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동아시아 문학의 확장: 류큐 표류기, 군기, 설화 : ▣ 기획의도 ; 『조선왕조실록』 성종조의 류큐(琉球) 표류에 관한 고찰: 김비의(金非衣) 일행이 방문한 아에야마 열도(八重山列島)의 섬이름과 송환 사자에 대하여

        하카마다미츠야스 ( Hakamada Mitsuyasu ) 연민학회 2015 연민학지 Vol.24 No.-

        본고는 조선왕조실록 성종 10년(1479) 조에 보이는 김비의(金非衣) 일행 3명의 ``표류기``를 살폈다. 검토하고자 한 논점은 ``표류기``에 기록된 야에야마(八重山) 지방 섬들의 명칭 문제와 김비의 일행을 조선에 송환했을 당시의 사자 문제 두 가지이다. 전자에 대해서는 1920년대부터 오쿠라 신페이(小倉進平)와 이하 후유(伊波普猷)에 의해 지명에 대한 추정이 있었고, 일본에서는 이것이 현재도 통설로 계승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추정의 근거는 한자 표기된 섬 이름의 발음을 단서로 삼은 것이었기에, 현재의 섬 이름에 가까운 것이 없는 경우에 억지로 끼워 맞춘 경향이 확인된다. 가장 극심한 예는 ``后伊是麻`` 혹은 ``훌尹是마``라고 표기된 섬이다. 한자 표기로 보면 ``후이시마(フュイシマ)`` 혹은 ``훌윤시마(フルリュンシマ)`` 등으로 발음 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가까운 발음으로 읽히는 섬 이름은 현재의 야에야마 제도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하 후유의 설에서는 이것을 구로시마(黑島)에 해당한다고 하였고, 이것이 통설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표류기의 방위나 거리에 대한 기록으로 보았을 때, 가장 상응하는 것으로 보이는 위치에 있는 섬은 이시가키시마(石垣島)이나, 이시가키시마는 산지가 있는 비교적 큰 섬으로 농사도 행해왔다. 그러나 ``훌尹是마``는 하루만에 한 바퀴를 돌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섬으로 농사를 짓지 않았다고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지리적 조건은 이시가키시마와 합치되지 않는 것이 확실하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구로시마와 이시가키시마 사이에 위치한 다케토미시마(竹富島)이다. 다케토미시마는 주위 10km 정도의 작은 섬으로 산호초가 융기한 섬이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평탄한 산지나 하천이 아니다. 이 때문에 다케토미시마는 수원(水源)의 혜택을 받지 못해 농사가 행해지지 않았다. 이러한 제반의 조건은 다케토미시마가 ``훌尹是마``에 대한 기술과 합치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나아가 15세기 당시에 있어서 다케토미시마가 사키시마(先島) 지방의 정치적인 중심이었다고도 볼 수 있다. 즉, 사키시마 열도의 서쪽 끝에 요나구니시마(與那國島) 부근을 표류했던 김비의 일행은, 사키시마 제도의 섬에 이송된 뒤, 다케토미시마를 최종거류지로서 했다가 그 다음으로 미야코(宮古) 제도를 향해 송환되었다고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다케토미시마라는 명칭의 발음은 ``후이시마``, ``훌윤시마``라는 발음과 전혀 다르므로, 종래 구로시마설(黑島說)과 같은 상황에 처하게 만든다. 따라서 ``훌尹是마``를 다케토미시마로 단정 짓는 데에는 신중을 기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지만 80년 이상 전에 성립된 근거의 희박한 설을 지금까지 수용해왔다는 것은 문제적이며, 재검토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즉, 이 문제는 단순히 섬 이름의 문제에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16세기 류큐 왕부에 의한 야에야마 정벌 이전에 있어서 야에야마 제도의 중심이 어디였는지에 대한 역사적인 문제와도 관련되는 것이며, 나아가 앞으로의 사료 검토를 필요로 하는 과제인 것이다. 후자에 대해서는 표류민 김비의 일행을 본국에 송환한 하카타(博多)의 상인 ``新時羅``가 단순히 ``위사(僞使)``였다는 데에 그칠 것이 아니라 다면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新時羅``는 김비의 일행의 송환 담당을 자처했고, 쇼신왕(尙眞王)에게 위탁받는 형식으로 김비의 일행을 조선에 송환시켰다. 그러나 그는 쇼신왕의 사자가 아니라, 어떻게 된 영문인지 제1기 쇼씨 최후의 왕이었던 ``쇼토쿠왕(尙眞王)``의 사자라고 고했다. 이렇게 사칭을 행한 이유는 분명치 않지만, 이듬해 조선을 방문했던 위사 ``敬宗`` 일행도 똑같이 ``쇼토쿠왕``의 사자를 사칭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아마도 쇼토쿠왕 시대부터 조선과의 교류나 무역에 종사해온 하카타의 상인들은, 쇼토쿠왕의 사후에도 그 이름을 기반으로 하여 조선과의 독점적인 무역을 진행하려고 했던 것을 추측해볼 수 있다. ``新時羅``의 경우, 실제로 쇼신왕의 명을 받아 실질적인 류큐국왕의 사자로서 표류민의 송환이라는 공적인 역할을 달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에서 굳이 사칭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하카타 상인의 한 사람이었던 그는, 그가 속한 하카타 상인들의 집단적 사유와 이익에 손해가 가지 않도록 ``쇼토쿠왕``의 사자를 사칭해, 국서도 바꿔 적은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확실히 ``新時羅``는 정식적인 류큐 국왕의 사자였다고는 말할 수 없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또한 하카타나 쓰시마(對馬)의 상인들의 개입이 없었다면, 류큐왕부가 빈번하게 조선에 사자를 파견해 표류민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일도 없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의미에서는 ``위사``라고 불리는 사자들의 복잡한 존재 방식이 조선 왕조와 류큐 왕조의 교류속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도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조선왕조실록 성종 10년 조에 보이는 김비의 일행의 ``표류기``는 조선 왕조와 류큐 왕조 교류의 다면성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rifting over the seas`` account of Kim Bi-ui traveling in a company of three in the ten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ongjong (1479)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Choson Dynasty. The issues examined are the two problems of the naming of the Yameyama Islands and the envoy missions recorded in the ``drifting over the seas`` account of Kim Bi-ui and his group`s repatriation to Choson at the time. On the former, there have been assumptions on the toponyms by Ogura Shinpei and Iha Fuyu since the 1920s, which are the conventional wisdom in Japan even today. However, since clues can be found for the basis of these assumptions by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s of the islands` names, there is a tendency to forcibly match the names of today`s islands when there are names that do not resemble them. The most extreme example are the islands labeled ``后伊是麻`` and ``훌尹是마.