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마이산과 주변 명산의 형성과정과 그에 관련된 산맥과 수계 변화

        오창환,이승환,이보영 한국암석학회 2017 암석학회지 Vol.26 No.3

        The Jinan Basin which includes Maisan locates in the central part of the northern boundary of the Yeongnam Massif. The basement rocks of the Jinan Basin and surrounding area are Precambrian gneiss and Mesozoic granite which were exposed on the surface before Cretaceous. The Jinan Basin, one of the Cretaceous pull-apart basins in South Korea, formed along the Yongdong-Gwangju fault system. Maisan is composed of conglomerate deposited in the eastern slope of the Jinan Basin showing the shape of horse ears and the unusual topography where many tafonies were developed. The strike slip fault that caused the Jinan Basin was connected to the deep depth so that the magma formed at 200 km depth could have extruded on the surface causing active volcanic activity in and around the Jinan basin. As a result, Cheonbansan composed of pyroclastic rocks, Gubongsan consisting of volcanic neck and Woonilam-Banilam formed by the lava flow, appear around Maisan forming a specific terrain. After the formation of the Jinan Basin and surrounding volcanic rocks, they uplifted to form mountains including Masian; the uplifting time may be ca. 69-38 Ma. At this time, the Noryeong mountain range may be formed in the regions which extended from Chugaryeong through Muju and Jinan to Hampyeong dividing the Geumgang and Seomjingang water systems. Due to the ecological barrier, the Noryeong mountain range, Coreoleuciscus splendidus living in the Geumgang water systems was differentiated from that in the Soemjingang water system. In addition, the Geumgang and Mangyeong-Dongjingang water systems were separated by the Unjangsan, which developed in the NNW direction. As a result, diverse ecosystem have been established in and around Maisan and at the same time, diverse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related to Maisan’s unique petrological features, were also established. Therefore, Maisan and surrounding area can be regarded as a place where a geotourism can be successfully established by combining the ecological,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with a geological heritage. Therefore Maisan and surrounding areas have a high possibility to be a National Geopark and UNESCO Global Geopark. 마이산을 포함한 진안분지는 영남육괴 북쪽 경계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지역의 기반암은 고원생대 편마암과 이를 관입한 중생대 화강암으로 백악기 이전에 지표로 노출되었다. 진안분지는 백악기에 영동-광주 단층대를 따라 일어난 좌수향 주향이동단층에 의해 형성된 인리형 분지이며 마이산은 진안분지 내의 경사가 급했던 분지 동쪽 경계부에 퇴적된 역암으로 구성된 산이다. 마이산 봉우리는 말 귀의 형상을 보이며 역암 절벽에 타포니가 발달한 특이한 지형을 보여주고 있다. 진안분지를 형성시킨 단층은 지하 깊은 곳까지 연결됨으로서 200 km 깊이에서 형성된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하여 진안분지 내와 그 주변에 활발한 화산 활동을 일으켰다. 그 결과 마이산 주변에는 화산폭발에 의해 형성된 화산쇄설암으로 구성된 천반산, 화산분출시 마그마가 관입한 암경으로 구성된 구봉산 그리고 화산 분출시 분출되어 흐른 용암에 의해 형성된 운일암 반일암등이 특이 지형을 형성하며 나타난다. 그리고 진안분지와 주변 화산암이 형성된 이후 진안분지와 그 주변 지역이 융기하여 마이산을 포함한 주변 명산들을 형성하였다. 융기 시기는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대략 69-38Ma경으로 추측된다. 이때 추가령에서 무주와 진안을 지나 함평으로 연결되는 노령산맥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로 인해 금강과 섬진강 수계가 나뉘어지고 갈라진 수계에 의해 쉬리의 종이 분화되었다. 또한 북북서 방향으로 발달한 운장산에 의해 금강과 만경-동진강 수계가 나뉘어졌다. 이로 인해 마이산과 그 주변 지역에는 다양한 생태계가 조성되었으며 동시에 마이산에는 특이한 암상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 역사 자원이 존재한다. 따라서 마이산과 주변 지역은 지질유산을 중심으로 생태, 문화, 역사가 잘 어우러진 지질 관광이 성공적으로 개발될 수 있는 지역으로 국가지질공원 및 세계 지질공원으로서의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후보

        호남(湖南) 동부지역(東部地域) 산성(山城) 및 봉수(烽燧)의 분포양상(分布樣相)

        곽장근 ( Chang Keun Kwa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3

        호남 동부지역에 밀집 분포된 산성은 대략 100여 개소에 이른다. 섬진강과 남강의 분수령을 이루고 있으면서 아영분지와 운봉고원의 서쪽 자연경계인 백두대간 산줄기와 섬진강 중류지역을 동서로 횡단하는 오수천을 따라 산성이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만경강 유역에서 섬진강 상류지역으로 진입하는 길목인 호남정맥의 슬치 부근, 공주와 부여 일대에서 진안고원 등 금강 상류지역으로 진출하려면 주로 넘었던 금남정맥의 싸리재 부근, 금산분지의 북쪽을 휘감는 산줄기에도 산성이 밀집되어 있다. 가야계 분묘유적과 산성의 분포권이 서로 중복된 점에서 상당수의 산성은, 백제 및 영산강 유역의 세력집단에 대한 방어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에 대가야를 비롯한 가야세력에 의해 처음 축성된 것이 아닌가 싶다.금강과 섬진강의 상류지역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밀집 분포된 80여 개소의 봉수는 대체로 가야계 수혈식 석곽묘의 분포권과 일치한다. 특히 100여 기의 가야계 중대형 고총이 밀집된 장계분지와 장수분지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면서 그곳을 방사상으로 에워싸고 있다. 그리고 산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내며 장계분지와 장수분지로 통하는 여러 갈래의 내륙 교통로가 잘 조망되는 산봉우리에 입지를 두었다. 봉수에서 수습된 토기류의 속성과 봉수의 분포양상만을 기준으로 추론한다면, 봉수의 설치주체는 대가야 혹은 장계분지와 장수분지에 지역적인 기반을 두고 발전했던 가야세력과의 관련성이 깊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re have been approximately 100 mountain fortresses densely scattered around the east Honam area. These mountain fortresses are located intensively around the mountain ranges of Baekdudaegan, the upper stream of Geum-gang(a river), and Osu-cheon(a creek) drainage area which flows across the middle stream of Seomjin-gang(a river) from east to west. It is believed that the fortresses were built first while Gaya forces including Daegaya were constructing their defense system against Baekje, in the respect that their distribution is overlapped with that of Gaya tomb groups. The distribution of about 80 beacon mounds which are located remaining regular spaces around the upper streams of Geum-gang and Seomjin-gang is overlapped with that of Gaya tomb groups. Especially, those beacon mounds are densely located surrounding about 100 large old tombs of Gaya forces in Janggyae and Jangsu basins like the spokes of a wheel. According to the archeological results up to now, it is estimated that the main forces who built the beacon mounds are deeply related to Gaya forces including Daegaya.

