing practice, and be used as a basic material in nursing English-speaking foreign patients.

      • KCI등재

        외국인환자의 의료와 컨시어지서비스 이용경험이 의료기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몽골인과 카자흐스탄인을 중심으로

        조희란 ( Heeran Jamie Cho ) 대한보건협회 2020 대한보건연구 Vol.46 No.1

        연구목적 : 몽골과 카자흐스탄 환자의 컨시어지서비스와 의료서비스 이용경험을 환자경험 척도를 통해 확인하며, 환자 만족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서울, 경기, 인천 소재 의료기관을 방문한 외국인환자(몽골, 카자흐스탄) 126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방문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 만족을 t-test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컨시어지서비스 이용경험, 의료서비스 이용경험이 환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국적 및 성별과 환자 만족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여자가 남자보다 의료기관에 비교적 더 만족했고, 카자흐스탄 환자가 몽골 환자보다 의료기관에 비교적 더 만족했다. 또한 국적, 나이, 컨시어지서비스, 의료서비스는 환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컨시어지서비스와 의료서비스의 영향으로, 40세 이상이 40세 미만보다 의료기관에 더 만족했고, 카자흐스탄 환자가 보다 몽골 환자가 의료기관에 더 만족한다고 나타났다. 또한 환자 중심의 컨시어지서비스와 의료서비스는 모두 환자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론 : 의료기관은 외국인환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반영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외국인환자 유치 의료기관은 의료서비스와 더불어 컨시어지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국적별 환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와 국적별 맞춤형 컨시어지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외국인환자의 만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ierge service and medical service experiences for patients from Mongolia and Kazakhstan applying a patient experience scale. Methods: The sample population is 126 foreign patients from Mongolia and Kazakhstan who visited medical provid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Pati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visit-related characteristics is examined through t-test. In order to derive the effect of concierge service and medical service experience on patient satisfaction,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performed. Results: The analyses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ity, gender and patient satisfaction; females were relatively more satisfied than males, and Kazakhstani patients were relatively more satisfied than Mongolian patients with medical providers. In addition, nationality, age, concierge services, and medical services were shown to affect patient satisfaction. By the effect of concierge services and medical services, Kazakhstani patients became less satisfied than Mongolian patients, and those 40 years old and over were more satisfied than those under 40 years old with medical providers. Both patient-centered concierge and medical services had a positive impact on patient satisfaction.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medical providers to provide services that are tailored to foreign patie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dical providers which regularly attract foreign patient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ncierge services, in addition to medical services. It is also essential to provide patient-centered medical services and customized concierge servic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patients by nationality. These efforts would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backgrounds more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