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한 아시아인들의 하지 림프관 주행 분석

        이유환,김형규,유희진,김덕우 대한수부외과학회 2020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5 No.3

        Purpose: Intraoperative indocyanine green (ICG) lymphography is an effective tool to obtain real-time video images of functioning lymph vessels in edematous limb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course of lymph vessels in obese patients or patients with large dermal backflow. Without the image, surgeons have to rely on their experience when performing the skin incision to locate the lymphatic vessels. This study focused on elucidating lymphatic vessel flow patterns in healthy lower extremities in an Asian population to refer these findings for lymphedema treatment. Methods: ICG fluorescence lymphography was performed by injecting 0.2 mL of ICG into the first web space of the foot. After 4 hours, fluorescence images of lymphatic vessels were obtained and the lymphatic vessels were marked. Three landmarks were designated; the medial malleolus, the medial patellar border, and the groin femoral artery. Straight lines connecting the points were draw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onnected lines and the marked lymphatic vessels was measured in eight points. Results: Fifteen subjects with healthy lower extremities (15 right and 15 left) were included. The average course of the main lymph vessels passed 26.2±18.0 mm dorsally to the medial malleolus, 53.7±35.7 mm medially to the medial patellar border, and 25.5±19.2 mm medially to the three-quarters point of the upper landmark line. Conclusion: The main functioning lymphatic vessel largely follows the great saphenous vein course, passes in front of the medial malleolus, runs over the posterior border of the medial epicondyle at the knee level, and travels anteriorly toward the inguinal lymph nodes. 목적: 수술 중 인도시아닌 그린(indocyanine green, ICG) 림프 조영술을 사용한 실시간 영상 촬영은 림프 부종 환자들의 림프관을 관찰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비대하거나 어느 정도 진행된 림프 부종 환자들에서 이와 같은 방법으로 림프관 주행을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영상이 없으면 외과의사들은 감에만 의존하여 절개를 해야 한다. 본 논문은 건강한 아시아인들의 하지 림프관 주행을 연구하여 위와 같이 영상을 얻을 수 없는 림프 부종 치료 시 참고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방법: 발의 첫 번째 지간 사이에 0.2 mL의 ICG를 주입한 후 ICG 형광(fluorescence) 림프 조영술을 실행하였다. 4시간 후, fluorescence image를 촬영하여 림프관 주행을 표시하였다. 세 부위의 랜드마크를 지정하였고 직선으로 그 점들을 연결하였다. 점들을 연결한 직선의 길이와 표시된 림프관들은 8가지 points로 측정하였다. 결과: 15명의 건강한 아시아인들의 하지(우측 15개, 좌측 15개)를 연구하였다. 평균적으로 림프관은 내측과의 배측 26.2±18.0 mm을 지나 슬개골 경계의 내측 53.7±35.7 mm을 지난 후 상단 랜드마크 라인의 3분의 4지점의 내측 25.5±19.2 mm을 지났다. 결론: 주 림프관은 대복재정맥의 주행을 따랐다. 내측과 앞을 지나, 무릎 높이에서 내측 상과의 뒷부분을 지나, 서혜부 림프절들로 이어졌다.

