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주, 젠더, 스케일 :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정현주(Hyunjoo Jung)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이주연구의 화두인‘이주의 여성화’에 내포된 스케일 이슈를 각종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젠더선별적인 접근을 필요로 하는 페미니스트 이주연구는 거시적 스케일에서 뿐만 아니라 미시적 스케일에서 형성되는 젠더관계와 다양한 스케일에서의 과정이 상호 접목되는 양상을 분석할 것을 요구한다. 기존의 이주연구가 국가별 수준에서, 젠더요인에 대한 피상적 고려에 그친 것을 비판하면서, 페미니스트 접근은 지구적인 노동의 성별분업, 초국가적 가족연계망, 이주여성의 몸과 가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재생산을 통해 역동적으로 재구성되는 젠더관계를 주요 연구주제로 상정한다. 최근 국제이주의 주요 주체로 부상하고 있는 이주여성은 국경과 공적ㆍ사적 영역을 넘나들며 근대적 젠더관계와 그 경계를 교란하고 있다. 이들의 경계넘기의 젠더정치학은 다양한 스케일의 창출을 수반하는 스케일의 정치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개인의 증대된 에이전시와 가족관계망의 초국가적 확장을 통한 국제이주의 증가는 이주여성들에 의한 초국가적 스케일의 생성인 동시에 아래로부터의 세계화의 전형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페미니스트 이주 문헌에서 나타나는 스케일에 대한 오해를 시정하고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연구 성과를 접목하여 양 학문분야의 의사소통을 증진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scale issues in the contemporary feminist migration literature. Scale appears as important, yet poorly understood concept in this field of study. The increasing attention to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requires not only gendered, but also scalar-sensitive approaches. Feminists criticize the conventional approach to the migration as a gender-blind approach that privileges national scale around which migration processes are organized. Claiming multiscalar and interscalar analyses, they propose investigations ranging from macro to micro processes which include globalized gendered division of labor, transnational family networks, and reproduction which takes place in and through the bodies and homes of migrant women. The migrant women, the major actors in recent transnational migration, cross various borders: the national boundaries and the public and private divides, in particular. This crossover can unsettle patriarchal gender relations which have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physical and symbolic division of nation-states and public/private spheres. Blurring these divisions accompanies social construction of various scales. The transnational family networks of migrant women, for example, show the construction of a transnational scale by migrant women as well as globalization from below. This paper points out misunderstandings of scale in the feminist migration literature and attempts to fill the gaps by introducing the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scales developed mostly by feminist geographers. In so doing, it promotes the interdisciplinary communication.

      • KCI우수등재

        Trends and Issues in Social Geography in the 2000s in Korea 1 : Theoretical Discussions

        Byung-Doo Choi 대한지리학회 2012 대한지리학회지 Vol.47 No.4

        2000년대 들어와서 한국의 사회지리학은 다양한 이론과 연구 주제들을 다루면서 상당한 발전을 이룬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평가는 우선 이 시기 여러 종류의 <사회지리학> 교재 발간을 통해 확인된다. 그리고 이론적 논의로서, 자본주의 경제의 신자유주의적 지구-지방화 과정은 이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분석을 추동했으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외국인 이주자의 급증, 지구온난화와 같은 환경문제, 여성의 참여와 권리 신장 증대 등은 각각 정보사회(도시)이론, 다문화주의 및 초국가주의, 그리고 정치생태학과 환경정의, 페미니즘 등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켰다. 이 논문은 2000년대 한국의 사회지리학에서 이론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이러한 주요 논제들에 관해 검토하고, 한국의 사회지리학의 발전을 위한 간략한 논평을 제시하고자 한다. It can be suggested that social geography in the 2000s in Korea has achieved a considerable development, dealing with various theories and issues. This suggestion can be identified first of all with the publication of several texts of Social Geography in this period. For important theoretical discussions, the neoliberal glocalization process of capitalist economy has promoted geographical researche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creasing foreign immigrants,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the global warming,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of women in Korea have increased social geographical concerns with and theoretical discussions on informational society and city, multiculturalism and/or transnationalism, political ecology and environmental justice, and feminism. This paper provides a review on these major issues in recent theoretical discussions in social geography in Korea, and suggests a brief comment on its future development.

