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또래동조성과 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급규준의 조절효과

        정상호(Sangho Jeong),이동형(Donghy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6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4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의 중립적 및 반사회적 또래동조성과 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가해동조, 방관, 방어)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지각된 학급규준이 이러한 관계에서 조절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중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또래동조성, 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 지각된 학급규준을 자기보고식 측정도구를 통해 측정하고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또래동조성의 하위유형에 따라 괴롭힘 주변인 역할행동 간의 관계가 다르게 나타났는데, 중립적 또래동조성은 방어행동과 부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은 가해동조행동 및 방관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방어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각된 학급규준은 중립적 또래동조성과 방어행동 간의 관계, 그리고 반사회적 또래동조성과 방관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중립적 또래동조성이 낮은 학생들의 경우 학급규준이 괴롭힘에 대해 비허용적이라고 지각할수록 방어행동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중립적 또래동조성이 높은 경우는 이러한 증가가 미미하였다. 또한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이 낮은 경우에는 학급규준이 괴롭힘에 대해 허용적이라고 지각하더라도 방관행동의 증가가 작은 반면,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이 높은 경우에는 방관행동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가 학교현장의 포괄적인 괴롭힘 예방과 개입 노력에 시사하는 점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of two types of peer conformity(PC; i.e., neutral and antisocial) and bystander role behaviors in bullying(BRBB; i.e., “reinforcing”, “being outsider”, and “defending”) and test the moderating roles of perceived class norms(PCN) between PC and BRBB. Participants were 369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wo middle schools in Korea and were administered self-report measures of PC, BRBB, and PCN.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procedures such as correlational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lations between PC and BRBB were different across types of PC and specific BRBB: While neutral PC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fending behaviors, antisocial P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inforcing and being outsider behaviors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fending behaviors. Further, results revealed that PCN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neutral PC and defending behaviors and the relation between antisocial PC and being outsider behaviors. Specifically, low neutral PC students, compared to high counterparts, had a higher increase in defending behaviors as their PCN was against bullying. While low antisocial PC students had only a slight increase in being outsider behaviors as their PCN was not against bullying, high antisocial PC students had a marked increase in such behavior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comprehensive bully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efforts were provided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괴롭힘 경험과 주변인행동의 관계

        박예라(朴예라),오인수(吳仁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또래 괴롭힘(bullying)가해 및 피해경험이 괴롭힘 주변인(bystander)방어행동의 관계 및 이를 조절하는 사회맥락적 특성을 탐색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괴롭힘 가해 및 피해경험, 신체적 괴롭힘과 관계적 괴롭힘 장면의 주변인행동, 또래동조성, 지각된 학급규준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자료는 교차분석 및 독립성검증, 상관분석, 범주형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괴롭힘 가해 및 피해경험 모두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신체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동조자 행동이, 관계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방관자 행동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괴롭힘 가해경험은 주변인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했으며, 가해경험이 높을수록 동조자 또는 방관자로 행동하게 되며 방어행동은 낮아졌다. 반면 피해경험은 주변인행동을 예측하지는 못했다. 셋째, 신체적 괴롭힘 장면에서 또래동조성과 지각된 학급규준이 주변인행동을 조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관계적 괴롭힘 장면에서는 또래동조성의 주변인행동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학급규준의 조절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괴롭힘 가해경험 및 사회적 맥락 특성과 주변인행동의 관계를 확인하고 성별에 의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신체적, 관계적 괴롭힘 상황으로 나누어 주변인행동에 접근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괴롭힘과 주변인행동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고 효과적인 상담 및 중재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eer conformity and perceived class norms have moderating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bullying experiences and bystander’s behavior in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300 upper elementary students. Scales of bullying participant roles, peer conformity and perceived class norms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ystander roles across gender and bullying situations. Defending behavior was higher in girls than boys. Boy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bully-follower role in overt bullying situation. Then in relational bullying situation, boy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bystander role. Second, bullying experience predict bystander’s negative behavioral reactions while victimized experience didn’t show significant results. Third, peer conformity moderated the relations between bullying experience and bystander behavior in overt/relational bullying situations. But perceived class norms only moderated bystander behavior in overt bullying situation. Implications for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interven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Lastly, the limitations and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또래괴롭힘 주변인 역할과 성격강점의 관계에서지각된 학급규준의 매개효과

        이현진,오인수,송지연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lassroom norms between bystander’s reactions(assistant, outsider, defender) in school bullying and their personality strengths (humanity, justice, courage). And we compared the levels of personality strengths and perceived classroom norms by three types of bystander’s roles. To identify research issues, 494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asked to complete the selfreporting survey and the results was analyzed by ANOVA and path analysi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ity strengths according to the roles of bystander. Second, justice and courage predicted assisting behavior, humanity and justice predicted onlooking behavior and humanity, justice and courage predicted defending behavior. Thirdly, in the mediating effect, perceived classroom norms mediated between only justice of personality strengths and bystander’s reactions. Based on the results,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to modify the bystander's behaviors was discussed to utilizing personality strengths and perceived classroom norms.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성격강점(인간애, 정의, 용기)이 이들의 주변인 반응행동(동조, 방관 및 방어)에 미치는 영향이 주변인이 지각한 학급규준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주변인의 3가지 유형별로 성격강점과 지각된 학급규준의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의 중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ANOVA와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또래괴롭힘 주변인(동조자, 방관자, 방어자) 역할에 따라 성격강점(인간애, 정의, 용기)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성격강점 중 정의와 용기는 동조행동을, 인간애와 정의는 방관행동을, 그리고 인간애와 정의 용기는 방어행동을 예측하였다. 셋째, 매개효과의 경우 성격강점 중에서 오직 정의감이 동조행동, 방관행동 및 방어행동으로 가는 경로가 지각된 학급규준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격강점과 학급규준의 관점에서 주변인의 행동을 긍정적으로 바꾸기 위한 교육적 개입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루머 확산의 사이버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진천사(?天賜),오인수(吳仁秀)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사이버 괴롭힘 중에서 루머를 확산하는 형태의 괴롭힘에 주목하여 루머 확산의 괴롭힘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가해자와 피해자가 모두 남학생 또는 여학생으로 구성된 단톡방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루머 확산을 목격한 주변인의 행동반응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에 또래 동조성, 도덕적 이탈, 지각된 학급규준 및 사회적 유능감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국 사천성 성도시(四川省成都市)소재의 4개 중학교 2, 3학년의 학생 47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주변인 유형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가·피해자 모두가 남학생으로 구성된 루머 확산의 사이버 괴롭힘 상황에서 성별에 따른 주변인의 유형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라 위의 4가지 심리적 변인이 주변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이버 괴롭힘의 한 유형인 루머 확산에 초점을 두어 주변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을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심층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루머 확산의 사이버 괴롭힘을 예방하고 효과적으로 개입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bullying in the form of spreading rumors in the context of cyber bullying and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ed bystanders’ behavior that witnessed the harassment of spreading rumors. To determine the sex difference, after presenting a compositive scenario in which both perpetrators and victims are either male or female, we analyzed the behavior of bystanders who witnessed the spread of rumor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a survey of 473 student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of four middle schools in China’s Sichuan province.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erifying differences in behavior by gender, there was a notable difference in the types of people around them by gender in the context of cyber-bullying of rumor spreading in which both perpetrators and victims are male. Second,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four variants depending on gender showed significant impact on bystanders’ behavior in the context of cyber bullying of rumor spread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ts in-depth analysis of psychological variations affecting bystanders’ behavior by focusing on spreading rumors as a sub-component of cyber bully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have made suggestions to prevent and intervene in the cyber bullying of rumor spread in middle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