      • KCI등재후보

        하지 비대의 평가와 관리에 대한 이론적 연구

        노효련,김성중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1

        하지 비대의 원인은 다양하다. 이러한 문제를 가지고 피부 관리실을 방문하는 고객들은 비만, 림프부종, 지방부종, 그리고 정맥성 부종으로 인해 지방 다리가 된 경우가 많다. 일반적인 피부 관리법으로 문제를 단순하게 해결하기 보다는 정확한 측정과 평가를 통해 그 원인을 알아내고 원인에 따른 관리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하지 비대의 원인 규명법과 관리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림프기관의 기능 부전이 있는 고객의 경우는 복합적 부종감소 치료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인데 MLD (MLD; manual lymph drainage), 압박 붕대 또는 압박 스타킹, 피부 관리, 그리고 운동이 이에 해당한다. 지방 침착이 많고 지방세포의 변형으로 하지 비대가 지방부종의 원인으로 오는 경우에는 순환을 증진시켜 주기위한 물리적 마사지, 전기 장비가 주로 이용되며 MLD와 붕대법 그리고 피부의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여러 셀룰라이트 크림들을 사용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된다. 정맥성 부종의 경우에는 피부의 변화가 심하게 유발되므로 크기를 줄이는 관리법과 피부의 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야하며 피부감염, 괴양 등이 생기지 않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 비대의 정확한 원인 파악을 통한 미용적 접근법이 잘못된 관리로 인한 이차적인 피해를 최소화 하고 고객의 만족을 최대로 높일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가 미용 현장에 종사하는 피부미용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causes of lower extremity enlargement are diverse often times involve combinations of several etiologies. Obesity, lymphedema, lipedema, and venous edema are well-known consequences of the fat leg.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fat leg have been neglected in the cosmetic field. Many clients visits the esthetic shop with complaints of lower extremity enlargement secondary to "fat legs." In addition to cosmetic disfigurement, some clients may suffer from underlying cosmetic condi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their symptoms. Knowledge of these other causes, including lymphedema and a disorder of abnormal fat deposition known as lipedema, ensures appropriate management for affected clients. Initial evaluation for lower extremity enlargement should include a discussion of pertinent history and a focused physical examination for findings that might indicate a underlying cause. For those clients found to have lymphatic dysfunction, complex decongestive therapy, which are consists of manual lymph drainage (MLD), compression bandage or garments, skin care, and exercise, should be initially recommended. Treatments of lipedema that have purportedly have some success include physical massage, electrical modality to increase blood circulation; MLD and wrapping ; other creams that alter the skin's appearance. In case of lower leg enlargement due to venous insufficiency, treatment is directed towards reducing the limb girth and especially skin care. Clients with lower extremity enlargement may present to the esthetician for reducing the size and enhancing the skin conditions. Esthetician needs to distinguish the causes and management methods by using the common features and unique manifestations of the conditions.

      • KCI등재

        부인암 환자의 하지 림프부종과 삶의 질

        유선영(Yu, Sun Young),김정혜(Kim, Jeong Hye) 대한종양간호학회 2017 Asian Oncology Nursing Vol.1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ower limb lymphedema (LLL) and quality of life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Methods: A sample of 143 patients who have received pelvic lymphadenectomy and/or para-aortic lymphadenectomy recruied in the descriptive study. The instruments used were the Korean Version of the Gynecologic Cancer Lymphedema Questionnaire (GCLQ-K) and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OL Questionnaire-C30 (EORTC QLQ C-30). Results: The level of LLL for all patients was 4.31±3.86. The level of GCLQ-K score was higher in the LLL group than the non LLL group (8.38±2.92 vs 1.76±1.41). The all functional scale score was lower in the LLL group than the non LLL group, and all symptom scale score except for appetite loss and financial difficulties was higher in the LLL group than the non LLL group. The global health status score was lower in the LLL group than the non LLL group.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how that in the LLL patients after pelvic and/or para-aortic, lymphadenectomy was common. The quality of life was lower in the LLL group than the non LLL group. It is important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regarding prevention and management about LLL in gynecologic cancer patients.

      • KCI등재

        Lymphaticovenous Anastomosis in Lower Extremity Lymphedema: A Case Report

        이상현 대한수부외과학회 2018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3 No.2

        Treatment of secondary lymphedema at the lower extremities is largely divided into two methods: removal of lymphatic tissue and bypass of lymphatic perfusion. We report a case of lymphaticovenous anastomosis in a patient with secondary lower extremity lymphedema. A 59-year-old woman underwent lymphaticovenous anastomosis in inguinal, knee, and ankle due to obstructive lymphedema in the left lower extremity after performed radical cuff resection, Bilateral Pelvic Lymphadenectomy, Periarterial Lymphadenectomy, and total omentectomy for ovarian cancer and metastatic carcinoma. At 1 year follow-up, there was a decrease of 32.8% in volume differential compared to the preoperative level. Understanding of the features of lymphaticovenous anastomosis, we can expect good results in secondary obstructive lymphedema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