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

        박은경 ( Park Eun-kyung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3

        불전 장엄의 가장 대표적인 방식이 채색이나 그림으로 불전의 안팎을 장식하는 것이다. 이에 수많은 벽화와 단청이 전국 사찰 곳곳에 존재하지만, 대부분 조선후기에 제작된 것이다. 그 이유는 특히 고려시대 몽고의 침략과 조선시대 임진왜란 등과 같은 전란으로 인해 사찰 건축이 피해를 많이 입었으며, 이에 따른 벽화도 불타고 소실되어 버렸다. 뿐만 아니라 사찰의 목조건물을 해체하고 중수·보수되는 과정에서 벽체가 교체되면서 벽화가 유실되거나 혹은 벽화가 덧칠되는 사례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고려후기에 제작된 영주 부석사 조사당의 범·제석천 및 사천왕 벽화는 현존하는 사찰벽화 가운데 최고의 사례이자, 고려시대 유일한 불교도상 벽화 사례라는 점에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매우 귀중한 벽화자산이다.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창건한 부석사는 화엄십찰(華嚴十刹)로도 알려진 유서깊은 명찰로, 영주시를 지나 봉황산 중턱에 둥지를 틀고 있다. 부석사는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로, 지난 해 2018년 6월 ‘산사, 한국의 산지 승원(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찰이다. 사찰의 경내 주불전인 무량수전을 지나 위쪽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조사당 건물이 자리한다. 지금까지 부석사 조사당 벽화에 대해서는 부석사 및 조사당 수리보고서 등에서 언급되어 왔고, 제작기법이나 사천왕의 명칭 및 도상과 양식 등을 다루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기존의 견해와는 달리, 조사당 벽화의 도상을 재검토하고, 그 배치문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도상과 배치에 관해 기존에 명명되고 있는 존상명에 대한 재검토와 더불어 불교미술의 방위관에 착안하여 배치 문제를 살펴보았다. 고려 및 조선시대 사천왕상 배치형식이 작품에 따라 달라지는 원인과 관련된 다양한 의견이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기준이 되는 향방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적어도 통일신라 석굴암이나 고려시대 불화는 동향법(東向法)이 적용된 사례라는 점이다. 그런데 부석사 조사당은 본존이 남쪽을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의 남향법(南向法)에 입각한 배치이다. 이 남향법은 조선시대에 보편적으로 많이 보이는 향법이나, 적어도 고려시대 부석사 조사당을 통해 남향법이 등장하였다는 사실이 주목 시 된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조사당 사천왕벽화의 서방의 용 모티브의 등장이나 남향법 배치 등을 통해 새로운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어떤 원리에 의해 향법이 작용한다는 사실은 조사당 벽화 도상의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most representative way of decorating Buddhist halls is to adorn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s with colorings or paintings. Although numerous mural paintings and dancheong- a traditional multi-colored paintwork on wooden buildings- are found in Buddhist buildings throughout the country, most of them were paint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Buddhist temples were damaged and mural paintings were also burnt and destroyed by the invasion of Mongo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addition, many mural paintings were either lost or repainted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their walls during the process of dismantling and repairing the temples' wooden buildings. In this sense, the Pusok temple's mural paintings of Brahma, Indra Sakra and the Four Devas in the late Goryeo dynasty are invaluable heritages in that they are not only the best examples of existing mural paintings but also the only examples of Buddhist mural paintings of the Goryeo dynasty. Pusok temple, founded in the 16th years of King Munmu(676) by the Buddhist monk Uisang, is a historically distinguished Buddhist temple and also known as one of ten Avatamska temples. It is a branch temple of Goun temple, the 16th parish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This temple has nestled in the middle of Bonghwang mountain after passing through Yongju city. Moreover, Pusok temple is currently a UNESCO World Heritage Sites under the name of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since June 2018. Passing through the main building of Pusok temple-Muryangsujeon, the Chosa-Hall is located a little above. Heretofore, previous researches on Chosa hall's mural paintings of Pusok temple have been mentioned in the repairing reports on Pusok temple and Chosa hall. In addition, these researches have been mainly dealt with production techniques, styles, icons and names. However, unlike the previous researches, this article focuses mainly on reviewing the icons and layout of the mural paintings of Chosa hall in Pusok temple This article attempts a new interpretation on the icons and layout of the mural paintings of Chosa hall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names and traditional method of arranging direction and location on Buddhist art history. It seems that the layout of painting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of the standard direction, though there were various explanations on changing arrangements of the Four Devas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Chosun dynasty, according to each art work. At least, Seokguram in the Unified Silla and Buddhist paintings of the Goryeo dynasty are the cases which apply the eastward method. However, paintings of Chosa hall in Pusok temple have been arranged based on the southward method in that the main Buddha status is facing south. It is important that this southward method is founded in the case of Chosa hall, Pusok temple during the Goryeo dynasty, since it was a common method of arranging temples' hall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course of this research, a new fact was founded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Western dragon motif and the southward arrangement of the Four Devas. Therefore, a certain rule influences on the Buddhist halls' direction and location, and this rule will be an important clue that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Chosa-Hall's mural paintings.

