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통감각과 메텍시스 -칸트, 랑시에르, 아도르노에게서 ‘도래할’ 공동체의 원리

        한상원 ( Han Sangwo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20 도시인문학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칸트, 랑시에르, 아도르노의 고찰들을 중심으로 신자유주의적 파편화와 사회 해체 이후 필요한 공동체적 관계의 원리에 관한 사유를 논하고자 한다. 칸트는 그의 공통감각 개념을 통해, 공동체가 전제하는 공통성이 공통의 감각적, 정서적 유사성에 기초해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는 그러한 공통성을 가능케 하는 특정한 방식의 시공간의 구조적 분할과 배치를 전제한다. 이로부터 랑시에르는 칸트가 전제하는 이러한 공통성의 구조가 중립적인 합의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감각적 분할과 재분할의 과정을 둘러싼, 배제와 참여의 갈등 속에 전개되는 것임을 보여준다. 끝으로 아도르노는 이러한 정치적 공동체의 형성과정 속에서 미메시스적 연대의 형태들을 발견하고자 한다. 그에 따르면, 개별자와 보편자 사이의 탈억압적 관계망을 의미하는 짜임관계의 형성은 이러한 원리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논의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혈연적 동질성이나 지역적 테두리에서 형성되는 전통적 공동체와 구분되는 현대적 방식의 공동체성의 형성조건과 그 사회·정치철학적 함의들에 관해 논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thoughts on the principle of communitarian relations which is needed after neoliberal destruction of the society. In this purpose, this article relies on reflections of Kant, Rancière and Adorno. Through his concept of common sense, Kant shows that ‘the common’ which is presupposed in a community must be based on the sensual, affectional similarity. From this point of view, Rancière concluded that this structure of the common which Kant assumes is not constituted by neutral consensus, but spreads out in conflicts between exclusion and participation. At last, Adorno tries to discover the forms of mimetic solidarity 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political community. According to him, the formation of constellation which means non-repressive relation between the individual and the universal can be accomplished by principle. Based on this discussion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onditions of the formation of community in modern way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philosophical implications.

      • KCI등재

        1930년대 독일 나치 정부시기의 축구 관람 문화

        박상욱(Park, Sang-Wook) 부산경남사학회 2015 역사와 경계 Vol.95 No.-

        나치는 이른바 ‘나치의 획일화’를 통하여 국민들의 스포츠 여가문화에 대한 면밀한 개입과 통제를 하였으며, 축구 관람에서 역시 정치적이며 이념적인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며,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관람문화가 생산되었다. 이러한 나치의 관람문화는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관객들의 직접 참여와 체험을 통하여 독일 민족의 통합과 단결을 공고히 하겠다는 의도를 표방하였다. 이를 위하여 나치가 관람문화에서 내세웠던 구체적인 표제는 ‘민족공동체’였다. 이러한 집단적 공감대를 스타디움에서 연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나치는 관객들의 동원과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일종의 환각상태를 야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나치에 의하여 생산된 제식행위는 고대 메텍시스(관람문화의 원형)의 동시대적 재현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나치가 생산하였던 이 축구 관람문화는 소비시장이었던 스타디움에서 한계를 드러냈다. 소비자였던 관객들에게 나치의 관람문화는 이른바 “정당경기”라고 불리며 외면당하였다. 왜냐하면 관객들의 관심은 스타디움의 정당홍보나 이념선전이 아니라, 유명클럽의 경기의 질, 재미, 긴장감 그리고 인기선수들의 참여에 있었기 때문이었다. 유명 선수들이 이 행사에 동참하지 않는다거나, 우승후보 구단들이 경기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에는 관객들의 관심도가 급감했으며, 이는 곧바로 스타디움의 관객 수 감소로 직결되었다. 관객들의 이러한 반응은 전체주의적인 관람문화를 생산하였던 나치가 강제하거나 통제 할 수 없었던 자체의 고유한 운동양식이었다. 따라서 고대와는 다르게 나치 시기의 축구 관객들은 메텍시스의 중심축에서 일탈하여 관람문화를 소비하는 새로운 권력으로 등장하였다.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german football spectator culture in the 1930s. With the ‘Coordination of the Nazi’ new Football spectator culture was established. Especially Stadium (a football stadium) has been reproduced in a new and unique viewing space of the culture according to the political needs and objectives of the Nazis. The purpose of the Nazis was to have the audience directly participate and experience the ethnic communities. Through this collective consensus the Nazis attempted to cause a hallucinations of spectator. In this context the by Nazi new produced german spectator culture was representation of ancient Methexis. But this the football spectator culture had problems in Stadium as consumer market. Because Football audience was interested in the football game itself larger than political ritual behavior.