`` According to the Chinese characters, they can be read as possibly Fui-shima or Ful-ryun-shima, but there are no islands among the Yaeyama Islands today that have names close to these pronunciations. Despite this, Iha Fuyu`s theory says these names are related to Kuroshima, and this has become widely accepted as of now. When taking in account the bearings or distance recorded in the ``drifting over the seas`` account, the location that corresponds the most is the island of Ishigaki, a relatively large island with production sites which also practiced agriculture. However, 훌尹是마 is recorded as being small enough to go around once in a single day and did not have farming, so geographically it is certainly not Ishigaki. W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here is Taketomi Island, located in between Kuroshima and Ishigaki. Taketomi Island`s circumference measures about ten kilometers and being on elevated coral reef, has no flat production areas or brooks throughout. Therefore, Taketomi Island count not receive the benefit of water sources and did not practice agriculture. These various conditions show that Taketomi Island fits with the description of 훌尹是마. Moreover, in the fifteenth century, Taketomi Island was the political center of the Sakishima Islands. That is, it naturally occurs to mind that after Kim Bi-ui and his group drifted to the vicinity of Yonaguni Island at the western end of the Sakishima Islands and were moved to an island among the Sakishima Islands, and went to Taketomi Island as the final destination and were later repatriated by going through the Miyako Islands. However, since the name ``Taketomi`` i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pronunciation of 后伊是麻 and 훌尹是마, it traditionally brings us to the conclusion of the Kuroshima theory. Thus, clos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drawing the conclusion of Taketomi Island as 后伊是麻. However, that a theory established over eighty years ago on slight evidence is still in use today is problematic, and the need for re-examination should be considered. That is, this problem does not rest on simply matching the names of islands, but since this is also related to the historical problem of the center of the Yaeyama Islands before the Yaeyama Campaign of the Ryukyu Kingdom in the sixteenth century, it is a task that needs future examination of sources. On the latter, the study also indicated the various facets of Kim Bi-ui and his party`s repatriation to Choson by a Hakata merchant by the name of 新時羅 simply described as an ``imposter emissary.`` 新時羅 himself took the responsibility of repatriating Kim Bi-ui and his party by the supposed request of King Sho Shin. However, he was not the envoy of King Sho Shin, and for one reason or another was reported as being the envoy of the last king of the first Sho Dynasty, King Sho Toku. Why this impersonation was used is not clear, and there is no common point to be found in the next imposter emissary ``敬宗`` group who came to Choson. Perhaps it can be assumed that the Hakata traders who engaged in exchange and commerce with Choson since the period of King Sho Toku sought to monopolize this trade even after his death. In the case of ``新時羅,`` it is true that he played a public role in repatriating them as the envoy of the Ryukyuan king by the command of King Sho Sin. On this point, there was no need to impersonate. However, on one hand, since he was a Hakata merchant, it can be thought that he changed the letters of credentials after impersonating himself as an envoy of King Sho Toku in order to not harm the organizational profits and possessions of the Hakata traders. It cannot be said for certain whether 新時羅 was the Ryukyu King`s envoy. However, if there was no interference from the Hakata or Tsushima traders, it can be thought that there would be no need for the Ryukyuan Kingdom to dispatch missions frequently to repatriate refugees to Choson. On this account, the complicated existence of ``imposter missions`` that called themselves missions in the exchange between Choson and the Ryukyu Kingdom cannot be ignored. The article noting the ``drifting over the seas`` account of Kim Bi-ui traveling in a company of three in the ten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ongjong (1479)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Choson Dynasty is one example that shows the multiple dimensions of the exchange between Choson and the Ryukyu Kingdom.