      • KCI등재

        발전주의 국가 한국의 가임여성 통치전략에 대한 페미니스트 역사지리적 고찰

        황진태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8 문화 역사 지리 Vol.30 No.1

        This paper aims to dissect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s governmental strategy on fertile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 historical geography. In late 2016, the Park Geun-hye government unveiled an online “fertility map” that used shades of pink to rank towns and cities by the number of fertile women. The map caused a storm of criticism, because it treated low fertility as a problem only related to women while excluding broad socio-economic factors. Rather than viewing male-dominated culture or characteristic of the irrational Park regime as the main reasons for explaining the case, we need to explore, based on feminist historical geography, how the past authoritarian regimes governmentalized fertile women for family planning and its resultant modernization. In particular, it reveals that various spatial/non-spatial representations were significant to make forced family planning rational and necessary. Based on these analyses, I argue that ou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postdevelopmental state’s population policy action such as the “fertility map” should be linked to the path-dependency of the past developmental state. 본 논문은 페미니스트 역사지리학의 측면에서 발전주의 국가 한국의 가임여성 통치전략을 살펴본다. 지난 박근혜 정부에서 공개된 ‘대한민국 출산지도’는 오늘날 저출산의 원인을 여성에게 귀속시키고, 사회경제적 구조들은간과하는 남성중심적 시각 때문에 사회적 논란을 야기했다. 이 사건을 해석하는 관점들은 한국 남성들의 남성중심성이나 박근혜 정권의 비합리적 특성의 연장선상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페미니스트 역사지리학적 접근을 차용한 본 연구에서 필자는 1960년대 이후부터 민주화 이전까지 발전주의 국가 한국은 근대화와 산업화를 성공적으로 성취하기 위하여, 가족계획사업과 이를 합리화하는 공간적/비공간적 재현전략들을 통하여 가임여성을통치하고자 했음을 밝히고, 포스트 발전주의 국가의 인구정책을 이해하는데 있어서도 지난 발전주의 국가의 경로의존성과의 관계적, 역사적 접근이 요구됨을 강조한다.

      • KCI등재

        여성성을 반영하는 공간에 대한 고찰: Strindberg의 『Froken Julie』(1888)를 사례로

        정은혜 ( Eunhye Cho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17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20 No.1

        본 연구는 Strindberg의 희곡 『Froken Julie』(1888)의 주(主)무대인 `집`을 통해 공간에 대한 시각을 재정립하는 과정으로서, 그리고 남성중심성을 해체하는 인식론적 과정으로서, `부엌, 침실, 창고, 정원` 등에 대한 세부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로서 영화장면과 연극무대를 종합하여 공간을 스케치함으로써 문학작품 속 공간을 실체화(實體化)하였다. 이 중에서도 `부엌`은 여성의 일상이자 기능의 공간에서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권력투쟁공간이자 남성과 여성의 마찰공간이 된다. 더 나아가 부엌의 창문은 헤테로토피아적인 공간으로 여성과 하인이라는 굴레의 해방적 설정으로서 자유에의 갈망, 혹은 억압의 해방을 의미한다. 그 다음으로 `정원`은 여성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공간으로서, 현실을 의미하는 부엌과는 대조되는 이상향이자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제3의 공간으로서 역시 헤테로토피아적인 공간이다. 한편 정원에서 이루어진 그녀의 자살은 자신의 과거를 지우고 이와는 다른 공간(사후 공간)으로 탈출하고자 하는 욕망의 표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고는 19세기의 작품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당시의 여성적 공간에 대한 시각을 완전히 배제할 순 없지만 여성의 공간에 대한 사유방식의 재검토 차원에서 이루어진 페미니스트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pply specific approach on kitchen, bedroom, storage and garden as a process of reestablishing vision on space through `home,` the main stage of Strindberg`s 『Miss Julie』(1888), and as an epistemic process which breaks up male-centrality. In particular, `Kitchen` is a space of women`s daily routine and functions. It also becomes a space of power struggle between the ruler and the ruled as well as a space of conflict between men and women. Furthermore, a kitchen window is a heterotopic space which symbolizes desire for freedom or liberation from repression with liberalistic setting on bridle between women and servants. `Garden` is a typical space for reflecting femininity. It is also heterotopic as an ideal type which is contracted with the kitchen that represents reality and third space which exceeds the boundary between private and public spaces. Her suicide at the garden can be interpreted as the expression of her desire to erase her past and escape to the other space. This study analyzed the works from the 19th century so that it would not be able to rule out all the views on feminine spaces at that time. Even so, it is meaningful as a feminist study which has been performed for reexamining a way of thinking about women`s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