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셀프 연구(self-study)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경험 분석

        황혜영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중 수행한 셀프 연구 보고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예비교 사들이 주로 고민하였던 문제들을 밝히고, 그들이 생성한 지식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보다 나은 교육실습을 위한 개선방안을 찾아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예비교사들이 주로 설정한 셀프 연구 문제와 연구결과 생성한 지식은 ‘아동’, ‘수업’, ‘예비교사 자신’에 관한 것으로 분류되었다. 먼저 셀프 연구 문제로 설정된 것 은 예비교사가 가진 특정 아동이나 아동 집단에 대한 선입견 또는 편견 문제, 수업 관련 문 제, 그리고 자신의 교직관과 성격 및 태도에 대한 문제였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예비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이 증가하였으며, 이것은 교직관의 수정 및 재설정으로 이어졌다. 그 외에 아동에 대한 애정, 이해, 배려의 증가, 아동 중심 수업으로의 변화를 위한 지식들이 생성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교육실습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한 아동들을 만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제공하여야겠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자주 겪는 문제, 다 수의 예비교사들이 겪는 문제들에 대하여 교육실습 전에 미리 토의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실습 중 예비교사들의 자기반성적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In this study, student teachers in one of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Seoul, Korea, performed a self-study research during their practicum period. Their self-study research reports were analyzed in order to explore their research questions and research results during the practicum. The student teachers reported their difficulties and what they learned from the practicum. Their self-study research topics are categorized in following three areas: Children(elementary school student), teaching, and a student teacher him/herself. The problems in these three areas were found to be student teachers’ major difficulties. They reported personal biases against particular students, or certain groups of students. They also found difficulties in their teaching and problems in their characters and values. As they explore such difficulties and issues by examining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y have acquired increased affection toward students, better understanding of students, been able to perform students-centered teaching, and gained revised view on teaching professions as well as deepened understanding about their identities or roles as a teacher.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more opportunities to meet children with diversity are needed for student teachers in order to reduce their bias toward the children. Additionally, the opportunity for the student teachers to openly discuss about possible difficulties that prospective student teachers would have is needed in advance of the practicum.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허은정,정성수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4

        Teacher is an essential factor which decides the outcome of education. This study was to see the current research trends of pre-service education studies since 2001 in Korea and suggest the tasks of future pre-service studies. Researchers selected 318 articles among 535 from the RISS system and categorized as the Cooper's policy analysis perspective(normative, technical, structural, constituen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ies on pre-service education are numerically increasing and structural, technical, constituentive, normative in sequence. Secondly, attention on the teacher training "system" is growing but insufficient microscopic studies. Thirdly, attention on the individual is growing but extremely biased in terms of the topic and methodology. Fourthly, studies are increasing on the effects of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however the studies are lack of accuracy and need to be more diverse. Lastly, there is consensus for the studies of normative dimension but rarely performed. In conclusion, the studies on pre-service education in Korea are accomplished consistently but are performed segmentally without any logical connection in every 4 dimensions. Therefore, the future studies need to be more premeditate, and diverse in research contents and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ch dimension. And also meta analysis and in-depth researches need to be carry out in each dimension. 이 논문은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국내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 12년간(2001년~2012년) 발표된 학진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의 논문 총 318편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한 논문은 내용분석을 통해 Cooper 등(2004)이 교육정책 분석모형으로 제안한 규범적, 기술적, 구조적, 구성적 차원의 4가지 관점으로 범주화하였다. 분석 결과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양적인 측면에서 예비교사교육에 관한 연구는 12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논문 수는 구조적 차원, 기술적 차원, 구성적 차원, 규범적 차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는 교원양성 ‘체제’를 주제로 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특정 학교급에 국한하지 않고 체제 전반에 대한 진단과 개선 방안 제안이 주를 이루었다. 그 외에도 교과교육과정 개발, 교원양성제도의 해외사례 분석 등에 대한 주제가 함께 다루어졌다. 셋째, 구성적 차원에서는 교직 입문 전 예비교사 ‘개인’이 가지는 구체적인 경험 또는 인식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었다. 넷째, 기술적 차원에서는 교원양성과정이 예비교사의 인지적, 정의적 성과에 대해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려는 시도가 주로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교직에 대한 가치를 다루는 규범적 차원의 연구는 실제 발표된 논문의 수는 미미한 수준에 불과하여 보다 적극적인 연구 수행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예비교사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는 각 차원별로 나름의 다양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고 연구자에 따라서는 상이한 관점과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예비교사교육 연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향후 각 차원이 가진 특성에 따라 후속 연구가 체계적으로 계획되고 연구내용과 방법론적인 측면에서의 다양화를 시도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직업계 고등학교 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강은(Kang-Eun Lee),박수정(Soo-Jung Park),이병욱(Byung-Wook Lee) 대한공업교육학회 2021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6 No.1

