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통사고 발생유형별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교통사고 예방대책 수립방안 연구

        배민지(BAE, Min Ji),정헌영(Jung, Hun Young),고상선(Ko, Sang Seon) 대한교통학회 2019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80 No.-

        이 연구는 통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교통사고 발생건수, 사망자수, 중상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별 교통사고 예방대책 수립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회귀모형 구축 결과,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눈이 내리거나 비가 내려 습기가 많은 비포장도로 및 기타 포장도로에서, 통행 우선순위 위반과 앞지르기방법 위반, 부당한 회전으로 인해, 그리고 터널 안과 기타 불명의 장소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망자수와 중상자수에 대해서도 각각의 영향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C&RT 분석법에 의한 분류모형을 구축한 결과, 교통사고 발생건수는 건조한 날씨의 포장된 도로 위, 기타 단일로에서 안전거리 미확보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역시 사망자수, 중상자수에 대해서도 각각의 영향요인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각 분석법에 의하여 제시된 영향요인들을 고려한 예방대책 수립방안을 요약, 정리하면, 교통사고 발생건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시인성 향상을 위한 교통안전시설의 개선 등이, 사망자 수와 중상자수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통법규에 관한 교육 및 홍보와 단속 강화 등 다양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신호교차로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신호위반사고 예측모형 개발

        박정순,배광수 한국교통연구원 2017 交通硏究 Vol.24 No.2

        According to the 2015 statistics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running red light (RLR) crashes represent a serious safety problem at signalized intersections throughout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RLR crashes and various drivers, vehicles, and road environmental factors for a comprehensive safety evaluation. This study researched factors using a binary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0.0 software. Data was used from 4,221 RLR crashes which occurred at 73 intersections in the cities of Suwon, Ansan and Sungnam between 2012 and 2014. The main results showed that 81.5% of RLR crashes were caused by male drivers, after sun down, while traveling straight. Second, the RLR crashes' killed or seriously injured were clearly defined by main street traffic volume, intersection area, yellow time gap, and nighttime average vehicle speed. Finall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l was developed using the Hosmer and Lemeshow test giving an output of 6.62. 2015년도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신호위반사고는 매우 심각한 안전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호교차로의 안전성 평가를 위해 신호위반사고와 인적, 차량, 도로환경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련변수 도출을 위해 SPSS 20.0의 이항로지스틱 회귀모형과 2012~2014년간 수원, 안산, 성남시의 73개 신호교차로에서 발생한 4,221건의 신호위반사고 자료를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호위반사고의 81.5%는 남성운전자에 의해 발생되었으며 주로 야간시간대와 직진상태에서 일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신호위반사고의 사망자+중상자수(KSI)는 주도로 교통량, 교차로면적, 황색신호시간 차이, 야간평균속도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모형식이 개발되었다(Hosmer and Lemeshow test : 6.6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