      • 진안분지 서변 중앙부 신리지역의 준퇴적동시성 변형구조

        이영엽,Lee Young-Up 한국석유지질학회 1998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6 No.1

        진안분지 서변 중앙부에 위치한 신리 지역에서는 주로 셰일 협재 조립질 사암과 사암/셰일이 호층을 이루는 만덕산층과 셰일이 우세한 달길층이 분포한다. 이 층들에서는 조립질 사암상, 사암/셰일 호층상, 셰일상 및 화산암상 등의 네 가지 암상이 관찰된다. 조립질 사암과 사암은 저탁암의 특성을 보이며, 셰일은 호수 이암의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이 퇴적암상은 호수 퇴적물 기원으로 해석된다. 이 퇴적암 내에는 비교적 큰 규모의 습곡 및 스러스트 단층 등이 변형되지 않은 상하부의 퇴적층준 내에 한정되어 발달한다. 습곡 및 스러스트 단층 내에는 팽창(swelling)구조, 부우딘(boudin)구조, 소습곡 및 소규모 역단층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곳에 발달하는 두 조의 습곡은 동형 습곡에 해당되며, 하부의 습곡은 습곡의 정도가 층의 상부를 따라 점점 감소하면서 동심(concentric)습곡을 이룬다. 습곡 내 팽창 구조는 습곡의 축면에서, 부댕 구조는 날개부에서 각각 관찰되며 연성 퇴적물이 이동하여 형성되었다. 스러스트 단층에서는 미끌린 면을 따른 연질 퇴적물의 변형과 소규모 습곡 및 이동 사암체 전면부의 로브형(lobe type) 변형이 관찰되며, 계속된 구조 운동으로 인한 듀플렉스(duplex)구조로 발달하였다. 분리된 사암체 전면 상하부 계일 내에는 비대칭성과 킹크(kink)습곡이 각각 관찰된다. 스러스트 단층에서의 팽창 구조, 부우딘 구조, 로브형 변형 및 소습곡 구조들도 퇴적물의 미고화 상태에서의 유동성과 변형을 지시한다. 습곡과 스러스트 단층 모두는 또한 구조의 규모나 퇴적층의 특성에 비해 열극의 발달이 적어, 변형 당시 퇴적물의 가소성을 보여준다. 스러스트 단층의 측면을 따라서는 동시 발달로 추정되는 정단층이 있다. 작은 규모의 변형구조로는 슬럼프, 말린층리, 횡와습곡과 티그마틱 습곡, 불꽃구조 및 짐구조등이 관찰된다. 이는 퇴적동시성에서 준퇴적동시성의 변형구조들로서 분지 퇴적물이 퇴적된 이른 시기부터 조구조 운동이 영향을 미쳤음을 지시한다 이런 여러 가지 특징들은 퇴적물이 퇴적된 시기부터 고화되기까지 분지 지역에 조구조운동이 계속되었음을 지시한다. In the Sinri area located at the mid western boundary of the Jinan basin, the Manduksan Formation which mainly consists of coarse sandstone narrowly intercalated with shale and the alternation of sand and shale and the Dalgil Formation mainly of shale are distributed. It consists of four lithofacies, such as coarse sandstone, interbedded sandstone/shale, shale and volcanic rock lithofacies. All sediments are interpreted to be deposited by turbidity currents and free fallouts in a lacustrine basin. In these rocks many penecontemporaneous defomation structures are observed such as fold and thrust fault at large scale, and swelling, boudin structure, flame structure, load structure, ptygmatic fold and convolute bedding at small scale. All these structures are developed between upper and lower undisturbed sedimentary strata. Two large folds are similar folds, but lower one gradually developed into concentric shape. The swelling structures by convergence of the sediments are observed in the hinge area and the boudin structures are developed in the limb. The thrust faults including minor folds and sandstone lobes show duplex structure with asymmetric and kink fold on and below in front of the detached sandstone layer. Development of the swellings, boudins and lobes indicates the flexbility of the sediments during deformational episodes. The folds and thrust faults rarely contain fractures relative their scales and lithologies. This feature also indicates the retrievability of sediments during deformation. At the flanks of the thrust faults the normal faults are formed contemporaneously. The deformation structures at small scale such as flame structures, load structures, ptygmatic folds and convolute beddings are syndepositional and penecontemporaneous, which show the effects of tectonic movements. All these deformed sedimentary structures of the Sinri area suggest the continuing tectonic movements during and/or after deposition.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