        이 연구는 직업계고 교사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직업계고 교사교육 연구의 방향성 정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직업계고 교사의 직전 교육과 현직 교육에 대한 학술논문 48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후, 빈도분석을 활용하여 연구 시기별, 연구 대상별, 연구 계열별,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추출한 핵심 주제어를 바탕으로 주요 연구 주제를 도출한 뒤 주제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2001년, 2007년, 2011년, 2018년 등 특정 시기에 직업계고 교사교육에 관한 연구 빈도가 증가하였고, 직전 교육에 대한 연구가 현직 교육 연구에 비하여 2배 정도 많이 발표 되었다. 연구 계열별로는 공업계열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연구 대주제로는 교사 양성, 교사 자격, 교사 임용, 교사 연수, 혼합 분야의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행정 측면의 연구가 많이 수행된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대주제의 영역이 서로 연계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상호보완적인 맥락에서 연구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 education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ng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fter selecting 48 academic papers on the pre-service education and in-service educ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from 2000 to 2020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or analysis,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period, object, series, and research methods using frequency analysis. Major research topics were also derived based on the core theme words extracted by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nd subjec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erived major research top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research on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education increased at certain times such as in 2001, 2007, 2011 and 2018, and the pre-service education research was done twice as much as the in-service education research. By research category, the industry department was the most studied line of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performed research method. The main research theme included research on teacher training, teacher qualification, teacher appointment, educating teachers, and mixing a blend of Theme, and the study 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owed a lot of tendency with many studies focusing in term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lso, the areas of the major themes are related to each other and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es in a complementary context.

      • KCI등재

        교육봉사활동을 통한 예비교사 핵심역량개발 사례 연구

        이효신(Lee Hyo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6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required by student teacher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t and to mak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To do this, the study employs a case study, in which seven university student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with 13 fifth- and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written documents regarding six-day activities and written interviews with seven student teachers using the behavioral interview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ementary student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that the student teachers also experienced the growth of knowledge, skill, emotion, and meta-learning competency required by the student teachers. It was found that readiness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team factors, and external conditions affected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comprising teaching, student life guidance and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ffected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includ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and the development of core-competences required by the student teachers. Finally, suggestions to improve the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were made. They were the measures to secure their sustainability and the need to expand their horizon to volunteer learning. 본 연구는 대학생 재능캠프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교육봉사 활동을 사례로 교육봉사가 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 개발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 요인을 분석한 후 교육봉사의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대학생 7명이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 13명을 대상으로 교육봉사활동을 실시하였다. 2019년 하계방학 때 5박 6일간 실시된 교육봉사 활동 관련 자료와 행동사건면담 방식을 적용한 서면면담으로 2019년 10월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활동결과를 분석한 결과 참여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고, 참여 대학생들도 예비교사 대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인 지적 역량, 기술 역량, 정서적 역량, 메타학습 역량 개발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결과는 개인적 특성, 팀 요인, 외부여건으로 구성되는 준비도가 교과·학생생활지도와 지원활동으로 구성되는 실행에 영향을 미치고 실행은 참여 학생 만족도와 참여자 역량개발 효과로 구성되는 교육봉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통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봉사의 지속 가능성 확보 방안과 봉사학습으로의 지평 확대 필요성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