      • KCI등재

        부석사 조사당 신장 벽화를 통해 본 조사당 건립의 배경과 의미

        심영신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6 No.1

        이 글은 설산 천희(雪山 千熙, 1307~1382)가 영주 부석사에 조사당을 건립하게 된 배경과 의미를 조사당 벽화를 통해 살펴본 것이다. 조사당의 남벽(출입구 위치)에는 북벽에 위치한 의상 대사상을 마주 보며 6구의 신장(사천왕과 그 양 옆으로 제석천과 범천)이 그려져 있다. 이 신장 그림은 우리나라 사찰 벽화 중 가장 오래된 작품으로 매우 독특한 특 징을 보인다. 사찰 전각의 내벽에는 경전에서 묘사하는 장면들을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조사당에는 이런 종류의 벽화는 없으 며 신장들만 그려져 있다. 이는 유일한 예이며, 승려상과 마주보는 위치에 신장들이 그려진 예도 찾아볼 수 없다. 주인공 인 승려(의상대사)를 외호하기 위한 신장의 배치와 부조상(浮彫像)을 그림으로 번안한 듯한 표현상의 특징은 특히 주목 을 요한다. 그 구성과 표현이 팔각의 탑신 표면에 신장상을 새긴 나말여초 선종의 석조승탑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도상 또한 나말여초기 신장과 유사성을 지닌 고식이다. 이중 동방과 서방천왕의 존명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었는데 이 글에서 는 나말여초 승탑의 사천왕 배치 순서에 근거하여 이들의 명호를 제시하였다. 한편, 해동 화엄의 초조 의상 대사를 기념하여 조사당을 건립하고 이를 외호하는 신장들을 배치했다는 것은 개산조 에 대한 숭배 개념을 드러낸다. 따라서 조사당 건립의 목적 또한 선종 승탑 건립 이념의 연장선에서 찾았다. 문제는 설산 천희가 화엄종 승려이고 부석사는 대표적인 화엄 사찰이라는 점에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조사당 건립의 배경을 이해 하기 위해 14세기 고려 불교계의 상황과 창건주 설산 천희의 행적을 살펴보았다. 14세기에는 간화선이 우위에 있었기 때문에 천희는 58세의 노령에도 원나라에 유학하여 간화선사의 인가를 받아온 뒤 국사의 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결국 부석사로 밀려나 부석사 중창에 힘쓰게 된다. 천희는 아마도 사찰 중창을 통해 부 석사의 위상을 높이고 선종에 위축되어 가던 화엄종의 발전을 모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14세기 선종의 부상 아래 힘을 잃어가던 화엄종이 그 발전을 모색하는 시도 속에서 조사당을 건립하였고 이러한 염원이 벽화의 특징으로 잘 드러난다 는 점에서 조사당 벽화의 불교사적인 가치 또한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construction of Josadang Hall in Buseoksa Temple, Yeongju, by Seolsan Cheonhee(1307~1382) in the late 14th century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ll’s mural. Six guardian deities(the Four Heavenly Kings in the center, Indra and Brahma on each side of the kings) are depicted on the southern wall(location of the entrance) of the Josadang, facing the statue of the great monk Uisang(625~702 AD) on the north wall. This mural is the oldest among Korean temple murals and exhibits very unique characteristics. In general, scenes from the scriptures are depicted on the back wall of the central statue. In contrast, the Josadang mural depicts only the guardian deities facing the main statue with no scene description. The appearance of the deities, who seem to protect the main statue of the monk Uisang, and their expressions, as if drawn from relief statues, are not seen in other murals. Nevertheless, it is similar to the stupas of the Seon(Ch. Chan 禪) sect monks established from the late Silla(57 BC~935 AD) through early Goryeo(918~1392 AD), with guardian deities on their surface. The iconography of the deities is a classic form of the late Silla to early Goryeo. The fact that the Josadang was built to commemorate Uisang, who founded the Korean Hwaeom sect(Ch. Huayan sect, 華嚴宗), and that guardians were placed to protect Uisang’s statue reveals the concept of worship for the monk who founded the sect. As a result, the reason Cheonhee built the hall can also be understood as an extension of the ideology behind the construction of the stupas of the Seon sect monks. The problem, however, is that Cheonhee is a monk of the Hwaeom sect, and Buseoksa is a representative temple of the Hwaeom sect, not the Seon sect. Therefore, to better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hall’s construction, this article examined the situation of Goryeo Buddhism in the 14th century as well as the activities of Seolsan Cheonhee. Since Ganhwa Seon(Ch. Kanhua Chan, 看話禪) was dominant in the 14th century, Cheonhee went to study in the Yuan Dynasty(1271~1368 AD) at the age of 58 and was approved by Chinese Ganhwaseon monks before taking the position of Guksa(國師 national monk). However, he was eventually pushed to Buseoksa Temple, where he worked hard to rebuild it. Cheonhee most likely sought to expand the Hwaeom sect, which had been shrinking compared to the Seon sect, by enhancing power with the reconstruction of Buseoksa. The desire that the Hwaeom sect, which was losing its power due to the rise of the Seon sect in the 14th century, attempted to develop it by building Josadang hall, is well revealed by the Josadang murals.

