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공무원의 체면민감도 척도개발 연구: 척도 타당화를 중심으로

        유민봉 ( Min Bong You ),심형인 ( Hyung In Shim ) 한국행정학회 2011 韓國行政學報 Vol.45 No.3

        이 연구는 행정학의 한국화를 위해서는 연구하고자 하는 개념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척도를 사용하고 현장에서 의미 있는 주제를 다루어야 한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척도 개발의 타당화 기준에 따라, 공무원의 체면민감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체면민감도 척도를 개발하기 위하여 체면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심층면접과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측정 문항을 도출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모형의 적합도 및 구성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체면민감도를 측정하는 17개 문항을 확정하였으며, 이들은 탐색적 요인분석에 의해 6개의 요인(품위체면의식, 능력체면의식, 인격체면의식, 인격체면손상 시 감정, 권위체면손상 시 감정, 능력체면손상 시 감정)으로 분류되고, 6개 요인은 다시 확인적 요인분석에 의해 ``체면의식``과 ``체면손상시 감정``의 하위요소로 구조화할 수 있었다. 이 척도는 앞으로 공무원의 근무태도, 동기부여,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협상 등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use of the questionnaire scale and developed a Face (Chemyon) Sensitivity scale, starting from the recognition that one of the important problems in the study of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is the use of valid measures and meaningful subjects. Recognizing such research issues, this study developed the Face Sensitivity scale by clarifying the concept of chemyon, and developing questionnaire items, factor analysis, and test of model fit as well as construct validity. Thus, 17 questionnaire items were confirmed to construct a good measurement model. They were grouped into 6 factors and further categorized into two second-order latent variables: face consciousness and emotional state due to losing face. We expect the use of this scale shall motivate the study of various subjects related to face, includ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eadership, communication, and negotiation.

      • KCI등재

        자아존중감과 인상관리행동 간의 관계에서 체면민감도의 매개효과

        이경근(Lee Kyung Geun),조용현(Cho Yong Hyeon) 한국인사관리학회 200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3 No.2

        최근 조직 내에서 나타나는 인상관리행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인상관리행동의 동기를 과학적으로 인식하고 실제적 효과를 밝혀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으나, 지금까지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조직행동차원에서 중요한 개인적 특성요인인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미진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인상관리행동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 역시 충분치 않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독특한 문화심리변수 가운데 하나인 체면에 대한 민감성 개념을 도입하여 자아존중감과 인상관리행동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보고자 하였다. 현직 금융기관 종사자 338명을 유효표본으로 이용하여 실증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조직구성원의 자아존중감과 체면민감도는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면민감도는 상사중심, 자기중심, 직무중심 인상관리행동에 정(+)의 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두 가지 차원의 인상관리행동(상사중심/자기중심) 사이에서 체면민감도는 완전매개효과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대한 논의 및 결론부에서 본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 그리고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have intention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And, the role of Chemyon sensitivity (Social-face) as mediator between self-esteem an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was also examined. To test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pre-tested. We distributed questionnaire, which was composed of the self reporting questions, to 500 employees, then retrieved 412 from them. After removing the insincere responses, we analyzed 338 data. After statistical analysis, we found the almost all of hypotheses that we had assumed were verified as valid. As hypothesized, self-esteem was positively related to Chemyon sensitivity, and Chemyon sensitiv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ree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In particular, the results suggest that Chemyon sensitiv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upervisor-focused tactics of impression management. The mediating role of Chemyon sensitivity between self-esteem and self-focuse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was also supported. But, the mediating role of Chemyon sensitivity between self-esteem and job-focused impression management behaviors was not supported.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in discussion and conclusion.

      • KCI등재

        체면민감성이 소비자의 브랜드 로고 사이즈 선택에 미치는 영향

        조승호(SeungHo Cho),조상훈(SangHoon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에서는 체면민감성이 명품브랜드의 로고 사이즈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루이비통과 가격이 좀 더 저렴한 코론을 명품 브랜드로 선정하였고, 각 브랜드마다, 형태, 색상, 크기 등 외관상 구별이 되지 않는 제품에 세 가지 유형의 로고를 설계하였다. 첫 번째 종류의 제품에는 로고가 없으며, 두 번째 종류의 제품에는 사이즈가 작은 로고를, 세 번째 종류의 제품에는 사이즈가 큰 로고를 부착하였다. 본 실험에 총 115명이 참여하였으며, 참가자들은 20대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 루이비통의 경우 창피의식성 체면과 타인의식성 체면이 브랜드 상표 사이즈 선택에 영향을 주었으며, 코론의 경우도 창피의식성 체면과 타인의식성 체면이 브랜드 사이즈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남·녀 간 체면민감성 차이는 없었고, 루이비통의 로고사이즈 선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ace sensitivities on a consumers choice of luxury products logo size.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an experimental design was planed and conducted where the stimulus for the experiment comprised two luxury brands, Louisvuitton and Couronne. For each brand, three different sizes of a logo were considered; no logo, logo with small size, and logo with big size. Each product has an identical design, color, and size except for the size of logos. A total of 115 students were enrolled in the experiment to select one of the logo sizes in each brand. Through the data analysis, we found that shame 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for others among face sensitiviti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choice of a logo size both in Louisvuitton and Couronne.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e sensitivities between male and female, but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oice of a logo size between male and female.

      • KCI등재

        한국인의 문화심리특성이 지식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 : 체면민감도와 우리성 지각을 중심으로

        조용현,이경근 한국산업경제학회 2007 산업경제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조직의 지식경영활동이 구성원들의 문화심리적 특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체면민감도와 우리성이라는 한국인의 대표적인 문화심리적 특성과 지식창출 및 지식공유를 중심으로 한 지식경영활동 간의 관계에 대한 가설과 통합모형을 설계하고 이를 경험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를 경우 체면민감도는 기대와 같이 자기주도 지식창출과는 정(+)의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그리고 타인의존 지식창출과는 부(-)의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면민감도는 개인의 지식공유노력에도 정의 효과를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편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우리성 역시 타인의존 지식창출 및 지식공유활동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주도 지식창출에 대한 우리성 지각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지지되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지식경영 시스템의 도입과 실행에 있어 보편적 원리를 찾는 것 이상으로 구성원들의 문화심리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중요한 문제라는 점을 객관적 증거를 통해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및 결론부에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emyon(Social-face) sensitivity and Weness 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theoretical and empirical backgrounds, 6 hypotheses were developed and tested. To test hypotheses and research models,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nd pre-tested. Data were collected from employees of an insurance companies, which has introduced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268 of them were used to test models and hypotheses. According to LISREL, the overall adequacy of fit was found acceptable. As hypothesized, Chemyon sensitiv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lf-leading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sharing, and was negatively related to other-leading knowledge creation. And, Weness has positive effects on other-leading knowledge creation and knowledge sharing.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Weness and sellf-leading knowledge creation activities was not suppor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