      • KCI등재

        전후 미국의 `점령형 신탁통치`의 성립과 냉전적 변형 ― 조선, 미크로네시아, 류큐제도를 중심으로

        강성현 ( Kang Sung Hyun ) 한국사회사학회 2016 사회와 역사 Vol.0 No.112

        본 연구는 미국의 전후 기획과 실행에서 점령과 신탁통치가 어떻게 결합되고, 이 `점령형 신탁통치`가 어떻게 냉전적으로 변형되는지 검토한다. 우선 군사점령 및 이를 통한 종속지역에 대한 지배와 통치의 역사, 그리고 국제법적 논의를 면밀히 고찰한다. 제국주의의 식민지 확장 전쟁과 점령이 국제정치 및 국제법의 틀 내에서 어떻게 견제를 받으면서 제도화되었고, 그 과정에서 만들어진 위임통치-신탁통치 `장치`를 관계적으로 살펴본다. 다음으로 조선, 미크로네시아, 류큐제도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조선은 `적국으로부터 분리된 지역`이었고, 미크로네시아는 일본의 위임통치령이었으며, 류큐제도는 일본 주권이 미치는 영토였다. 조선은 유엔에 의한 4개국(미·소·영·중)의 `비전략적 신탁통치` 적용이 시도되었다가 끝내 좌절되었고, 미크로네시아는 미국으로의 `병합`과 신탁통치 적용 사이에서 결국 미국을 유일한 시정권자로 하는 `전략적 신탁통치`로 귀결되었으며, 류큐제도는 유엔이 아닌 샌프란시스코 대일평화조약을 통해 미국을 유일한 시정권자로 하는 신탁통치로 결정되었다. 이 글은 세 지역에서 기획, 적용, 냉전적 변형을 겪은 신탁통치를 `점령형 신탁통치`의 시각에서 분석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occupation and trusteeship are combined in the U.S. Post-war Plan, the plan`s implementation, and how `occupational trusteeship` transforms during the Cold War. First, this article addresses military occupation`s history of control and domination of dependent areas through an analysis of international law. I examine imperialist colonial expansion-motivated use of war and occupation, while investigating colonial institutionalization within the framework of international politics and international law via the Mandate and Trusteeship `Dispostif`.Next, I analyze Korea, Micronesia, and the Ryukyu Islands. Korea was a “territory which may be detached from enemy state”, Micronesia was a territory held under the mandate of Japan, and the Ryukyu Islands were territories falling within the sovereignity of Japan. In Korea, four countries (U.S., USSR, British, China) tried to protract a `non-strategic trusteeship` (U.S., USSR, British, China), but their attempts failed. In the case of Micronesia, between the `annexation` to the U.S. and the application of the trusteeship, it eventually resulted in a `strategic trusteeship` with the U.S. as the sole administering authority. Ryukyu Islands was placed under the U.N. International trusteeship system through a peace treaty, with the U.S. as the sole administering authority. This article analyzes the international trusteeship system that was planned, applied, and transformed in the above three locations from the viewpoint of `Occupational Trusteeship`.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