      • KCI등재

        영주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수리·보존 이력 및 손상변화에 관한 문헌적 고찰

        문혜영,김설희,이태종,장성윤,정혜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22 한국전통문화연구 Vol.30 No.-

        Currently, mural paintings in the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have severe white pollution all over them and damage to the painting layer, and th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is treating them for conservation. In this process, for setting directions for more systematic conservation treatment, this study would figure out the history of the conservation state of the mural. The mural has been through several times of conservation treatment and movements of the place of storage for about 100 years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Josadang Shrine, and a more detailed investigation would be needed in that most of the damages were caused by conservation treatment in the past. Thus, this study collected material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related to the mural painting in the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which have not been revealed and investigated how the conservation states were changed. So that they would be utilized in setting directions for conservation treat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cords of preservation for about 100 years since around 1916 when the mural was separated from the Josadang Shrine were drawn up as a chronological table, and it was possible to compare the main conditions of damages by periods. The mural had two times of conservation treatment in 1925 and 1985 and four times of movement of the place of storage after the separation from the Josadang Shrine. When separated from the building, there were cracks and losses of the wall, and it was reinforced with gypsum (CaSO4) in the first conservation treatment. The gypsum used at this time rose from the humid environment to the surface, and the overall mural was covered. The painting layer had already had losses around the middle height before the separation and generally been weak. Thus, reinforcement and adhesion were done, using resins in two times of conservation treatment. However, accordingly, additional damages currently have occurred seriously like the excessive hardening and flaking of the painting layer, the discoloration of the remaining adhesive agents and polishes. As for the data on the Josadang Shrine mural after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re have been gaps in terms of periods, and there was a limitation that the records related to conservation treatment have informally been written. However, it was possible to comprehensively investigate history and changes of conservation state of the mural paintings in Josadang Shrine of Buseok-sa Temple through this study, which would be going to be utilized as the baseline data in establishing plans for conservation treatment in the future. 현재 부석사 조사당 벽화는 전면에 걸친 백색 오염과 채색층 손상 등이 심각하여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 보존처리 중에 있다. 이 과정에서 보다 체계적인 보존처리 방향 수립을 위하여 벽화의 보존 상태 이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벽화는 조사당에서 분리된 후 약 100여 년 동안 여러 차례의 보존처리와 환경 변화가 있었는데, 손상의 대부분이 과거 보존처리에서 기인한다는 점에서 더욱 자세한 조사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확인되지 않은 부석사 조사당 벽화 관련 일제강점기 이후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기별로 보존 상태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파악하여 앞으로의 보존처리 방향 수립에 활용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1916년경 조사당에서 벽화가 분리된 시점부터 현재까지 약 100여 년간 벽화의 보존 이력을 연표로 작성하고 주요한 손상 상태를 시기별로 비교할 수 있었다. 벽화는 조사당에서 분리된 후 1925년경과 1985년, 총 두 차례의 보존처리와 네 차례의 보관 장소 이전이 있었다. 건물에서 분리될 때 벽체 균열 및 손실이 발생하여 첫 번째 보존처리에서 이를 석고(Gypsum, CaSO4)로 메움처리하고 목재보관함에 넣은 것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이때 사용된 석고가 다습한 환경에서 표면으로 용출되어 벽화 전면을 피복하게 되었다. 채색층은 분리 이전부터 중간 높이 부근의 손실이 있었고 전반적으로 약화된 상태였다. 이에 두 차례의 보존처리에서 수지를 이용한 경화·고착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로 인해 현재는 채색층의 과도한 경화와 박리·박락, 잔류한 고착제의 변색 및 광택과 같은 추가적인 손상이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일제강점기 이후의 조사당 벽화 자료는 시기상 공백이 존재하고 보존처리와 관련한 기록이 약식으로 기재된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부석사 조사당 벽화의 이력과 보존 상태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보존처리 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