      • KCI등재

        노래 부르기의 정치학: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합창 논란에 대한 수행적 관점의 분석

        배묘정(Bae Myo Jung)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서강인문논총 Vol.0 No.59

        1981년 작곡된 이래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청각적 상징이 된 <임을 위한 행진곡>은 지난 10여 년간 제창·합창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언론에서는 기념식에서 노래를 부른 사람과 부르지 않은 사람에 대해 집중하여 보도했고, 노래를 두고 좌우 진영 간의 색깔 논쟁은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2017년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과 함께 5·18 기념식의 공식 기념곡으로 지정되고 제창이 부활됨에 따라 이러한 논쟁은 자연스럽게 종식되었으며, 2020년 11월에는 제창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되어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의 법제화를 추진 중에 있다. 이 글에서는 <임을 위한 행진곡>의 제창·합창 형식에 대한 그간의 논란을 ‘누가 부르는가’의 관점이 아니라, ‘함께 부르는 노래’의 관점으로부터 다시 접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오늘날 문화 전반에서 새로운 인식의 틀로 기능하고 있는 수행성(performativity)의 패러다임을 참조하여 ‘노래 부르기’라는 소리 현상에 적용하고자 하며, 베네딕트 앤더슨이 상상의 공동체 이론을 통해 지적한 유니즈넌스(unisonance)의 개념과 더 나아가 소리 기억(sound memory)의 수행성을 통해 제창 양식에 잠재된 정치적·미학적 의미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 과정 속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은 다양한 전유 방식을 통해 국가적·초국가적 기억 주체들의 목소리가 결집되는 청각적인 연대의 장소가 되는 동시에, 지배 권력과의 긴장과 이완 관계 속에서 노래 부르기의 정치학이 전개되고 있는 집단기억의 장소로서 자리매김 된다. Since its composition in 1981, <Marching for our Beloved>, which has become an auditory symbol of the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has been controversial over the past 10 years in the terms of the obligation of its singing-in-chorus during ceremonial commemoration. And the song had been concluded to exist in the form of a nonmandatory chorus, after being rejected its mandatory chant in unison by former government of South Korea. The media focused on the people who sang the song and who did not at the ceremony, and the color debate and ideological argument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camps over the song continuously persisted. However, with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Moon Jae-in in 2017, this debate naturally ended since the song was designated as an official commemorative anthem and revived as a mandatory chant of May 18th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November 2020, a bill was proposed to prepare the legal basis for the advocacy, and the legislation of the legal duty to obligatorily sing the song in commemoration is underway.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reapproach the long-pending controversies over the obligation of singing <Marching for our Beloved>, not from the viewpoint of "who sang it or not" but from the standpoint of "singing that together". On this purpose, I will refer to the new cognitive paradigm of performativity, which is functioning as a new framework for recognition of overall contemporary culture, and apply the conception to a sound-phenomenon of “singing a song”. Through the concept of unisonance that Benedict Anderson pointed out through the theory of imaginary community, and furthermore, through the performativity of sound-memory, I aimed to clarify the potential political and aesthetic meanings of compulsory singing. In the course of its analysis, <Marching for our Beloved> reveals itself as a place of auditory solidarity where the voices of national and transnational memory subjects are gathered through various appropriation methods. At the same time, this song is positioned as a place of collective memory where the politics of singing is unfolded in the relationship of tension and relaxation with the ruling reg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