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날뫼북춤 예능보유자 윤종곤 명인의 예술세계

        권오경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Art world of Yun Jong-gon who is Nalmoe Drum Dance(Buk Choom) practitioner. Nalmoe Drum Dance is very famous especially as the men’s group dance. This dance show the performing arts of Gyeongsang-do temperament. And this dance has understated splendor. Yun Jong-gon, the master of the art, seems to have inherited the artistic temperament of his father, Yoon Oe-jeung (1908-1973). And in his early 20s, he met his teacher, Kim Soo-bae, and joined Bisan Nongak. He devoted himself to drum dance training including playing the gong (Kkwaenggwari), Finally he became the master of Nalmoe Drum Dance in Jan. 2010. Yun Jong-gon (1962-)'s Nalmoe Drum Dance Victory is Kwon Bong-gil (1911-Misang), Kim Jang-do (1921-Misang), and has a genealogy that leads to Kim Soo-bae (1927-2006). Especially from Kim Soo-bae, he learned the height, angle, and flexibility of the drum when he crossed the drum. Also he learned Deutbaegi dance and shoulder dance, Kkwaenggwari direct hit method, and humanity. In addition to his active performances, Yoon Jong-gon is also focusing on the Nalmoe Drum dance education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characteristic of Yun Jong-gon's drum dance can be summarized as 'restricted splendor'. The dances he particularly emphasizes are Deokbaegi and Gutgeori dances. Among the 12 madangs of Nalmoe Drum Dance, Jeongjeonggungi, assorted Gut, Salpuri, and Deokbaegi are particularly important. Among them, Salpuri is associated with the archetypal nature of the Nalmoe Drum Dance, which is a combination of ritualistic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이 연구는 대구시에 소재한 날뫼북춤 예능보유자 윤종곤 명인의 예술세계를 조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국적으로 북춤이 전승되는 사례가 드물기도 하지만 특히 날뫼북춤은 남성 군무가 돋보이면서도 절제된 가운데 화려한 멋을 자아내는 경상도 기질의 공연예술물이기 때문에 주목할 만한 대상이다. 또한 날뫼북춤은 주로 남성들로 이루어지는 단체 공연물이기도 하지만 그 팀을 이끄는 보유자의 기예와 리더십이 우선되어야 단체공연이 살아날 수 있기 때문에 보유자에 대한 고찰 역시 필요한 작업이라고 본다. 명인 윤종곤은 아버지 윤외증(外增 1908-1973)의 예술적 기질을 이어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20대 초반에 스승인 김수배를 만나 비산농악에 입단하고 꽹과리를 비롯한 북춤 수련에 정진하면서 김수배 북춤의 예술적 기예를 물려받으면서 1992년에 전수장학생, 1997년 5월에 이수자, 그해 10월에 전수조교가 되었고, 2010년 1월에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윤종곤(1962-)의 날뫼북춤 전승은 권봉길(1911-미상), 김장도(1921-미상), 김수배(1927-2006)로 이어지는 계보를 지닌다. 특히 김수배에게서 그는 북을 메고 넘을 때 북 높이와 각도, 유연성과, 덧배기 춤과 어깨춤사위, 꽹과리 직타법, 인간성 등을 배웠고, 지금도 그대로 전승하고 있다. 또한 윤종곤은 활발한 공연활동뿐만 아니라 초중학교 중심으로 날뫼북춤 교육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윤종곤 북춤의 특징은 ‘절제된 화려함’이라고 요약할 수 있으며, 그가 특히 강조하는 춤은 덧배기춤과 굿거리춤이다. 그리고 날뫼북춤 12마당 중에서 정적궁이, 모듬굿, 살풀이, 덧배기 등의 마당을 특히 중히 여긴다. 이 중에서도 살풀이는 날뫼북춤 발생의 원형성과 연관되어 제의적 성격과 예술적 성격이 공존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날뫼북춤 춤사위 연구

        윤제명,윤혜미 영남춤학회 2023 영남춤학회誌 Vol.11 No.1

        이 연구는 날뫼북춤의 춤사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영상자료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날뫼북춤은 전체적인 춤사위가 절제되고 통일감 있는 춤으로서 군사들이 훈련을 받은 것과 같이 체계적이고 일사 분란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제5마당의 강강술래와 제7마당의 오방진 등에서는 군사훈련을 위해 대형을 짜고 훈련을 하는 모습이 연상되는 등 전체적으로 체계적인 전투무용과도 같다. 둘째, 날뫼북춤은 군사적인 요소가 강한 만큼 농경문화의 영향을 받은 춤사위는 거의 드물지만, 11마당과 12마당을 통해 농경문화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1마당과 12마당을 통해 날뫼북춤에 농경문화적 성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전체적인 춤사위의 흐름을 살펴보면, 군사적 요소가 더 부각됨으로서 날뫼북춤은 전투무용적 성향이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달구벌 덧배기춤의 미적(美的) 고찰(考察)

        백현순 ( Hyun Soon Baek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3

        본 연구는 달구벌 덧배기춤의 미적 특성을 밝혀 실기연행에 필요한 춤의 토대를 세우는데 있다. 특히 춤사위의 구성과 관련하여 달구벌 덧배기춤에 내재된 춤사위의 미적 특성이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 춤의 외적 형태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춤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 춤 고유의 미의식을 통해 내재적 해석이 표현으로 발현되기 때문이다. 연구내용으로는 우선 문헌자료를 토대로 달구벌 덧배기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성립되었는지 그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 춤의 특징을 논의한 후, 그리고 이 춤을 구성하는 춤사위의 근거를 추적하여 그 미적 특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달구벌 덧배기춤은 대구의 천왕매기굿에서 춤의 역사적 맥락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춤사위는 허튼춤 계열, 들놀이 계열, 천왕매기굿 계열로 구성하여 대구의 특성이 반영되었고 이 춤의 미적특질은 배김새를 통한 호방과 완곡의 미의식이 민중들의 인간적인 삶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허튼춤에서 보여주듯이 삶의 애환에서부터 초탈된 자유로운 생명력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was to build a foundation of the dance needed for practice by reviewing the aesthetic elements of Dalgubeol Deotbaegi dance. To attain this purpos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the history of this dance based on references and suggested theoretical grounds and explained features.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base of dance moves that form this dance. As a result, the historical context of Dalgubeol Deotbaegi dance was historically linked to Cheonwangmaegi Gut of Daegu. Dalgubeol dance`s broad-minded and euphemistic elements reflected the plain life of the ordinary people and it showed a vitality transcending joys and sorrows of life like those shown in Heotten 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